• 제목/요약/키워드: HepG-2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28초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using the mixture of fucoidan and Crepidiastrum denticulatum extract in HepG2 liver cancer cells)

  • 박세은;최다빈;오교녀;김한중;박형범;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6-28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어떠한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및 세포 독성이 apoptosis에 의한 효과인지를 확인한 결과, DNA fragmentation과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의 저해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HepG2 세포에서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 기전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intrinsic apoptosis 경로인 p53을 증가시키고, Bcl-2 family인 Bcl-2의 억제 및 BAX의 증가를 통해서 cytochrome c를 증가시켜 caspase-9 활성화하였고, caspase-3를 활성화시켜 결과적으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는 후코이단만 처리한 것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고들빼기 추출물과의 혼합물 제조를 통해서 후코이단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이 HepG2 세포에서 apoptosis 관련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의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후코이단/이고들빼기 혼합물의 항암 작용의 기전을 해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간암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용 물질 분석 및 in vivo에서 추가 실험 등이 다양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금의 HepG2 인체 간암세포에서의 in vitro 항암 효과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Salt o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김희영;주재현;이경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37-1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천일염 두 종류와 정제염이 HepG2 인체 간암 세포에서의 세포 성장 억제 효과, apoptosis 관련 유전자 Bcl-2, Bax, p53 및 p21의 mRNA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소금 시료들은 HepG2 인체 간암세포에 0.5% 및 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성장을 억제시켰으며 T염전의 천일염(SS-T)과 Y염전의 천일염(SS-Y)은 정제염(PS)에 비해 암세포 성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또한 HepG2 세포에 1% 농도로 소금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apoptosis를 억제하는 유전자들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조절하여 Bcl-2는 낮게 나타났고, Bax, p53, p21은 높게 발현되었다. SS-T와 SS-Y는 PS에 비하여 Ca, Mg, S, K 함량이 많았으며, 천일염 중에서도 SS-T가 SS-Y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무기질이 많이 함유된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항암 효과가 높았으며 이는 소금의 Na 및 그 외 다른 무기질들이 항암 관련 유전자들을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국내산 천일염과 정제염은 HepG2 세포에서 apoptosis와 cell cycle 관련 유전자 조절을 통해 항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천일염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그 원인 물질 및 항암 기작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HepG2 인체 간암세포의 ROS 생성 및 ERK/Akt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Sanguinarine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rough the Generation of ROS and Modulation of Akt/ERK Signaling Pathways)

  • 황주영;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984-992
    • /
    • 2015
  •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에서 처음 분리된 sanguinarine은 항산화, 항암 및 면역 증강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lkaloid 계열 물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간암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sanguinarine의 apoptosis 유도 효능 및 관련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은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Fas 및 Bax의 발현 증가,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리 및 MMPl (Δψm)의 소실을 동반하였다. Sanguinarine은 intrinsic 및 extrinsic apoptosis pathway의 활성에 관여하는 initiator caspase인 caspase-9와 -8의 활성과 effector caspase인 caspase-3의 활성 및 PARP 단백질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Sanguinarine은 또한 ROS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N-acetylcysteine 처리에 의한 ROS의 생성을 차단하였을 경우, sanguinarine에 의한 apoptosis 효능이 완벽하게 차단되었다. 아울러 sanguinarine은 Akt의 인산화를 억제한 반면, MAPKs의 인산화를 촉진시켰으며, 특히 PI3K와 ERK의 선택적 억제제는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증식을 더욱 억제시켰다. 따라서 sanguinarine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는 ROS 생성 의존적인 intrinsic 및 extrinsic signaling pathway가 동시에 활성화되며, PI3K/Akt 및 ERK 신호계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자발 '청간탕'이 HepG2 cell의 염증반응에 대한 연구 (Effect of Zibachunggan-tang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 of NF-kB downstream genes in HepG2 cell)

  • 홍상훈;최병태;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51-1256
    • /
    • 2003
  • To determine the effect of Zibachunggan-tang(ZCT) on the process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uclear factor-kBp65 (NF-kBp65) activation, and LPS-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protein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HepG2 cell. Immuno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nucleic NF-kBp65 was rapidly up-regulated and cytosolic inhibitory I-kBα was down-regulated by LPS challenge. While ZCT inhibited an increase of NF-kBp65 and degradation of I-kBα in HepG2 cell. Beside LPS-induced expression of a group of genes, such as TNF-α, inducible iNOS and COX-2, are repressed by ZCT. It may be concluded that ZCT attenuates the progress of LPS-induced inflammation by reduction of NF-kBp65 activation. The ZCT would be useful as a therapeutic agent for endotoxin-induced liver disease.

홍경천의 항산화 · 항발암 효과 연구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02-1307
    • /
    • 2005
  •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홍경천을 시료로 하여 추출,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검색하였다. 4종의 암세포주인 HeLa, MCF-7, HT-29 및 HepG2를 이용하여 암세포성장억제실험을 한 결과 홍경천의 ethylether층인 RSMEE에서는 다른 층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암세포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시료 최고첨가농도인 $500{\mu}g/mL$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MCF-7 세포주에서도 비슷한 결과였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홍경천의 QR 유도활성 효과는 분획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hexane층인 RSMH에서는 시료 최종첨가농도인 $200{\mu}g/mL$에서 3.5배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한방에서 여러가지 약용으로 쓰이는 홍경천은 ethylether층 즉 TSMEE에서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제일 컸고,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활성은 hexane층인 RSMH이 제일 높았으며 RSMEE층은 그 다음으로 효과가 있었다. 홍경천의 항산화효과는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Vit. C의 효과와 비슷하였으며 $200{\mu}g/mL$의 홍경천 첨가시 첨 가전보다 암세포수 감소와 더 불어 형태학적으로 괴사가 일어나기 시작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여러 실험결과에의 하면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애용되어온 홍경천은 암예방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력도 매우 좋은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Kaurenoic acid, a natural substance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lleviates palmitate induc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via Nrf2 activation

  • Han, Changwo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4-7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look into whether Nrf2 take some role in the anti-lipogenic effect of kaurenoic acid in 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cellular model.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effect of kaurenoic acid on intracellular steatosis and Nrf2 activation. Next, the effect of kaurenoic acid on SREBP-1c and some lipogenic genes in palmitate treated HepG2 cells with or without Nrf2 silencing. Results: The increased SREBP-1c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oncomitant kaurenoic acid treatment in non-targeting negative control siRNA transfected HepG2 cells. However, kaurenoic acid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ed increased SREBP-1c level in Nrf2 specific siRNA transfected HepG2 cells Conclusions: Kaurenoic acid has a potential to activate Nrf2, which may suppress SREBP-1c mediated intracellular steatosis in HepG2 cells.

HepG2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산삼 추출물의 보호효과 - DNA chip을 이용하여 -

  • 김형석;박희수;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0권1호통권22호
    • /
    • pp.121-135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protective effect of wild ginseng extract on HepG2 human hepatoma cell line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oxidative damage. Methods : To evaluate protective effect of wild ginseng extract against t-BHP induced cytotoxicity, LDH level and activity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reductase were measured. Gene expression was also measured using DNA microarray. Results : Wild ginseng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against t-BHP-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 line. It is not, however, related with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using DNA chip, demonstrated that 28 genes were up-regulated in t-BHP only group. Five genes - selenoprotein P, glutathione peroxidase 3, sirtuin 2, peroxiredoxin 2, serfiredoxin 1 homolog - may be related with the protective effect of wild ginseng extract.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a protective effect of wild ginseng extract against t-BHP-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 line is not associated with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but with the expression of selenoprotein P, glutathione peroxidase 3, sirtuin 2, peroxiredoxin 2, and serfiredoxin 1 homolog.

김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Porphyra tenera Fraction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in uitro)

  • 신미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14-1519
    • /
    • 2005
  • 본 실험은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김을 메탄올로 추출 후 각 용매별로 다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R유도활성 효과 등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김을 이용하여 4종의 암세포주 C6, HepG2, MCF-7및 HT-29 세포주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사용한 4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시료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식저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김의 hexan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시료는 신경종양, 간암 및 여성암의 대표적인 유방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가 탁월하였다. 또한, 사용한 4가지 암세포주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HepG2를 이용한 암 예방지표인 quinone reductase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를 50, 100 및 150 g/mL로 첨가하였을 때 PTMH의 첨가농도 50 ${\mu}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1.5배 이상의 높은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고 최종농도 150 ${\mu}g/mL$에서는 약 6.6배의 높은 암 예방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Induction of Apoptosis by Bile Acids i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Baek, Jin-Hyen;Kim, Jung-Ae;Kang, Chang-Mo;Lee, Yong-Soo;Kim, Kyu-W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1호
    • /
    • pp.107-115
    • /
    • 1997
  • We studied the effects of bile acids on the induction ofapoptosis i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Treatment with either ursodeoxycholic acid (UDCA) or lithocholic acid (LCA) result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assessed by MTT assay. Both UDCA and LCA also induced genomic DNA fragmentation, a hallmark of apoptosis, indicating that the mechanism by which these bile acids induce cell death was through apoptosis. Cycloheximide, a protein synthesis inhibitor, blocked the apoptosis induced by these bile acids, implying that new protein synthesis may be required for the apoptosis. Intracellular $Ca^{2+}$ release blockers (dantrolene and 3,4,5-trimethoxybenzoic acid-8-(diethylamino)octyl ester) inhibited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DNA fragmentation induced by these bile acids. 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calcium ionophore A23l87 induced DNA frag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DCA and LCA induce apoptosis in the HepG2 cells and that the activation of intracellular $Ca^{2+}$ signa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poptosis induced by these bile acids.

  • PDF

인체 간암세포에서 β-lapachone 처리에 의한 Tight Junction 관련 유전자의 변화 ((β-lapachone Regulates Tight Junction Proteins, Claudin-3 and -4,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김성옥;권재임;김기영;김남득;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98-1302
    • /
    • 2007
  • ${\beta}-lapachone$은 남미지역에서 자생하는 Tabebuia avellanedae라는 나무의 수피에서 동정된 quinone계 물질로서 다양한 인체암세포에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lapachone$의 암 전이 억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HepG2 및 Hep3B 인체 간암 세포의 전이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beta}-lapacho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 assay 및 세포형태변화 관찰 결과에서 ${\beta}-lapachone$ 처리에 따라 HepG2와 Hep3B 세포들은 ${\beta}-lapachone$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그 형태적 변형도 동반하였다. ${\beta}-lapachone$처리에 의한 암 전이 지표가 되는 IGF-lR, Tjs (ZO-1, claudin-3,-4) 및 Tj 조절인자(${\beta}-catenin$)의 발현을 RT-PCR과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beta}-lapachone$ 처리가 IGF-1R의 발현 억제와 Tj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beta}-lapachone$이 Tj를 강화하여 암세포의 전이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체 간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의 항전이 작용의 이해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