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o Jong

검색결과 1,505건 처리시간 0.03초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 대한 소고(小考) (A Review on 『GuGeupGanIBang(救急簡易方)』)

  • 김단희;김남일;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54
    • /
    • 2010
  • 1. "GuGeupGanIBang(救急簡易方)" is a Korean annotation emergency treatment book made by scholars that were learned in medicine such as Naeuiwon(內醫院) head Yoo n Ho(尹壕) Seo Ha gun(西河君) Im Won jun(任元濬) GongJoChamPan(工曹參判) Park An sung(朴安性) Hanseongbu Jwayun(漢城府左尹) Gwon Geon(權健) SungRokDaeBuHaengByeongJoPanSeo(崇祿大夫行兵曹判書) YangCheonGun(陽川君) Heo Jong(許琮) following instructions of King Sungjong. This book was made by supplementing "EiBangRyuChwi(醫方類聚)", "HyangYakJeSengBang(鄕藥濟生方)" and "GuGeupBang(救急方)". When Yoon Ho presented it the king in May 1489(the 20th year of Sungjong), the king made the governors of each province publish it in large numbers, allowing common people to have this book and find the treatment immediately and save lives. 2. "GuGeupGanIBang(救急簡易方)" consists of 8 volumes, 127 chapters. Contents on stroke is the largest section. Separate chapters for gynecology and pediatrics let children that are easily ill and women that cannot get treatment freely be taken care of. It is an first aid medical book covering all ages, fulfilling its original purpose.

안압지 호안 건물지의 조망 경관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Visual Structure from the Building Area around An-ap Pond)

  • 박경자;이관규;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21
    • /
    • 200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visual structure by evaluating the view from five building sites around An-ap pond, and attempt to determine which site commands the best view and will provide the most activ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on the relations of dominancy-subordination(´chu-jong´), vacancy-solidness(´heo-sil´), sparsity-density(´so-mil´) based on ancient oriental Yin-Yang theory and analysis of visual structure on angle of elevation, depression, and the landscape-component ratio to be seen through five building sites around the west of An-ap pond, building site three was selected as the building site which has the best landscap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building site three played the role of core-building si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greater the increased in the component ratio of sky, mountain ,the greater the degree of harmony within the landscape. As well, the degree of harmony increased when the landscape component ratio of a distant view was greater than that of a near view. Moreover, it was proved that the relationships of ´chu-jong´, ´heo-sil´, ´so-mil´ are correlative, not independent.

  • PDF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USING REMOTE SENSING IMAGES AND TREE REGRESSIOIN

  • Kim, Soo-Young;Kim, Jong-Hong;Heo, Joon;Heo, Jun-Hae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239-242
    • /
    • 2006
  • Impervious surface is an important index for the estimation of urbaniz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In addition, impervious surface has an influence on the parameters of rainfall-runoff model during rainy season. The increase of impervious surface causes peak discharge increasing and fast concentration time in urban area. Accordingly,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of urban rainfall-runoff model development and calibration. In this study,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is performed by using remote sensing images such as landsat-7 ETM+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regression tree algorithm based on case study area ? Jungnang-cheon basin in Korea.

  • PDF

고성오광대 문둥북춤의 춤사위와 연행구조 전승양상 고찰 - 조용배 연행의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 (Review on succession aspects of direction structure and dancing in Moondoong drum dance by GoseongOgwangdae - Focusing on Moondoong drum dance directed by Yong Bae Cho -)

  • 박인수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71-109
    • /
    • 2019
  • 본 연구는 고성오광대의 연희자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중심으로 춤사위와 연행구조의 전승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용배 이전 문둥북춤을 연행한 홍성락은 주로 굿거리장단에 북을 들고 연행하는 '북춤' 만을 연행하였다. 홍성락이 문둥북춤을 연행하는 과정에서 북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데, 1965년 이전에는 북, 1966년에는 반고, 1967년에는 소고로 변화되며 이후부터는 주로 소고로 연행된다. 조용배는 1970년부터 문둥북춤을 연행하며, 1972년 8월 이전부터 '북춤'과 함께 소고를 바닥에 두고 연행하는 '문둥춤'과 덧배기장단의 연행이 추가된다. 1974년 겨울부터 고성오광대 첫 전수를 기점으로 문둥북춤은 음탕한 동작이 사라지고, 양반이라는 설정과 한을 승화하는 내용이 추가된다. 이러한 변화는 통영오광대 문둥북춤의 연행형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을 살펴보면 일정한 패턴이 있었다. '문둥춤'의 경우 고정된 사위 3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즉흥무」 → 「뛰기」(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북춤'의 경우도 고정된 사위 4개를 중심으로 고정된 사위 → 「소고 돌리기」 → 「맺기」 → 「즉흥무」 → 「뛰기」 (반복)의 형식으로 연행되었다. 조용배의 '북춤' 사위를 살펴보면 선대연희자인 홍성락이 연행해오던 사위가 많은 부분 남아있어, 이를 정리하고 새로운 춤사위를 더해 연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용배가 타계한 이후 허종복은 전수를 위해 조용배가 연행한 문둥북춤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춤사위를 조금 더 늘려 완벽한 순서를 지닌 춤으로 정리하였다. 이후 정리된 춤사위의 연행구조를 중심으로 허종원은 다리를 절며 등장하는 장면, 허창렬은 보리를 먹고 기뻐하는 장면, 힘겹게 소고와 채를 잡는 장면 등 사위를 계속해서 추가하고 있다. 이처럼 조용배는 '북춤'만 연행되어 오던 이전 작품에 '문둥춤'을 추가하고, 이야기와 한을 담기 시작하였다. 조용배가 연행해온 연행구조는 이후 기본 골격이 되어 이를 중심으로 후대 연희자들이 계속해서 장면을 추가해왔다. 이처럼 조용배는 선대의 문둥북춤을 갈고 닦아 정립하고 발전시켜 후대에게 넘겨준 훌륭한 고성오광대의 연희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