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구기자에서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의 온도조건에 따른 발육특성과 친환경제재에 의한 방제효과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and control effe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Lycium chinense)

  • 강찬영;류태희;정유빈;고나연;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김영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61-367
    • /
    • 2014
  • Host plants of th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are known as Solanaceae plants such as potato, tomato, eggplant and Lycium chinens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cause continuous damage from early June to mid-August in leaves of L. chinense under environmental-friendly management in Cheongyang, Chungnam.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gg and larva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investigated. H. vigintioctomaculata were reared on L. chinense at several temperatures, for example, 15, 20, 25 and $30^{\circ}C$ in the laboratory. In addition, the control effect of 5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ere examined. As results, hatching rate is the highest to 91% at $25^{\circ}C$. Egg periods were 10.8, 7.7, 5.1 and 3.7 days at each tested temperature, respectively. And the total developmental periods from egg to adult were 42.7, 26.3, 18.4 and 19.4 days at each tested temperature, respectively. Otherwise, their eclosion rates from pupa to adult were showed 58%, 77%, 85%, 65% at each tested temperatur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control effect, both adults and larvae of H. vigintioctomaculata were shown a high mortality to mixture with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Chenopodium ambrosioides and Melia azedarach. Additional, larvae is shown high mortality to extract of Azadirachta indica and Cymbopogon nardus. Thus H. vigintioctomaculata might be controled by using plant extra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due season.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생태적 특성 및 강릉지역 발생소장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28-spotted Larger Lady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and Its Seasonal Fluctuation in Gangneung, Korea)

  • 권민;김주일;김점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9-204
    • /
    • 2010
  •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의 강릉지역 발생소장과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 및 온도별(10, 15, 20, 25, $30^{\circ}C$) 발육소요기간을 조사하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연 3회, 즉 5월 하순, 6월 하순 및 8월 하순에 발생하였으며, 특히 5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 높은 밀도로 발생하여 감자 식물체를 집중적으로 가해하였다. 발육단계별 감자잎 섭식량은 유충의 영기가 진전될수록 많았으며, 4령 유충기에 가장 많은 섭식량을 보였다.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부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10^{\circ}C$$30^{\circ}C$에서는 매우 낮았고 $20{\sim}23^{\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알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발육단계별 생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0^{\circ}C$에서 90일 정도로 매우 느렸으며 $20^{\circ}C$에서는 40여일, $25^{\circ}C$에서는 25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에 대해서 $7.3^{\circ}C$와 83.3 DD, 유충에 대해서 $5.2^{\circ}C$와 294.1 DD, 번데기에 대해서 $6.2^{\circ}C$와 97.1 DD이었다.

큰 28 점박이무당벌레의 기생천적 (Parasitoids of Henose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in Kyonggido area, Korea.)

  • 이장훈;;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88
  •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친환경 구기자재배지에서 해충의 계절 발생소장 및 친환경유기농자재의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s of Insect Pests and Control Effects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i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 류태희;박상은;고나연;김정곤;신효섭;권혜리;김영국;이보희;서미자;유용만;윤영남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2-410
    • /
    • 2013
  • 화학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해충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충남청양군 일원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2년간 해충의 발생상을 조사하고 주요 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구기자나무의 초엽기인 5월 하순과 6월 초순에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이 피해가 심하며, 6월 중순부터는 열점박이잎벌레(Lema decempunctata)의 피해가 심하고, 구기자혹응애(Eriophys macrodonis),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뿔나방류(Hedma spp.)의 피해는 연중 계속되었다. 열매가 열리는 7월 하순부터는 열매를 흡즙하는 노린재류의 밀도가 급증하여 피해가 심해지는데, 특히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ba balys) 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구기자의 주요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 열점박이잎벌레, 구기자혹응애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효과에서는 고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쿠아시아, 백부근, 너삼 등의 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진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과 열점박이잎벌레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이 혼합된 제제에서 각각 84.0%, 86.6%의 방제가를 보여 다른 제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혹응애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식물추출물이 혼합된 제제에서 낮은 혹형성률을 보였다.

친환경 구기자재배지에서 다년간 해충발생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insect pests i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 류태희;강찬영;정유빈;고나연;권혜리;서미자;유용만;윤영남;김영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4
  •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of Lycium chinense was monitored at 4 organic farms that was cultiv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at Cheongyang, Chungnam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Total 4 orders and 18 species occurred in the L. chinense. Among them, 4 major pests and Lepidopteran and Hemipteran insect pests wer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pattern. During the budd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Myzus persicae was very high in late-May and early-June, and the injury by Lema decempunctata was increased from mid-June. The injuries by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and Hedma lycia sp. were continued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From the fruit held in late-July, hemipteran insects including Plautia stali and Halyomorpba balys were sucking the fruit, and their injury to L. chinense were gradually increased. In the case of Eriophys macrodonis densities to increase gradually from early July. The population density of E. macrodonis in 2014 was rapidly increased more than 5 times compared with 2012 and 2013. It was supposed that the initial control of mites or the removing of over-wintering density in the past year might be neglected. However, there is a need to more review the factors for the mass occ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