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ight distance error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GMA 용접의 비드형상 추론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Inference Algorithm for Bead Geometry in GMAW)

  • 김면희;배준영;이상룡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2-139
    • /
    • 2002
  • In GMAW(Gas Metal Arc Welding) processes, bead geometry (penetration, bead width and height) is a criterion to estimate welding quality. Bead geometry is affected by welding current, arc voltage and travel speed, shielding gas, CTWD (contact-tip to workpiece distance) and so on. In this paper, welding process variables were selected as welding current, arc voltage and travel speed. And bead geometry was reasoned from the chosen welding process variables using neuro-fuzzy algorithm. Neural networks was applied to design FL(fuzzy logic). The parameters of input membership functions and those of consequence functions in FL were tuned through the method of learning by backpropagation algorithm. Bead geometry could be reasoned from welding current, arc voltage, travel speed on FL using the results learned by neural networks. On the developed inference system of bead geometry using neuro-furzy algorithm, the inference error percent of bead width was within $\pm$4%, that of bead height was within $\pm$3%, and that of penetration was within $\pm$8%. Neural networks came into effect to find the parameters of input membership functions and those of consequence in FL. Therefore the inference system of welding quality expects to be developed through proposed algorithm.

PPP 기반 항법 알고리즘을 이용한 파고 계측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Wave Monitoring System using Precise Point Positioning)

  • 송세필;조득재;박슬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055-106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한 파고계측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이중주파수 측정치 및 GPS 정밀위성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PPP 기반 항법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를 이용하여 기준국으로부터 보정정보를 받는 RTK나 DGPS 기반 파고계와 달리 기준국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높은 정확도로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GPS 단독으로 운용되는 간단한 시스템이므로, 가속도계 기반 파고 계측 시스템처럼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누적되는 위치 오차를 보정할 필요가 없다. 제안한 파고계측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경북 울진 죽변항 인근 해역에 제안한 시스템과 기상청에서 활용하는 상용 파고계를 탑재한 부표를 설치하고, 시험 운용하였다. 그리고 부표로부터 전송된 두 가지 파고 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전자용 붐방제기의 붐의 좌우 경사각 자동제어 (Automatic Left/Right Boom Angles Control System for Upland Field)

  • 이중용;김영주;이채식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6호
    • /
    • pp.457-462
    • /
    • 2000
  • Boom sprayers have been known by their excellency in field efficiency worker’s safety and pest control efficacy. The boom sprayer in Korea that was developed for paddy field is not suitable for upland field of which shape is irregular and inclination is steep, due to heavy chemical tank long boom width and manual on-off control of spraying.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develope a boom control system that could control boom angles of left and right boom automatically and independently corresponding to local field slope. The prime mover was selected as a cultivating tractor.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Ultrasonic sensor whose response time was 0.1s and response angle was within $\pm$20$^{\circ}$was selected to measure distance. Voltage output of the sensor(X, Volt) had a highl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ground surface(Y, mm) as follows; Y=0.0036X-0.437 2. Left and right section of the boom could be folded up by a position control device(on-off control) which could control the left and right boom independently corresponding to local slope by equalizing distances between the sensor and boom at the center and left/right boom. Most reliable DB(dead band) was experimentally selected to be 75$\Omega$(6cm). 3. At traveling velocity of 0.3~0.5m/s RMS of error between desired and achieved height was less than 4.5cm The developed boom angle controller and boom linkage system were evaluated to be successful in achieving the height control accuracy target of $\pm$10cm.

  • PDF

멀티렌즈 스마트폰 카메라의 시차현상을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획득 연구 (A Study of Extraction of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Utilizing the Parallax Error of a Multilens Smartphone Camera)

  • 임천석
    • 한국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28
    • /
    • 2021
  • 스마트폰 카메라의 멀티렌즈에서 발생되는 시차현상을 이용하여 실측의 3차원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실험·계측법도 구상해 보았고 관련 방정식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스마트폰 카메라의 멀티렌즈에 적용하게 되면 건축이나 토목현장에서 스마트폰만으로 한 번에 전체 피사체의 3차원 공간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거나 골프장에서 핀까지의 거리가 얼마나 남았는지 편리하게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멀티렌즈 스마트폰과 연계된 이 기술의 다양한 응용성을 기대해 본다.

60Hz 고압 송전선로의 자기장 발생범위에 대한 GIS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about the Applicable Plan of GIS on Range of Magnetic Field Emitted from 60 Hz Powerline)

  • 홍승철;최성호;김윤신;박재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4호
    • /
    • pp.271-277
    • /
    • 200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ble plan of GIS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60 Hz Powerline. So we assessed distance data based on calculations by use of 2D and 3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and distance data based on measurements on 1: 5000 maps accord with on site distance measurements to use input data for calculating magnetic field. One hundred eight of the on site measured addresses were selected from residences. The data were achiev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residence and power line on maps with scales of 1: 5000. The digital map was obtained from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ith scales of 1: 5000, and we made 2D and 3D map.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3D GIS versus on site comparison of different exposure categories, 70 of 108 measurements were assigned to the correct category. Similarly for 2D GIS versus on site comparison, 71 of 108 were correctly categorized. When comparing map measurement with on site measurement, 62 of 108 were correctly categorized. When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3D GIS and on site measurements with r = 0.84947 (p<0.0001). The correlation between map and on site measurement yielded an r of 0.76517 (p<0.0001). Since the GIS measurements and map measurement were made from the center point in the building and the on site measurements had to be made from the closest wall on the building, this might introduce and additional error in urban areas. The difference between 2D and 3D calculations were resulted from the height of buildings.

AMR센서를 이용한 옥외용 AGV 주행센서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vigation Sensor System for Outdoor AGV Using AMR Sensors)

  • 김성호;박경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40-144
    • /
    • 2003
  • A navigation sensor system for outdoor AGV(Automatic Guided Vehicle) using AMR(Anisotropic Magnetoresitive) sensors is described. We derive a formula of the position of AMR sensor using the measured magnetic field intensity due to permanent magnet with constant distance. The system consists of sensor board. sensor control board and position processing board. The sensor board measures magnetic field intensity, the sensor control board controls the measurement of six sensors sequentially, and the position processing board computes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using Least Square Method. We arranged six sensors at intervals of 30cm and measured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moving at intervals of 30cm.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e can get standard deviation of 2mm and error of &\pm&4.5mm at a height of 20cm from the permanent magnet.

데오도라이트 시스템의 측정 불확도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Uncertainty of Theodolite System)

  • 이건탁;이동주;박흥철;오재명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9-233
    • /
    • 2003
  • Theodolite measurement system is non-contacted 3-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The system accuracy is 0.5 mm or better for distance 0 ~ 100m. And the system is used for a product of middle and large scale. This study is performed for the measurement uncertainty of the system. We could know that the main uncertainty factors are temperature, illumination and skill. And, we perform the study for the effect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scale bar. And, we calculate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ith those factors.

  • PDF

비측량용 사진기에 의한 수렴사진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Convergent Photographs Using Non-Metric Camera)

  • 유복모;권현;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68
    • /
    • 1989
  • 본 연구는 근거리 사진측량에 있어서 비측량용 사진기를 이용한 수렴사진에 대한 수학적 정확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촬영거리와 수렴각의 변화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 예측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확도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주어진 촬영조건하에서 대상물에 대한 정확도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또한 대상물의 평면 및 높이에 관한 요구되는 정확도에 따른 합리적인 촬영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의 위성 고도계 관측 유의파고 검증 (1992-2016) (Validation of Satellite Altimeter-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 in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Ocean (1992-2016))

  • 우혜진;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5-147
    • /
    • 2023
  • 인공위성 관측 유의파고는 기후변화에 대한 해양의 반응을 이해하는데 널리 활용되므로 장기간의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2년부터 2016년까지 25년 동안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 9종의 인공위성 고도계 관측 유의파고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오차 특성을 분석하였다. 위성 고도계와 부이 관측 유의파고 자료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37,929개의 위성-실측 유의파고 일치점 자료를 생성하였다.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서 위성 고도계 유의파고는 0.03 m의 편차와 0. 27 m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보여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관측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위성 고도계 유의파고는 지역적인 해역 특성에 따라 오차의 공간 분포 특성이 상이하였다. 실측 유의파고에 따른 오차, 위도별 오차의 계절분포 및 연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위성에서 실측 유의파고가 낮을 때 과대추정되었으며 실측 유의파고가 높을 때 과소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도계 유의파고의 오차는 겨울철에 증가되고 여름철에 감소되는 뚜렷한 계절변화를 보였으며 고위도로 갈수록 변동성이 증폭되었다. 연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평균제곱근오차는 100 km 이상의 외해에서는 0. 3 m 이하로 높은 정확도를 보인 반면 15 km 이내의 연안에서는 오차가 0. 5 m 이상으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구 및 지역적인 해역에서 유의파고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직사진과 경사사진을 함께 이용한 UAV 사진측량의 정확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Evaluation of UAV Photogrammetry using Oblique and Vertical Images)

  • 조정민;이종석;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46
    • /
    • 2021
  •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데이터 취득이 널리 활용되면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사진측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항공삼각측량의 번들 조정에 연직사진과 경사사진을 같이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측량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해 촬영 각도를 달리하여 촬영한 경사사진을 조정하는 경우와 촬영 각도가 다른 경사사진을 연직사진과 동시에 조정하는 경우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입력되는 경사사진의 경사가 커질수록 검사점의 오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연직사진과 경사사진을 같이 사용할 때, 경사사진의 경사가 클수록 높이 오차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는 연직사진의 GSD (Ground Spatial Distance)와 동일한 RMSE (Root Mean Square Error)를 요구하고 있다. 촬영각도 50°의 경사사진을 이용할 때 이 기준에 거의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연직사진과 50°의 경사사진을 동시에 조정한 경우 작업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저가의 사진기를 이용하는 사진측량이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