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etal pollution level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광양만 내 도로축적퇴적물 및 해양퇴적물의 금속 오염 평가 (Assessment of Metal Pollution of Road-Deposited Sediments and Marine Sediments Around Gwangyang Bay, Korea)

  • 정혜령;최진영;나공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2호
    • /
    • pp.42-5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 유역 국가산업단지와 컨테이너 부두 유역의 입자크기별 도로축적퇴적물(Road-deposited sediments; RDS)과 해양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현황 파악과 잠재적인 오염원으로써의 RDS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RDS의 경우 아연(Zn)의 농도가 2,982 mg/kg으로 매우 높았으며, 크롬(Cr)>니켈(Ni)>납(Pb)>구리(Cu)>비소(As)>카드뮴(Cd)>수은(Hg)의 순이었다. RDS의 중금속 농도는 입자가 세립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금속폐기물을 취급하는 산업시설 주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125 ㎛ 미만의 입자에서 아연(Zn)이 가장 높은 오염도(very high enrichment)를 나타냈고, Cr, Cd, Pb은 심각한 수준의 오염도(significant enrichment)를 보였다. 한편, 해양퇴적물 내 중금속 농도는 대부분 국내 "주의 기준(threshold effect level, TEL)" 이하였으나, 2010년 이후 Zn의 평균농도가 30~40% 증가하였다. 연구지역 도로노면 내 Zn, Cd, Pb 등은 강우시 쉽게 비점오염의 형태로 유출가능한 125 ㎛ 미만이 전체의 5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연(Zn)의 경우, 연구지역의 교통 뿐만 아니라 산업활동에 사용된 아연도금의 부식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금속 농도가 높은 세립한 RDS는 바람, 차량이동에 의해 재비산되어 대기 뿐만 아니라 강우시 인근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paddy fields as influenced by heavy metal contamination

  • Tipayno, Sherlyn;Samaddar, Sandipan;Chatterjee, Poulami;Halim, MD Abdul;Sa, Tong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45-245
    • /
    • 2017
  • Heavy metal pollution of agricultural soils affects land productivity and has impact on the quality of surrounding ecosystem. Soil microbial community parameters are used as reliable indices for assessing quality of agricultural lands under metal stress. This study investigate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polluted and undisturbed paddy soils to elucidate soil factors that are related to altera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under conditions of metal pollution. No obvious differences in the richness or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were observed between samples from polluted and control areas.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three locations were distinct from one another, and each location possessed distinctive set of bacterial phylotypes. The abundances of several phyla and gener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study locations.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was mostly related to soil general properties at phylum level while at finer taxonomic levels concentrations of arsenic and lead were significant factors. According to results of bacterial community functional prediction, the soil bacterial communities of metal polluted locations were characterized by more abundant DNA replication and repair, translation, transcription and nucleotide metabolism pathway enzymes while amino acid and lipid metabolism as well as xenobiotic biodegradation potential was reduced.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oil microbial communities had adapted to the elevated metal concentrations in the polluted soils as evidenced by changes in relative abundances of particular groups of microorganisms at different taxonomic resolution levels, and by altered functional potential of the microbial communities.

  • PDF

${\cdot}$ 폐광지역 오염토양의 phytoremediation을 위한 식물자원 검색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and Plant Survey around Inactive and Abandoned Mining Areas for Phytoremed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 김정규;임수길;이상환;이창호;정창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4
    • /
    • 1999
  • 전국의 16개 휴 ${\cdot}$ 폐광 지역에서 토양중 중금속함량과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휴 ${\cdot}$ 폐광산 대부분의 경우 피복식물이 없는 나대지로 존재하고 있었고 유기물함량, CEC 등이 낮은 값을 가지고 있는 등 대체로 척박한 토양조건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정 중금속으로 인한 오염의 정도가 토양환경보전법상의 우려기준과 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점도 있었다. 식물종들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목본은 소나무, 아카시나무 등이, 초본은 쑥과 억새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쑥은 지상부에 Zn과 Cd를 각각 1,191, 26.35mg/kg을 함유하였고, 패랭이꽃은 Cu를 405mg/kg 함유하여 체내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내 중금속함량, 건물생산량, 생육기간등을 고려할 때 쑥, 억새, 달맞이꽃등이 토양정화식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쑥을 비롯한 내성이 있는 식물종에 대한 조사는 물론 생리적 특성, 토양조건, 기후조건 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통계지표를 활용한 부산지역 조선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조사 연구 (A Geo-statistical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oil Around a Ship Building Yard in Busan, Korea)

  • 최정식;전수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07-915
    • /
    • 2018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중금속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 지수는 배경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중금속 오염농도를 정규화 시킴으로써 토양 오염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단계 별로 오염 정도를 판단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축인자(Enrichment factor, EF), 축적 계수(accumulation index), 잠재적 생물학적 위험 지표(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등을 이용하여 중공업 근처 토양 내 중금속 오염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금속의 오염 정도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특정 위치에서 아연, 구리, 납 등의 중금속 오염이 관찰 되었다. 농축인자, 축적계수, 생물학적 위험 지표를 통해 일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우려할 수준이며, 주변에 존재하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추가 시료채취 및 추정되는 오염원의 시료 확보 후, 동위원소 분석 및 x-ray 기반 분석을 통해 오염원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韓國產) 산림조류(山林鳥類)의 중금속(重金屬) 축적(蓄積) - 지리산지역(智異山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Forest Birds from Korea - Especially in Mt. Chiri -)

  • 최재식;김재생;김종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177-186
    • /
    • 1991
  • 환경오염(環境汚染)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지리산(智異山) 지역내(地域內)에서 서식(棲息)하고 있는 꿩과 멧비둘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흰배지빠귀, 박새, 물까치, 까마귀, 큰부리까마귀, 참새 등(等) 10종(種)의 성조(成鳥)에 대한 각(各) 조직기관별(組織器官別)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를 분석(分析)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집(採集)한 10종(種)의 조류(鳥類)에 대한 중금속(重金屬)의 축적농도(蓄積濃度)는 Fe, Zn, Cu, Mn 등(等)의 필수원소(必須元素)는 타지역(他地域)과 비슷한 수준(水準)이었으나 Pb, Cd, Hg, 등(等)과 같은 오염원소(汚染元素)는 대체(大體)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2. 텃새인 꿩의 근육(筋肉)에서의 Hg는 $0.01{\mu}g/g$, Cd는 $0.05{\mu}g/g$로서 낮게 검출(檢出)된데 비(比)하여 여름새인 호랑지빠귀의 근육(筋肉)에서의 Hg는 $0.17{\mu}g/g$ Cd는 $0.08{\mu}g/g$로서 높게 검출(檢出)되었다. 3. 연(鉛)(Pb)은 근육(筋肉)에서는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지만 수렵조류(狩獵鳥類)인 꿩과 멧비둘기에서$0.11{\mu}g/g{\sim}0.17{\mu}g/g$이 검출(檢出)되었고 대체(大體)로 카드뮴(Cd)에 의(依)한 오염(汚染)보다는 수은(水銀)(Hg)의 오염(汚染)에 편중(偏重)되어 있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의 해송(海松) 연륜(年輪) 속의 중금속(重金屬) 분석(分析) (Analysis of Heavy Metals in Annual Rings of Pinus thunbergii at Air Polluted Area)

  • 김종갑;오기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29-437
    • /
    • 1999
  • 대기오염지역에서 중금속오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온산공단 주변에서 생육하고 있는 해송을 원판으로 채취하여 연륜 속의 중금속함량을 3년씩 나누어 분석하였다. 온산공단지역에서 연륜폭의 변화는 공장이 가동된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1991년 이후에는 급격한 감소현상이 나타나 해송의 가시적인 쇠퇴현상과 일치하였다. 온산공단지역 해송 연륜 속의 카드뮴 함량은 119.4ppb에서 867ppb로 나타났으며 1992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구리 함량은 최저 309.5ppb에서 최고 3686.8ppb로 나타났다. 납의 함량은 911.33ppb에서 7997.1ppb로 나타냈으며, 1970년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공장가동 이후인 1980년 이후에는 증가폭이 컸다. 아연의 함량은 3528.7ppb에서 23826.7ppb로 나타났으며, 1960년 이후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1992년 이후에는 급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비오염지역인 고성지역 해송 연륜 속의 중금속 함량은 모두 온산공단 지역보다는 많이 낮았으며, 특히 1990년 이후에는 차이가 컸다. 온산과 고성지역 해송의 수피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카드뮴 함량에서는 10배, 구리 함량에서는 1000배, 납 함량은 285배, 아연 함량에서는 133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원판과 core의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core속의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납에서는 차이가 컸다. 그러나 연륜별 증감의 패턴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Distributions of Metallic Elements in the Sediment Cores from Several Shellfish-Farming Bays in Korea

  • Hwang, Dong-Woon;Yang, han-Soe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1호
    • /
    • pp.17-23
    • /
    • 2003
  • We report the distribution of $^{210}$ Pb and various metallic elements (Al, Fe, Mg, Ca, Ti, Mn, Sr, Ba, Zn, V, Cr, Zr, Ni, Cu, and Y) in the sediment cores from six shellfish-farming bays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210Pb}$ inventories in Deukryang, Gwangyang, and Goseong Bay cores were comparable to those expected from the known fallout input. However, the $^{210}$ Pb inventories were two times higher in Jinju, Gangjin, and Hansan-Koeje Bay cores, suggesting an important role of other sources such as fluvial inputs. Based on the enrichment factor analyses, non-detrital fractions of all the measured element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e Mn was highly enriched only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Jinju and Goseong Bay, which implies that the surface-sediment environment of these bays is efficiently oxidizing Mn remobilized from either pore waters or bottom seawaters. These data set provides the sources of heavy metal in sediment around shellfish farms and the current level of metallic elements for the future monitoring.

패류양식해역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과 중금속 분포 및 오염현황 (Distribution and Pollution Status of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 이가람;황동운;황현진;박정현;김형철;권정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99-709
    • /
    • 2017
  • 우리나라 남해안의 대표적인 패류양식해역 중에 하나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 중 유기물과 중금속의 분포 및 오염현황을 이해하기 위해 입도와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중금속 9종(As, Cd, Cr, Cu, Fe, Hg, Mn, Pb, Zn)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성만 주변 퇴적물은 세립질의 점토(clay)와 니(mud)로 이루어져 있었다. 유기물과 중금속은 만의 입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퇴적물중 유기물 및 중금속의 분포와 C/N 비(5-10)를 고려하였을 때, 고성만 퇴적물 중 유기물은 해역 자체 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된 해양기원성 유기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중금속은 만 주변 혹은 만내 산재해 있는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가지 퇴적물 오염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고성만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성만 퇴적물은 전 해역에 걸쳐 중금속에 대하여 약간 오염된 상태였으며, 만의 북쪽과 북동쪽의 일부 해역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가 높아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과 함께 지속적인 양식활동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오염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한다.

광산폐수의 중금속처리기술의 개발 (Developing decomposition of heavy metals in mining ground waste water)

  • 이영신;오대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6-100
    • /
    • 2002
  • 본 연구는 광산지역에 있어서 중금속에 의한 광산폐수 오염을 방지하고 그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높은 양이온 치환능력을 가진 환경 보전성 재료를 선택하는 데에 있다. 이에 환경보전성 재료로써 고령토, 실리카, 제올라이트, 폐석탄재 등을 선정하였고, 이 재료를 광산폐수에 적용하여 광산폐수의 중금속 수준을 감소시키고 유출수의 수질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진 금·은·동 광산 주변에 방치된 폐석의 환경적 영향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Waste Rump in the Dongjin Gold-Silver-Copper Mine)

  • 이무성;전서령;나춘기;정재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1호
    • /
    • pp.45-55
    • /
    • 1996
  • Although the Dongjin Au-Ag-Cu mine had been abandoned since about forty years ag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dispersion patterns and contamination level of heavy metals in the hydrologic system flowing via the waste rump show that the environmental impacts from the mine wastes are still significant. The stream water in the vicinity of the waste rump is severely acidified (pH 3.8 to 4.4) and highly enriched in various dissolved heavy metals.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stream water and stream sediments are systematically attenuate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mine area. However, it is worth to note that continuous atten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both media were reenriched in downstream area more than 800 m apart from the mine because it can be acted as a secondary source of heavy metal pollution. The heavy metals, especially Cd, Cu and Zn of polluted downstream sediments mainly occur in Fe-Mn oxides and organic materials, which indicates that these elements are the main pollutants from the waste rump of the Dongjin min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crops, such as sesame, perilla, red Pepper and brown rice, collected from the polluted farm land in the downstream area are lower than those of land plants from stream sides, but significantly higher in Cd, Cr, Cu and Zn than those from the unpolluted farm land. Especially, almost all of the crops in polluted farm land have been severly contaminated by Cd (>0.4 ppm). On the other hand,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crops collected from refreshed farm land by means of a soil addition method shows significantly lowered level comparing with those of polluted area, which indicates that a soil addition method was effective for the refreshment of polluted farm land by toxic metallic pollutants. Wormwoods from this area showed very high contents in a11 the heavy metals even in unpolluted area (Cd > 1 ppm, Cr > 1 ppm, Cu > 11 ppm, Pb> 4 ppm, Zn > 55 ppm), indicating that a special caution must be payed when one takes ingest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