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etal Contents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2초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의 해송(海松) 연륜(年輪) 속의 중금속(重金屬) 분석(分析) (Analysis of Heavy Metals in Annual Rings of Pinus thunbergii at Air Polluted Area)

  • 김종갑;오기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29-437
    • /
    • 1999
  • 대기오염지역에서 중금속오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온산공단 주변에서 생육하고 있는 해송을 원판으로 채취하여 연륜 속의 중금속함량을 3년씩 나누어 분석하였다. 온산공단지역에서 연륜폭의 변화는 공장이 가동된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1991년 이후에는 급격한 감소현상이 나타나 해송의 가시적인 쇠퇴현상과 일치하였다. 온산공단지역 해송 연륜 속의 카드뮴 함량은 119.4ppb에서 867ppb로 나타났으며 1992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구리 함량은 최저 309.5ppb에서 최고 3686.8ppb로 나타났다. 납의 함량은 911.33ppb에서 7997.1ppb로 나타냈으며, 1970년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공장가동 이후인 1980년 이후에는 증가폭이 컸다. 아연의 함량은 3528.7ppb에서 23826.7ppb로 나타났으며, 1960년 이후부터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1992년 이후에는 급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비오염지역인 고성지역 해송 연륜 속의 중금속 함량은 모두 온산공단 지역보다는 많이 낮았으며, 특히 1990년 이후에는 차이가 컸다. 온산과 고성지역 해송의 수피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카드뮴 함량에서는 10배, 구리 함량에서는 1000배, 납 함량은 285배, 아연 함량에서는 133배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원판과 core의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core속의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납에서는 차이가 컸다. 그러나 연륜별 증감의 패턴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가축분 퇴비의 중금속 함량 및 화학적 형태별 특성 (Heavy Metals Content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mpost from Animal Manures)

  • 고한종;김기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0-17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tal heavy metals contents and chemical forms in the animal manure compos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9 compost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raw materials; pig manure, poultry manure and mixed(pig+poultry+cattle) manure. The compost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metal content and sequential chemical extraction to estimate the quantities of metals. Results: Concentrations of Zn and Cu in several compost samples were higher than the maximum acceptable limits by the Korea Compost Quality Standards. Concentrations of Zn, Cu, and Cd in compost samples were 257~5,102, 68~1,243, and 0.02~2.54 mg/kg respectively, while Cr, Ni, As, and Pb were < 20 mg/kg.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pig manure compost were higher than those of both the poultry and the mixed manure compost. The predominant forms for extracted metals were Cr, Ni, Zn, As, and Pb, residual; Cu, organic; and Cd, carbonate. Conclus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 Zn and Cu contents in compost were higher than other heavy metals and the heavy metal contents were greater in pig manure compost followed by mixed and poultry manure compost.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oil where animal manure compost is applied, strategy for reducing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animal manure and compost must be considered.

토지이용 형태별 벌개미취의 생육 및 중금속 흡수능 (Growth and Heavy Metal Absorption Capacity of Aster koraiensis Nakai According to Types of Land Use)

  • 주영규;권혁준;조주성;신소림;김태성;최수빈;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4
    • /
    • 2011
  • 본 연구는 자생 벌개미취를 이용하여 다양한 토양에 오염된 중금속의 정화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 밭 및 수림지에 벌개미취를 식재하여 8주간 재배한 후 생육 및 중금속 흡수능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 밭 및 수림지에서 8주 동안 재배한 결과 벌개미취는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중금속 내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중금속에 오염된 다양한 토양에서 벌개미취가 흡수한 비소, 카드뮴, 구리, 납 및 아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벌개미취는 5종의 중금속을 모두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 및 토성에 따라 흡수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비소, 카드뮴 및 구리의 경우에는 토양 내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이 높을수록 흡수능이 증가되었다. 납은 토양 내 중금속의 함량 보다는 토성에 의하여 흡수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질토인 수림지에서 흡수능이 가장 증가되었다. 아연의 흡수능은 토양 내 아연의 함량과 토성이 모두 영향을 미쳤는데, 고농도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논과 밭에서 재배하였을 때 아연의 흡수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벌개미취는 중금속에 대한 내성이 있으며, 다양한 중금속에 대한 흡수능이 우수하므로 중금속으로 오염된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 가능한 경관식물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시 어린이 놀이터의 토양 중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on the Playgrounds for Children in I area)

  • 이충대;이윤진;조남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7-62
    • /
    • 2001
  • The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heavy metal pollution of soils at the playground for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distribution I city. The studied area was divided into two: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industrial area. The samples of the sands and soils were collected from both area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All average concentration of 6 different heavy metal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standard of soil pollution. Zn, Pb and cu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other species of heavy metal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soil were higher than the sands. The average contents of Zn, Pb, Cu, As, Hg and Cd in soil were 38.36, 9.53, 7.31, 0.03, 0.18 and 0.09 mg/kg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e residential area,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he industrial area were 4.60, 1.49, 2.60 and 4.29 times for Zn, Pb, Hg and Cd in soils, respectively.

  • PDF

장항 제련소 지역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환경광물학적 연구 (Heavy Metal Speciation in Soils from the janghang Smelter Area)

  • 여상진;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9-147
    • /
    • 1997
  • The Janghang smelter is the first lead, zinc and copper smelting facility in Korea which was operated for a half century from 1936 to 1989. The clay minerals and their heavy metal association in the soil profile around the smelter have been studied using XRD, EPMA, SEM-EDS, TEM, EPR and sequential extraction techniques. The soils in A horizon are highly acidic showing pH 4.45. The pH is going up with increasing depth. They have residual water contents of 1.18-1.51 wt%, loss on ignition of 6.32-7.79 wt%, and carbon contents of 0.08-0.88 wt%. Soils consist of quartz, feldspar, muscovite, kaolinite, vermiculite, biotite, chlorite, goethite and hematite in the decreasing abundance. The contents of clay minerals, especially vermiculite and chlorite, decrease with increasing depth. Sequential extraction experiments for the profile samples show that heavy metals (Zn, Cu, Pb, Cd) are highly concentrated in the A horizon of the soil profile as water-extractable (mostly amorphous), MgCl2-extractable (exchangeable in clay minerals), and organic phases. The heavy metal contents decrease with increasing depth. It suggests that the heavy metals are mainly associate with clay minerlas in an exchangeable state. It is also noted that heavy metals are highly concentrated in the manganese and iron oxide phases.

  • PDF

만경강 . 동진강 하구역 생물체(벼, 패류, 망둑어) 중 중금속 함량 및 분포 (Heavy Metal Content and distribution of Bioorganisms in Mankyeong.Dongjin River Area)

  • 권용훈;황갑수;장재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6-121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distribution in bioorganisms from the estuary area of Mankyeong-Dongjin river. In paddy plant,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in order of Zn>Cu>Pb>Cr>Cd in all parts. Those of Cd, Cr, Pb and Cu were all highest in the leaf while lowest in the brown rice. The average content of Zn was almost similar in all parts. In the dried muscular parts of shellfish,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in the range of 1.06~1.95 mg/kg for Cd, 2.93~4.98 mg/kg for Cr, 0.90~1.17 mg/kg for Pb, 8.41~18.58 mg/kg for Cu and 29.81~67.31 for Zn, respectively, In fish(Acanthogobius hasta), the averag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dried body parts were in the range of 0.05~0.43 mg/kg for Cd, 0.65~4.59 mg/kg for Cr, 1.01~4.75 mg/kg for Pb and 1.34~4.19 mg/kg for Cu, with high accumulation in bone and head overally.

  • PDF

폐광산지역 농산물, 토양 및 농경수의 중금속오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oils and Irrigation Waters in Abandoned Mines)

  • 김미혜;소유섭;김은정;정소영;홍무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8-182
    • /
    • 2002
  • 전국 폐광지역(48곳) 평야지역(8곳) 농산물(280건), 토양(280건), 농경수(48건)를 채취하여 수은 함량은 Mercury analyzer로, 납, 카드뮴, 비소 등 중금속은 습식분해후 ICP, AAS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평야지역에 비해 폐광산지역의 토양에 있어 크롬을 제외한 수은, 납 등 중금속 함량이 더 높았으며 농경수에 있어서는 수은을 제외한 다른 중금속함량이 더 높았다. 폐광산지역의 농산물중 납, 카드뮴 등 중금속 함량은 평야지역에 비해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구리 함량은 평야지역의 농산물이 다소 높았다. 토양과 농산물중 납 등 중금속함량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앞으로도 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국민건강증진차원에서 폐광산지역의 토양, 농산물중 중금속 함량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북지역 강과 저수지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숙 함량에 관하여 (A Study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Carassis auratus of River and Reservoir on Cheonbuk Area)

  • 김인숙;한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27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armful heavy metals were sampled from Aug. 1 to Aug. 31, 1997, at 9 areas in Cheonbuk area. The heavy metal contents were determinated by ICPS(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method. The levels of total lead, cadmium, aluminum, iron and copper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ppm) of 9 areas of Carassius auratus were Pb: 2.03~6.19, Cd: 0.06~ 0.76, Al: 8.84~23.5, Zn: 10.68~48.71, Cu: 0.60~1.51ppm. Among the five heavy metals contents, the highest was zinc and the lowest was cadmi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b, Cd, Al, Zn and Cu in Carassius auratus were lower than the FAO/WHO maximum allowance.

  • PDF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 투여가 실험동물의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ilax china L. Rhizome Extract on Heavy Metal Contents in Rats)

  • 강혜숙;유한춘;최유리;김후경;조선미;윤병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3-238
    • /
    • 2011
  • 한방에서 토복령으로 알려진 청미래 덩굴 뿌리(Smilax china L. rhizome) 추출물 투여가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4주령 SD rat을 대상으로 중금속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중금속(Pb, Cd, As, Hg) 투여한 대조군 및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SCE)을 체중 kg당 13 mg(SC1)과 26 mg(SC2)씩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증가나 표적 장기의 무게는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에서의 중금속 축적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CE 투여군에서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SC2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간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SCE 투여군에서 Cd을 제외하고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경우 SC2군에서 Pb와 Cd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털에서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SC2군에서 Pb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체내의 중금속 축적 장기인 간과 신장 그리고 혈액 및 털에서 Pb와 Cd, As, Hg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CE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한강으로 유입된 저질중의 중금속오염도 조사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 of the Han River)

  • 신정식;박상현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1호
    • /
    • pp.83-93
    • /
    • 1991
  • For the survey of water pollution, several heavy metals were analyzed in the sediment of the Han River from March 20 to April 22,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spective range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Cadimium, Lead, Copper, Zinc and Manganese found in the sediments of the Han River were 0.32!2.41 $\mu g/g$, 15.80~129.64 $\mu g/g$, 13.82~372.36 $\mu g/g$, 58.40~925.40 $\mu g/g$, 271.50~668.30 $\mu g/g$. 2. In the sediment of inflow site Jung Rang Chon the contents of Lead, Copper, Zinc were the highest among other sampling points and An Yang Chon, the contents of Cadmium, was the highest among other sampling points and Wang Sook Chon, the contents of Manganese, was the highest among other sampling points. 3. Through all sampling points general trend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showed the highest in Zinc, the next Manganese, Copper, Lead and Cadmium respectively. 4. The higher amount of heavy metal was found in the finer particles of sediment. 5. The amount of Cadmium and Lead of the Han River water was below the standard of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