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en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5초

『소문(素問)·기궐론(氣厥論)』의 오장(五臟)의 한열(寒熱)이 전이(傳移)되는 원리(原理)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principle of Heat and Cold metastasis among the Five Viscera on the Gigualron of Somun(素問·氣厥論))

  • 정헌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9-76
    • /
    • 2014
  • Objectives : The metastasis among the Five Viscera are given, passim, in the Hwangjenaegyeong (黃帝內經). Generally, the metastasis among the Five Viscera followed 'mutual generation' and 'mutual overcoming' of the Five Elements. But, the metastasis among the Five Viscera on the Gi Gual Ron not followed. The metastasis are connected with the Eight Diagrams. The Eight Diagrams are classified 'Earlier Heaven' and 'Later Heaven'. It also be assigned the Five Elements. Results : The metastasis order and the principle of shift its location from 'Earlier Heaven' to 'Later Heaven' are similar. Conclusions : Therefore, the metastasis among the Five Viscera on the Gi Gual Ron is based on the law of shift its location from 'Earlier Heaven' to 'Later Heaven'.

대순사상에서 '인사(人事)'의 의미 고찰 - '천도(天道)'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Human Affairs'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Its Relation to 'the Way of Heaven')

  • 김의성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445-479
    • /
    • 2024
  • '천도(天道)'로부터 '인사'의 의미를 찾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사상적 맥락은 '인도(人道)'의 근거를 '천도'에 두면서 성립된다. 대순사상에서 '인사'의 의미 또한 기본적으로 '인도'의 근거인 '천도'라는 구조 속에서 도출된다. 하지만, '천도'와 '인사'의 관계는 특별하게 드러나고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천도'의 개념이 이법적이며 본체적인 측면과 더불어 능동적인 의미로 확장되면서 고유한 '인사'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천도'가 지닌 이러한 특징은 상제의 천지공사(天地公事)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사재인(謀事在人) 성사재천(成事在天)'의 원리가 '모사재천(謀事在天) 성사재인(成事在人)'으로 변화된다는 것은 인간과 하늘의 관계가 새롭게 규정되면서 드러나는 '인사'의 원리다. 또한 새롭게 변화된 인간과 하늘의 관계는 '신인의도(神人依導)'라는 신인관계의 원리로 제시되면서 대순사상이 지닌 '인사'의 원리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그에 따라 드러나고 있는 대순사상의 '인사'가 완성되는 두 가지 방향은 영통(靈通)과 신인조화(神人調化)라는 '인사' 완성의 두 가지 경지로 표현된다. '인사'가 '천도'를 지향하는 두 가지 경로는 초월성과 내재성을 포괄하는 차원에서 나아가 심화한 논점들을 보여주게 된다. 그중의 하나인 '천도'와 상제(上帝)의 관계에 관한 내용은 대순사상의 '인사'의미가 지닌 차이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다. 대순사상의 '천도'는 상제의 천지공사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제의 초월성으로부터 연유되었다. 그러면서도 외적인 차원에서 '천도'와 합일을 이루는 '인사'완성이 긍정된다는 점에서 '인사'와 대비되는 '천도'의 초월성 또한 인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다른 층위의 두 가지 초월성을 인정하는 관점은 절대적 유일신관과 대조되는 대순사상의 신관을 염두에 둔 것이다.

후천세계가 지향하는 인간상 탐구- 정역의 지인(至人)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Human in World of Post-Heaven: Focusing on perfect man of Right I Ching)

  • 박혜순
    • 대순사상논총
    • /
    • 제25_2집
    • /
    • pp.103-136
    • /
    • 2015
  • The theory of post-heaven provided Korea's many emerging national religions with spiritual ground. The I Ching originated in China emphasizes the principles of change or static aspects of world, while Right I Ching, which Il-Bu Kim suggested, underlines dynamic aspects of world. Il-Bu Kim is perceived to open a new stag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of I Ching in this regard. His most remarkable contribution is the view of Great Opening Era of Post-Heaven, according to which the clock of cosmos shows the era of great change from Pre-Heaven to Post-Heaven and in the world of Post-Heaven everything will take its proper place. As to human society, Il-Bu Kim foresaw the change from disharmony to harmony, imbalance to balance and era of xiaoren to that of junzi. The advent of such a new world, however, asks human's moral revolution as a prerequisite.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hought, human is the center of the Samjae, Heaven-Earth-Human and the only being which could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Without the change of human mind, however, human can neither participate in the growth of Heaven and Earth nor expect the right change of Heaven and Earth. Even though the world of n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smic harmony,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 the real change of Heaven and Earth can be achieved only with moral change of human. The human in the Right I Ching is a free man who sticks to nothing and communicates with cosmos with empty mind. This is the very image of perfect man(至人). The perfect man in the Right I Ching is the main agent of everything, that's to say, the main agent of the great opening to Post-Heaven Era. This is the reason why most leaders of Koran emerging religions concentrate on the change of human. In this regard, Jeung-San Kang encouraged people to become the perfect man through the purification of mind and body an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depending on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the Right I Ching. Cheok and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the mutual beneficence of all life are what he suggested as a method of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Such a view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the accumulated sinful behaviors are obstacles to cosmic change and the time of mutual beneficience opens with the removal of the obstacles. If such religious practices are so effective, as Jeung-San Kang says, that future world could consist of perfect men who have achived the great opening of inner man, moral change, and change of consciousness, we could expect that the activities of xiaoren will be shrinked and junzi will be welcomed, as the Right I Ching predicts.

묵자의 「천지(天志)」, 「명귀(明鬼)」 및 「비명(非命)」 편 분석을 통한 천인(天人)관계 고찰 (Consideration about 'Heaven and Man' from review and analysis of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of Mozi)

  • 황성규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65-190
    • /
    • 2017
  • 이 글은 묵자가 기술한 "천지(天志)", "명귀(明鬼)" 그리고 "비명(非命)" 세 편에 내재된 주안점이나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묵자의 '천(天)'과 '인(人)'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천지"와 "명귀"는 '천'이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묵가 학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진된 것이며, 묵자의 유신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비명"편은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인식 방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묵자의 무신론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글이 보기에, "천지"편은 통치자나 일반 백성이 어떤 점에 입각해서 통치하며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원리적 성격의 행위 준칙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부응하거나 위배되었을 때 직접 나서서 상을 주거나 응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바로 귀신이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뜻'에 입각하여 현실 사회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에 의해 나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나의 명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을 하는 인간에 대해 하늘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 "비명"편의 주된 논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지", "명귀"와 "비명"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며, 유신에서 무신으로의 전회도 아닌 것이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이 하는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명확히 구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천지", "명귀" 그리고 "비명"에서 명확히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천인상응(天人相應)의 관점에서 바라본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인체관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in "Huangdineijing"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 임채광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55-863
    • /
    • 2012
  • The organic and holistic recognition method about nature in east asian philosophy is also applied to the study of the human body in Korean medicine. In Korean medicine, the human body is being understood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rather than a mechanical or reductive one. The main east asian philosophies are the heavens thought and the Yin-yang/Five Phase Theor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influence the general flow of heavens thought has on explaining the human body in Korean medicine and the formation of how the human body is perceived in "Huangdineijing"(黃帝內經). First, the primitive meaning of heaven was developed to include the natural heaven of Xia (夏), the lord heaven of Shang(商) and the moral heaven of Zhou(周) dynasties. Among these, the natural heaven notion of the Xia(夏) dynasty which recognized heaven as the one with the power to create everything. This was followed by Taoism which established the contrasting system of heaven and earth. Based on this, "Huangdineijing"(黃帝 內經) developed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taking into account, heaven as the original substance to generate the human body through the mutual sympathy between heavenly energy and earthly form. The perspectiv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in "Huainantzu"(淮南子) and "L$\breve{u}$shichunqiu"(呂氏春秋) was succeeded by Tung Chung-Shu(董仲舒). Based on this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in "Huangdineijing"(黃帝內經) is related to the seasonal cycle and the notion of night and day to balance the physiology of the human body. It recognizes that its structure, shape, emotional state and physiological actions are correlated with heaven.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의물사상(宜物思想) 연구(硏究) (A Study on 'Idea of Uimul' (宜物思想) in "Hwangjenaikyung(黃帝內經)")

  • 박철;김수중;정창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3-124
    • /
    • 2008
  • The main characteristic of 'Idea of Uimul(宜物思想)' lies in specifically laying down rules on the subject of thought, and creating correlated measures and ways based on those grounds. Thus, 'Ui(宜)' emphasizes the pertinence of the measures and ways. By making a detailed analysis, the importance of 'Mul(物)', the subject of thought, the perception of it, the human reaction to it, and the specific principle of the action, can be seen. Ancient Chinese considered Heaven and Earth the largest frame of perception, and perceived all things through it. Heaven and Earth was differentiated from 'Gi'(氣), and the Gi of Heaven and the Gi of Earth interacted with one another in endless motio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considered nature and all things in it through this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It considered humans to be born from the Gi of Heaven and Earth and to associate with one anoth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Gi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the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is the fundamental frame of Idea of Uimul(宜物思想). On the other hand, the Ui(宜) in Idea of Uimul(宜物思想) indicates the pertinent measures and ways towards a subject, that is, humans acting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laws of Heaven and Earth inside the ideology of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天人相應)'. Humans are affected by nature and adapt to it, but they also recognize the laws of nature and strive to wholly protect the human life by versatilely taking adequate measures against the numerous changes of nature.

  • PDF

Story of the monkey: The modular narrative and its origin of

  • Wang, Lei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9호
    • /
    • pp.61-75
    • /
    • 2012
  • The essay explor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feature animation, (a.k.a. Da Nao Tian Gong, 1964). The film is presented with a modular structure which is quite unique compared with the storytelling in feature animated films from other cultures, but could be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narrative structure in Chinese Zhanghui style novels in Ming and Qing Dynasty. By rela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story, the 16th century novel Journey to the West (a.k.a. Xi You Ji), with the film , the essay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the narrative tradition i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fluenced the Uproar in Heave for its segment narrative structure, character driven storytelling strategy and mirrored repetitive 2 plot lines. The subject of this essay is even more significant after the restored 3D version of was re-released in the spring of 2012 and became one of the best-selling animated feature film in the history of the country.

『난경(難經)』의 용어 '원기(原氣)'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소고(小考) (Discussion for the periodical basis of 'Wongi(原氣)' described in 『Nanjing(難經)』)

  • 김진호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60
    • /
    • 2014
  • Objectives : Actually Wongi did not exist in "Neijing(內經)" as a word. Wongi is one of specific features that distinguish "Nanjing" from "Neijing". I have researched for the foundation of history and thought. Methods : I have looked into cognitive variation for Heaven (天), that is from Chinese ancient times through the period of the Han (漢) Dynasty. Results : 1. Before the period of the Yin (殷) Dynasty : There was some worship. 2. The period of the Yin Dynasty : The Lord (上帝) was respected and idolized. 3. The period of the Zhou (周) Dynasty : That the origin of existence is also in human was recognized through Doctrine of Heaven (天命思想). 4. The period of the Han Dynasty : Doctrine of Heaven was transfigured as ideological instrument for politics. The spiritual and physical human's independence was flowed into even though it was not separated from Heaven. Conclusions : As concerned above, the variation shows that consideration for the origin of existence flowed from the outside of human being, like the progenitor of human race, nature, and Heaven, through inside gradually. In the other words, the origin of existence was come to inquire inside of human being. As an aspect of medical science, it can be showed that the term of Wongi was influenced of these process.

『중용(中庸)』의 천인심성합일(天人心性合一) 수양론(修養論) (Theory of self-cultivation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 서은숙
    • 동양고전연구
    • /
    • 제35호
    • /
    • pp.243-2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용"의 내용을 중심으로 천인심성합일(天人心性合一)의 수양론(修養論)을 다루었다. 먼저 천인합일(天人合一)에 관하여 보면, "중용"에서는 천도(天道)의 의미를 중용(中庸), 성(誠), 성(性), 성(聖), 달도(達道), 도심(道心) 등으로 보고 있고, 인도(人道)의 의미를 중화(中和), 성지(誠之), 유(俗), 도(道), 교(敎), 달덕(達德), 인심(人心) 등으로 보고 있다. 천도는 우주의 생성, 운동법칙이며 이러한 천도는 사람에게 性을 부여한다. 이러한 천도를 이루기 위해서 인간이 마땅히 행해야만 하는 것이 인도이며, 사람이 인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도와 천도는 합일된다. 다음으로, 심성합일(心性合一)에 관하여 보면, 이는 중화(中和)의 개념을 통하여 설명되는데, 사람이 마음을 바로 하여 정(情)을 올바로 발휘하는 것이 곧 성(性)과 합일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인심성합일이 이루어지면 나타나는 그 공효는 수신이 기본이 된 구경(九經)으로 온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천도와 인도의 관계 및 심과 성의 관계는 오달도 삼달덕 등 성(性)과 도(道), 교(敎)와의 관계로 설명되고, 구체적으로는 수신(修身)-사친(事親)-지인(知人)-지천(知天)의 관계로 설명되며 또한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중화(中和)를 통한 심성의 합일로 설명된다. 그런데 천도와 인도의 합일, 심과 성의 합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람의 수양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 방법은 존심(存心)과 치지(致知)로 대표될 수 있고, 또한 신독(愼獨)과 계신공구(戒愼恐懼)를 통한 시중(時中), 충서(忠恕)와 택선고집(擇善固執)과, 심성합일(心性合一)의 방법으로 치중화(致中和)가 있다.

장식(張?)의 수양 공부론 (Zhangshi(張?)′s theory of moral self-cultivation)

  • 이연정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91-214
    • /
    • 2017
  • 장식은 주희 여조겸과 함께 동남삼현으로 불리울 만큼 저명한 학자이다. 그는 주희와의 사상적 교류를 통해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그에 비해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고는 장식의 수양 공부를 연구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아 그의 사상철학 전반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의 수양 공부는 형이상학적 정초(定礎)위에서 심성론을 수립하여 천인합일을 이루는 경로에서 심의 주체성을 특히나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적 경향에서 그의 수양 공부론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다. 본 논고는 천인합일사상을 근거로 삼아 천도와 인도를 합치하는 과정을 토대로 수양 공부 방법에 접근하는 방식을 취한다. 우선 장식에게 있어서 천(天)과 인(人)의 의미를 고찰하고 두 가지 범주의 관계성 속에서 합일경로로서 수양공부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천인합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심의 주체성을 강조할 뿐 아니라 인간이 하늘에 합치할 가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는 장식의 독자적인 철학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 작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