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self-cultivation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 in the Doctrine of the Mean

『중용(中庸)』의 천인심성합일(天人心性合一) 수양론(修養論)

  • Received : 2009.05.18
  • Accepted : 2009.06.2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修養論) fo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Mind and Nature(天人心性合一) in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In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meaning of the way of Heaven are doctrine of the Mean, sincerity, Nature, Sage, five ways forward, mind of the way, and the meaning of the way of man are thinking to be Cheng(誠之), secularity, the way, education, three methods of excelling, the way of man. The way of Heaven(天道) i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give the original Nature to Mankind. The way of Man(人道) is what man should do to accomplish the way of Heaven, and in that process,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ccomplished. The unity of the mand and natur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mind's equilibrium-harmony. When the emotion arise rightly by rectifying mind, the mind unify with the original nature. After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 whole world can governed by nine guidelines(九經) on the base of self-cultivation.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get the unity of Heaven and Man and the unity of mind and nature. These are represented by the preserving mind and extending knowledge. In that methods, right timing by watchful when alone, loyalty-sympathetic understanding, selecting Goodness and holding on to it firmly, and fulfilling the mind's equilibrium-harmony

본 연구에서는 "중용"의 내용을 중심으로 천인심성합일(天人心性合一)의 수양론(修養論)을 다루었다. 먼저 천인합일(天人合一)에 관하여 보면, "중용"에서는 천도(天道)의 의미를 중용(中庸), 성(誠), 성(性), 성(聖), 달도(達道), 도심(道心) 등으로 보고 있고, 인도(人道)의 의미를 중화(中和), 성지(誠之), 유(俗), 도(道), 교(敎), 달덕(達德), 인심(人心) 등으로 보고 있다. 천도는 우주의 생성, 운동법칙이며 이러한 천도는 사람에게 性을 부여한다. 이러한 천도를 이루기 위해서 인간이 마땅히 행해야만 하는 것이 인도이며, 사람이 인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도와 천도는 합일된다. 다음으로, 심성합일(心性合一)에 관하여 보면, 이는 중화(中和)의 개념을 통하여 설명되는데, 사람이 마음을 바로 하여 정(情)을 올바로 발휘하는 것이 곧 성(性)과 합일이 됨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천인심성합일이 이루어지면 나타나는 그 공효는 수신이 기본이 된 구경(九經)으로 온천하가 다스려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천도와 인도의 관계 및 심과 성의 관계는 오달도 삼달덕 등 성(性)과 도(道), 교(敎)와의 관계로 설명되고, 구체적으로는 수신(修身)-사친(事親)-지인(知人)-지천(知天)의 관계로 설명되며 또한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중화(中和)를 통한 심성의 합일로 설명된다. 그런데 천도와 인도의 합일, 심과 성의 합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람의 수양을 통하여 가능하다. 그 방법은 존심(存心)과 치지(致知)로 대표될 수 있고, 또한 신독(愼獨)과 계신공구(戒愼恐懼)를 통한 시중(時中), 충서(忠恕)와 택선고집(擇善固執)과, 심성합일(心性合一)의 방법으로 치중화(致中和)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