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ing Condition

검색결과 1,300건 처리시간 0.025초

건조양파 제조를 위한 증숙 및 건조 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Steaming and Drying Conditions for Onion Dehydration)

  • 최인학;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03-711
    • /
    • 2012
  • 양파는 건강기능성이 우수한 농산물이지만 수확기가 우기와 겹쳐 비에 젖은 상태로 수확되거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저장성이 낮아 양파의 저장 및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양파의 증숙 및 건조를 위한 증숙시간($X_1$, 5~25 min), 건조온도($X_2$, $55{\sim}70^{\circ}C$) 및 건조 시간($X_3$, 4~20 hr)을 모니터링함으로서 품질이 우수한 건조양파 소재를 얻고자 하였다.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0.9514 및 0.9455로 1%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Hunter's L, a & b value)에 대한 회귀식의 $R^2$가 각각 0.9419, 0.8818, 0.9360으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모두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나 b값은 증숙의 영향이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회귀식의 $R^2$가 0.8867로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최적 증숙 및 건조 조건인 증숙시간 13.14 min, 건조온도 $63.11^{\circ}C$ 및 건조시간 14.49 hr에서 5.92로 나타났다.

삼나무 열처리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eat-treated Domestic Cedar)

  • 김광모;박정환;박병수;손동원;박주생;김운섭;김병남;심상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30-3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 재색제어에 적합한 적정 열처리 조건을 구명하고, 열처리에 따른 다양한 재질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산 삼나무에 대한 온도제어 열처리를 통하여, $170^{\circ}C$ 이상의 열처리 조건에서 심변재 사이의 재색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 열처리재의 평형함수율이 무처리재에 비해 50% 정도 낮아 목재의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수분에 의한 성능저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열처리가 부후균에 대한 내후성 증가에도 영향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친환경 방부처리 기술로써 열처리의 적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재의 역학성능은 무처리재에 비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성이 감소함으로 인하여 충격휨흡수에너지는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열처리재의 용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물성 변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열처리에 의한 물성변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특별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물성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혼합 인산염의 첨가가 어류 연육의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 우상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4-548
    • /
    • 1997
  • 인산염의 첨가가 조기 및 갈치연육의 보수력 및 단백질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과 가열처리 후에 조기육을 원료로 가공한 어묵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4종의 시판 복합 인산염을 첨가수준별로 사용했을 때의 기능적 성질을 분석 검토하였다. 연육의 보수력 및 염용성 단백질량은 조기연육에는 인산염 B(sodium pol-phosphate 50%, sodium pyro-phosphate 20%, sodium tetra meta-phosphate 20%, sodium acid pyro-phosphate 5%, sodium ultra meta-phosphate 5%)를, 갈치연육에는 인산염 C(sodium poly-phosphate 40%, sodium pyro-phosphate 30%, potassium pyro-phosphate 15%, sodium tetra meta-phosphate 10%, hexa meta-phosphate 5%)를 각각 0.4% 첨가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때의 염용성 단백질의 용출량은 조기연육이 954mg%, 갈치연육이 686mg%였다. 조기육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어묵의 적정 가열조건은 85$^{\circ}C$에서 45분간 가열한 것이 조직감이 양호하였다. 한편 121$^{\circ}C$에서 10분간 가열한 경우는 C 인산염이 다른 인산염에 비하여 어육 단백질의 열안 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TiO3와 PbTiO3에 대한 상(相)전이 연구와 규산염 페롭스카이트의 합성 (Phase Transition Studies on BaTiO3 and PbTiO3 and Synthesis of Silicate Perovskite)

  • 김영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4-103
    • /
    • 1988
  • YAG (Yttrium Aluminum Garnet) 레이저와 다이아몬드앤빌셀 (DAC)을 이용하여 페롭스카이트 구조물질중 $BaTiO_3$$PbTiO_3$에 대한 상(相)전이와 $MgSiO_3$$(Mg_{0.87},\;Fe_{0.13})SiO_3$ 성분(成分)의 사방휘석으로부터 규산염 페롭스카이트를 합성하였다. $BaTiO_3$$PbTiO_3$는 실온의 2.6 GPa와 4.0 GPa에서 각각 정방정계에서 등축정계로 상(相)전이하며 고온, 고압하에서 매우 넓은 안정영역을 갖고 있다. $MgSiO_3$ 엔스테타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였을 경우 약 33 GPa, $1,000^{\circ}C$의 조건하에서 페롭스카이트가 주성분인데, 일메나이트, 감마스피넬, 스티쇼마이트도 부성분으로 나타난다. $(Mg_{0.87},\;Fe_{0.13})SiO_3$의 경우는 약 35 GPa와 $1,000^{\circ}C$에서 페롭스카이트상(相)이 주성분으로 나타나며, 베타스피넬, 스티쇼바이트와 본래 엔스테타이트상(相)도 유지되나, 일메나이트상(相)과 감마스피넬은 나타나지 않는다.

  • PDF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Micro Form Admixture)

  • 박영신;김정호;전현규;서치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1-109
    • /
    • 2013
  • 최근 전세계는 급격한 기후조건과 환경변화에 의해 냉난방 에너지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는 화석 연료 사용량 증가와 함께 $CO_2$ 배출량 상승, 지구 온난화 등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수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 및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정부의 '저탄소 녹색 성장' 및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등의 정책을 선포하는 등 건물 부분에 있어 환경과 에너지 관리에 대한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총 에너지 소비량 중 건물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5%에 달하며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연간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높은 편이다. 건물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부위는 외피로서, 이 부분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창호 및 단열재를 사용한 연구이며 건물 외피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자체에서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단열성능을 확보하면서 구조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Test 1의 실험결과로써, Micro Foam Admixture (MFA)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슬럼프 경시변화가 개선되었으며, MFA의 혼입율을 증가할 경우 압축강도는 감소되고 열전도율은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est 2의 실험결과에서는 물시멘트비 변화시 물시멘트비 증가에 따라 압축강도는 감소하였고 열전도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잔골재율 변화에 대한 물성 및 열적 특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흑미 혼용밥의 취반조건과 텍스쳐의 변화 (Cooking Conditions and Textural Changes of Cooked Rice Added with Black Rice)

  • 김두운;은종방;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2-568
    • /
    • 1998
  • 흑미(진도흑미와 수원 415호)를 백미(동진)에 5%, 10% 혼용하여 취반하고 texture analyser와 color and color difference meter를 이용하여 혼용밥의 텍스쳐와 색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진백미는 침지 50분 후에, 진도흑미와 수원 415호는 11시간 이후에 평형수화시간에 도달하였다. 수화에 필요한 가수량은 1.6배가 적당하였으며, 이 때의 경도는 진도흑미를 5% 첨가한 혼용밥에서는 $5.66\;kg_f$이었다. 침지온도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원415호가 진도흑미 보다 색소용출속도가 약 4배 빨라졌다. 흑미 색소용출액의 pH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는데 수원415호가 $20^{\circ}C$에서 120분까지 침지시 pH가 6.40에서 6.16으로 낮아졌다. 흑미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가수율에 관계없이 혼용밥의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a값)는 증가하였다. 혼용밥을 7일간 냉장$(4{\pm}1^{\circ}C)$ 보관한 후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가열시 취반 직후의 텍스쳐로 회복되는데 90초에서 120초 사이가 적당하였다.

  • PDF

마이크로파와 재래식 열원을 이용한 고체 전지용 Li$_2$O-2SiO$_2$계 전도성 유리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 of Li$_2$O-2SiO$_2$conduction glass system using conventional and microwave energies)

  • 박성수;김경태;김병찬;박진;박희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6-72
    • /
    • 2000
  • 재래식 및 마이크로파 가열법으로 열처리된 $Li_2O_3-SiO_2$계 글라스의 핵 생성 및 결정화 거동을 열분석법(DTA), X-선 회절(XRD), 광학 현미경(OM) 및 전기 전도도의 측정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재래식 및 마이크로피로 열처리된 시료들의 조핵 온도와 최대 핵 생성 온도는 동일하게 각각 460~$500^{\circ}C$$580^{\circ}C$이었다. 한편, 재래식에 비하여 마이크로파로 열처리된 시료에서는 부피 핵 생성이 일어나려는 경향이 컸다. 재래식 및 마이크로파로 열처리된 시편들에서 결정의 성장 속도는 결정화 열처리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마이크로파 열처리의 경우는 부피 핵 생성 경향 및 물질 확산 효과의 증대에 기인하여 결정 성장을 재래식 보다 빠르게 진행되었다. 재래식 및 마이크로파로 열처리된 시편들의 전기 전도도 값은 각각 1.337~2.299와 0.281~$0.911{\times}10^{-7}\Omega {\textrm}{cm}^{-1}$이었다.

  • PDF

자동차 연료호스, 인젝터 및 압력조절기 연결부에서 LP 가스 누출에 의한 화재사례 고찰 (Study for Fire Examples of LPG Leakage Including Fuel hose, Injector and Pressure Regulator Connector in Vehicle)

  • 이일권;국창호;서문원;정동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13
    • /
    • 2013
  • 이 논문의 목적은 LPG 자동차에서 연료누설에 의한 화재관련 사례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첫 번째 사례는, 엔진의 연료 레귤레이터 및 인젝터 사이의 고압호스와 연결되는 연료 라인을 수리한 다음 고정하는 볼트를 규정토크로 조이지 않아 호스가 빠지면서 LP 가스가 누출되어 엔진의 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사례는, 인젝터를 교환한 다음 흡기매니폴드 유닛의 조립부에 삽입할 때 고정하는 고정부를 점검하지 않고 고정부가 변형되어 휜 상태에서 조립한 결과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O링이 찢어져 이 사이로 연료가 누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사례는, 연료압력 조절기 유닛에는 연료 차단 솔레노이드 밸브가 연결되어 있는데 수리 후 이 연결 커넥터의 기밀작업을 철저하게 하지 않아서 미세하게 LP 가스가 누설되다가 어느 순간에 많은 양의 가스가 누설되면서 엔진의 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료 시스템에 문제가 없는지 철저하게 관리하여 화재의 발생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리튬 2차전지용 $LiCoO_2$양극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LiCoO_2$ cathode for Li rechargeable cell)

  • 문성인;정의덕;도칠훈;윤문수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7권4호
    • /
    • pp.317-324
    • /
    • 1994
  • In this study, new preparation method of LiCoO$_{2}$ was applied to develop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 rechargeable cell, and follow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initial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as function of current density. HC8A72- and CC9A24-LiCoO$_{2}$ were prepared by heating treatment of the mixture of LiOH H$_{2}$O/CoCO$_{3}$(1:1 mole ratio) and the mixture of Li$_{2}$CO$_{3}$/CoCO$_{3}$(1:2 mole ratio) at 850 and 900.deg. C, respectively. Two prepared LiCoO$_{2}$s were identified as same structure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a and c lattice constant were 2.816.angs. and 14.046.angs., respectively. The electrochemical potential of CFM-LiCoO$_{2}$(Cyprus Foote Mineral Co.'s product), HC8A72-LiCoO$_{2}$ and CC9A24 LiCoO$_{2}$ electrode were approximately between 3.32V and 3.42V vs. Li/Li reference electrode. Stable cycling behavior was obtained during the cyclic voltammetry of LiCoO$_{2}$ electrode. According as scan rate increases, cathodic capacity decreases, but redox coulombic efficiency was about 100% at potential range between 3.6V and 4.2V vs. Li/Li reference electrode. Cathodic capacity of HC8A72-LiCoO$_{2}$ was 32% higher than that of CFM-LiCoO$_{2}$ and that of CC9A24-LiCoO$_{2}$ was 47% lower than that of CFM-LiCoO$_{2}$ at 130th cycle in the condition of lmV/sec scan rate. Constant cur-rent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LiCoO$_{2}$/Li cell showed increasing Ah efficiency with initial charge/discharge cycle. Specific discharge capacities of CFM and HC8A72-LiCoO$_{2}$ cathode active materials were about 93mAh/g correspondent to 34% of theretical value, 110mAh/g correspondent to 40% of theretical value, respectively. In the view of reversibility, HC8A72-LiCoO$_{2}$ was also more excellent than CFM- and CC9A24-LiCoO$_{2}$.

  • PDF

울금의 가공적성 증진을 위한 Curcumin 추출 최적화 및 쓴맛 성분 완화 (Optimization of Curcumin Extraction and Removal of Bitter Substance from Curcuma longa L.)

  • 강성구;현규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22-726
    • /
    • 2007
  • 울금에 들어 있는 curcumin성분의 추출조건 확립 및 HPLC에 의한 최적 분석조건과 쓴맛성분 제거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메탄올에서 흡수파장은 424 nm 부근에서 최대흡광도를 보였으며, HPLC의 최적 분석조건은 UV 424nm에서 Zorbax eclipse $C_{18}$ column을 사용하여 분석할 경우, 이동상은 75% MeOH, 유속 0.8 mL/min에서 가장 좋은 분리 결과를 보였다. Curcumin 성분은 메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모든 시료구에서 상온 추출보다는 가열 추출이 더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또한 메탄올과 에탄올추출물의 curcumin 함량은 물 추출물에 비하여 상온에서 각각 14.8배, 14.2배 높았으며, 유기용매 가열추출은 2 가지 모두 상온보다 약 150 mg%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물과 메탄올추출물 모두 30분 이상에서는 크게 함량이 증가하지 않아 가열추출 시 60분 정도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열처리에 따른 울금의 쓴맛성분의 변화는 물추출물의 경우는 $80^{\circ}C$ 이상의 처리구에서 쓴맛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121^{\circ}C$ 처리구는 상온처리구 보다는 쓴맛이 약했으나 $100^{\circ}C$ 시료구보다 더 강한 쓴맛을 나타냈다. 에탄올의 경우는 상온과 $70^{\circ}C$ 두 시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