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Release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29초

덤프형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화염 불안정성의 사전 감지 인자 (Pre-detection Parameter of the Combustion Instabilities in the Gas Turbine Combustor)

  • 이병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5호
    • /
    • pp.750-756
    • /
    • 2002
  • The effect of equivalence ratio and velocity on the stability of flame in dump combustor was studied in an atmospheric pressure, laboratory scathe dump combustor operating natural gas. Traditionally, peak-to-peak pressure, fluctuation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Rayleigh index were used to find and control the combustion instability.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s, Ci,j which is defined as the normalized value of the integration of the product of two of the mixer pressure, dump plane pressure and heat release rate, are introduced to see whether the flame is stable or not. Ci,j shows more sensitive to combustion status than Rayleigh index in steadily burning flame.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amplitude of Ci,j between heat release and mixer pressure goes up before the flame at the rich de-stabilizing equivalence ratio near $\psi$=0.85. t means Ci:j at this case has a potential to detect the de-stablizing moment in prior to becoming unstable in dump combustor.

모형 가스터빈 연소기내 연소불안정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Instability Mechanism in a Dump Gas Turbine Combustor)

  • 이연주;이종호;전충환;장영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853-858
    • /
    • 2001
  • The knowledge of flame structure is essential for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y phenomena. Some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sm of naturally occurring combustion oscillations with a single dominant frequency are presented. Tests were conducted in a laboratory-scale dump combustor at atmospheric pressure. Sound level meter was used to track the pressure wave inside the combustor. The observed instability was a longitudinal mode with a frequency of $\sim341.8Hz$. Instability map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 of inlet temperature of $360^{\circ}C$, mean velocities of $8.5\sim10.8m/s$ and well premixed mixture. It showed that combustion instability was susceptible to occur in the lean conditions. In this study, unstable flame was observed from stoichiometric to 0.7 in overall equivalence ratio. At selected unstable conditions, phase-resolved OH chemiluminescence images were captured to investigate flame structure with various mean velocities. As mean velocity is increased, the flame grows and global heat release was changed. Due to these effects, combustion instability can be maintained at more lean air-fuel ratio. Also, these results give an insight to the controlling mechanism for an increasing heat release at maximum pressure.

  • PDF

암모늄염 처리 베니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94-198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물리적 성질과 가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로 처리된 베니어의 가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베니어의 열방출율을 측정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가연성을 감소시켰다. 도포된 베니어의 flashover 가능성은 R. V. Petrella에 의한 분류 방법에 따라서 착화시간과 최대열방출율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비중측정 결과 ammonium sulfate로 처리한 베니어의 비중만 미처리 베니어보다 더 높았다. 또한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는 무처리된 순수 베니어보다 낮은 평형함수율을 보였다.

서점의 적재가연물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ive Fire Load in a Bookstore)

  • 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7-53
    • /
    • 2011
  • 건축물 적재가연물은 종류 및 양 등의 특성에 따라 화재지속시간과 화재규모 등에 크게 기여한다. 서점은 다른 건축용도보다 가연물이 다량 적재되어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화재위험성이 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서점 내부의 서적은 연소하면 탄화층이 형성되고 적재가연물량에 비해 노출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화재시 열분해가스의 생성이 작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파악하여 서점의 화재안전설계에 합리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점의 성능위주설계에 활용하기 위하여 적재가연물을 재현한 시험체를 가열로에 넣고 ISO834-1:1999 표준가열곡선에 따라 가열하는 일련의 실험을 실행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서점의 적재가연물의 연소발열성상을 파악하고 성능위주설계에 필요한 연소속도 및 열방출률 등을 제시하였다.

합성목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Plastic Composites)

  • 신백우;송영호;이동호;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20-125
    • /
    • 2010
  • 주거 건축 및 가구산업의 자재로써 합성목재(Wood-Plastic Composites)는 점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목재의 연소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계산소지수 측정(ASTM D 2863) 및 콘칼로리미터 시험(ISO 5660-1)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일반목재인 적송과 방부 처리를 한 방부목에 대하여도 동일한 시험을 통하여 합성목재와의 연소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합성목재가 적송 및 방부목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콘칼로리미터 시험결과 합성목재의 열방출률이 가장 높았고 또한, 최대 열방출률 및 평균 열방출률, 총 방출열량도 적송 및 방부목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주택 가연물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Behavior of Combustibles in a Residential Building)

  • 이성룡;육근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5-31
    • /
    • 2009
  • 경제의 성장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물의 구조나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 건설되는 건축물은 과거에 비하여 고층화, 대형화되고 있다. 그 결과, 보다 많은 사람들이 건물을 이용하고 건물 내의 상존 가연물의 양도 증가하였다. 가연물에 대한 연소특성 파악 및 적절한 방재계획을 수립하지 않는 다면 많은 인명과 재산의 손실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내 가연물의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가연물로는 소파, 침대, 목재가 사용되었다. 열방출률, 연소가스의 농도, 실내 온도분포 등을 측정하였으며 각 가연물의 연소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각 가연물에 대한 최대 열방출률 값이 소파 1.9MW, 침대 650kW를 나타내었다.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사용 목재의 연소 특성 분석(I)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s for Indoor Use (I))

  • 손동원;강석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75-681
    • /
    • 2014
  • 최근 친환경 재료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사용목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내사용 목재의 내화성 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열특성 분석에 그 목적이 있다. 열방출률과 열방출량, 가스발생량, 중량감소 등의 연소성질을 열중량 분석(TGA) 및 콘칼로리미터(KS F ISO 5660-1)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재의 재질적 특성은 연소적 특성으로 발현되었으며, 열적성질과 연소가스 발생량과의 관계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탄화층 형성에 의한 연소억제 효과도 수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총열방출량과 중량감소량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점화시간과 총열방출량 등의 자료는 목재의 내화성능부여 등의 기초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리라 판단되었다.

실대형화재평가장치의 개발 및 안정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Calibration for the Real Scale Fire Test Facility)

  • 유용호;김흥열;신현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7-44
    • /
    • 2008
  • 최근 화재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축소모형실험 등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물화재 실험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물화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소소모율법을 적용한 10 MW급 라지스케일로리미터를 개발하였으며, 헵탄 풀 화재를 이용한 발열량 보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 높은 보정결과를 얻었으며, 보다 진보적인 실물화재연구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페트와 커튼의 방염처리 및 사용여부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Carpet and Curtain Treated or Untreated with Flame Retardant)

  • 이해평;박영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4-81
    • /
    • 2007
  •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내장식재들 가운데 카페트와 커튼을 대상으로 방염 처리 여부와 방염 처리한 카페트의 사용 여부에 따라 화재의 위험 요소인 열방출율, 연기밀도, 발화점 그리고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방염 처리 여부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방염 처리한 재료가 방염 처리를 하지 않은 재료보다 발열량이 낮게 나타났지만 연기밀도 지수는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염처리한 카페트의 사용 여부에 따른 실험결과로는 3년 사용한 중고카페트가 사용하지 않은 새 카페트보다 발열량과 연기밀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일 재료일지라도 사용여부에 따라 난연성과 발화온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