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ing screen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순음청력선별검사 도구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Effectiveness of Computer-Animated Pure Tone Audiometry for Screening)

  • 김영민;이무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3호
    • /
    • pp.151-15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animated pure tone audiometry for screening (CAPTAS) for toddler and to deter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APTAS utilizes an animated cartoon story producing visual and auditory stimuli. The intensities were 40 dB, 60 dB, 80 dB. The frequencies were 500 Hz, 1000 Hz, 2000 Hz, and 4000 Hz. The subjects were 20 (9 males and 11 females) severely hearing impaired children. As a resul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an hearing threshold of children who were able to perform PTA and average hearing threshold of CAPTAS was performed and it revealed CAPTAS's high validity.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test, all children had the CAPTAS and repeated it periodically. The result confirmed the reliability.

  • PDF

소아 난청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에 대한 평가 (Investigation of Automated Neonatal Hearing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hood Hearing Impairment)

  • 서정일;유시욱;공승현;황광수;이현정;김중표;최현;이보영;목지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06-710
    • /
    • 2005
  • 목 적 : 출생 후 3세까지는 언어와 청각신경로의 발달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서 선천성 난청의 조기 진단은 청력 손실로 인한 언어장애를 최소화 하고 언어 발달을 위한 재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언어 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충분한 통계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정상 신생아의 1,000명당 2-7명이 선천성 영구적 난청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세 이전에 난청이 발견되어 치료하지 않는다면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를 놓치게 되어 행동장애나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 신생아 난청의 빈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청력검사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 2003년 5월 20일부터 2004년 5월 19일까지 좋은문화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2,755명 중 부모의 동의를 얻은 1,718명을 대상으로 생후 1개월 이내 내간유발반응검사(AABR. ALGO-3)를 이용하여 35 dB의 소리를 주어 시행하였다. 난청의 위험요소가 있는 군과 위험요소가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고 1차 청력검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군 통과되지 않는 경우 'refer'군으로 하였다. 생후 1개월내 청력검사에서 'pass'되지 않았으면 1개월 뒤에 재검사를 받도록 하였고 재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난청 클리닉에 의뢰하여 난청을 확진하였다. 결 과 : 총 1,718명 중 'pass'군과 'refer'군 사이의 분만형태 출생체중 재태연령에는 차이가 없었다. 1차 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는 총 45명(2.6%)이었으며 이중 35명이 재검사를 받았으며 10명은 재검사를 거절하였다. 재검사한 35명 중 6명(17.0%)이 재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모두 선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이는 전체 검사자 1,718명의 0.35%(1,000명당 3.5명) 해당되었다. 'refer'군에서 한 가지 이상 위험요소가 동반되는 경우는 45명 중 10명(22.2%) 'pass'군에서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는 1,673명 중 263명(15.7%)으로, 위험 요소가 있으면서 'refer'가 나온 군이 위험요소가 없으면서 'refer'가 나온 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기의 난청의 빈도가 1,000명 당 3.5명으로 외국 통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천성 대사질환보다 월등히 빈도가 높으며, 태어나는 신생아에서 반드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음성 난청 선별검사에 HHIE-S(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Screening version)의 적용 (Application of HHIE-S(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Screening version) to screening test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 이미영;서석권;이충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539-553
    • /
    • 1996
  • 이 연구는 1994년도 5월부터 9월까지 동산병원 건강 관리과에서 소음특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1차 선별 순음청력검사에 난청선별 설문지(HHIE-S)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해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이 기간중의 특수검진 수진자들로서 총 6,700명 중 계통적 표본추출법에 의하여 매 5번째의 근로자가 추출되었다. 최종분석 대상은 자료가 미비한 14명을 제외한 1,019명으로 남자 488명, 여자 531명이었다. 소음성 난청의 1차 선별검사로 순음청력검사와 HHIE-S를 포함한 설문지검사를 실시하였다. 청력검사의 1차 선별기준은 양쪽 어느 귀의 청력손실이 4000Hz 에서 40dB이상인 자로 하였고 2차 정밀검사에서 난청의 기준은 3분법으로 계산하여 30dB 이상이면서 4000Hz에서 50dB 이상의 청력손실이 있는 자로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0.84였다. 청력장애와 관련된 변수들의 단일변량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남자에서 HHIE-S 총척도와 사회적/상황적 소척도에서 근무기간, 군복무력,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였으며 여자에서 총척도와 소척도 모두에서 연령, 근무기간,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였다. 다단계 다중회귀분적에서 남자에서 1000Hz및 4000Hz에서의 청력역치가 선택되었으며 여자에서는 총척도와 사회적/상황적 소척도에서 1000Hz 및 4000Hz에서의 청력 역치, 근무기간, 연령이 선택되었다. 2차 순음청력검사를 황금기준으로 하여 1차 선별청력검사와 HHIE-S점수를 기준으로 한 ROC곡선을 그린 결과, 최적의 타당도는 병행검사에서 HHIE-S점수 8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였으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5%와 67%이었으며 위음성이 15%로 최소였다. 이러한 결과는 HHIE-S가 우리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가 비교적 적절하며 소음성 난청 1차 선별검사에 순음청력검사와 함께 병행해서 사용하면 민감도를 높이고 위음성을 떨어뜨림으로써 순음청력검사의 병행검사로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교통소음의 모노럴과 바이노럴 청감 비교 연구 II: 성가심 (Comparison of Human Responses to Transportation Noise in Monaural and Binaural Hearing, Part II: Annoyance)

  • 김재환;임창우;홍지영;정원태;정완섭;이수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1279-1286
    • /
    • 2004
  • This paper continues companion paper, part I : measurement and analysis. As shown in companion Paper, information and energy in monaural signal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binaural signal. In this paper, difference between monaural and binaural signal of transportation noise are investigated in subjective response test. We executed hearing screening test before giving a subject response test and excluded subjects who had physical hearing loss. An annoyance response test was conducted using headphone to avoid cross-talk effect in binaural testing. Percentage of highly annoyed under binaural signal reproduction is higher than percentage of highly annoyed under monaural signal reproduction. Result implies binaural reproduction technique is proper for a study of human response to short-term noise exposure in a headphone simulated-environment.

신생아 집중치료실 퇴원아의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 (Neonatal Hearing Screen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 조성희;김한아;김애란;정종우;이병섭;김기수;피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213-220
    • /
    • 2009
  • 목 적 : 의미 있는 난청은 정상 신생아에서 1,000명당 1-3명의 비율로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신생아 중환자실 집중치료를 받은 경우 1,000명당 2-4명의 비율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난청의 발생률이 높은 신생아 집중치료를 받은 신생아들도 보험혜택의 제한과 추적관찰 실패율이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5년간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아기들의 난청 발병률 및 외래추적 관찰률을 확인하고,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청각 선별검사의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은 총 2,137명 중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 중환자실 퇴원하기 전 신경과에 의뢰되어 뇌간유발 반응검사(AEP)로 1차 선별검사를 시행 후 비정상으로 나올 경우 신생아중환자실내 혹은 이비인후과 및 신생아 외래에서 추적관찰을 하였다. 결 과 : 2,123명 중 67명이 재검판정을 받아 재검률은 3.35%이었고 52명이 2차 청력검사를 시행 받았다. 세 번 이상의 청력검사를 받고 최종적으로 16명(0.8%)이 치료적 중재가 필요하거나 언어치료와 함께 외래 추적관찰이 필요한 비정상군으로 분류되었다. 비정상군의 평균 재태주령은 36주 6일, 평균 출생체중은 2,180 g, 1분 평균 아프가 점수는 각각 1분에 5점, 5분에 7점이었으며, 1차부터 3차까지의 평균 청력 검사 시행일은 각각 17일, 53일, 152일이었다. 전체 16명 중 남아는 6명이었으며 양측성 청력손실 4명, 편측성 청력손실 2명이었고, 여아는 양측성 청력손실 6명, 편측성 청력손실 4명으로 전체 남녀의 비율은 1:1.67 이었다. 경증, 중증도, 중증 난청 환아 수는 각각 3명, 1명, 2명이었고 최중증 난청 환아는 9명으로 이 중 5명은 양측성 4명은 편측성 청력손실이 있었다. 16명중 5명은 대한민국 보험공단에서 제시하는 고위험군에 포함되는 위험요소가 없었다. 결 론 : 본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은 환아의 0.8%에서 인공와우이식이나 언어치료가 필요한 청각이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정상 신생아에서 보고되는 청각이상에 비하여 약 10배 가량 높은 비율로 향후 의료진들의 신생아 난청의 심각성에 대한 의식변화와 제도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뒷받침으로 향상된 예후를 기대하여 본다.

노인의 청력장애지수와 한국판 버그균형검사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nd Berg Balance Test-Korean Version)

  • 조규행;황수진
    • PNF and Movement
    • /
    • 제8권1호
    • /
    • pp.51-58
    • /
    • 2010
  • Presbycusis or related-age hearing loss is approximately 30 percent for people aged over 6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nd the Berg Balance Scale for predicting and screening risk of falls in people over 65 years with diagnosed presbycusis. Thirty-five subjects all lived at the nursing home in Wonju. Disability caused presbycusis was measured using the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Berg Bala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wo clinical meausres (r=.862, p<0.001).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resbycusis may be able to predict dangerous falls in older persons.

  • PDF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elderly(HHIE)로 선별한 난청 노인들의 삶의 질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hearing loss selected by 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elderly (HHIE))

  • 이현정;허승덕;황수연
    • 대한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9-45
    • /
    • 2018
  • Objective: The aim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bycusis on the quality of life. Method: 47-elderly wer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suspected hearing impaired group (N=18) and the within normal limits (WNL) group (N=29).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HIE and WHOQOL-BREF scores by age group, and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ter-group relations. Results: The scores in WHOQOL-BREF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group (p=.011): people in their sixties scored $3.7{\pm}.62$, those in their seventies $3.3{\pm}.56$, and those in their eighties $2.8{\pm}.60$,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p=.000),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Conclusi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lowered depending on age and hearing impairment.

난청 감별을 위한 자동청성뇌간반응검사(A-ABR) 측정기 개발 (Development of A-ABR system for identifying difficulty in hearing)

  • 노형욱;김수찬;차은종;김덕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41-142
    • /
    • 2008
  • Hearing loss is the most common birth defect among infants. Yet most hearing-impaired children are not identified until 1 to 3 years of age - which is well beyond the critical period(6 month) for healthy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if a hearing-impairment is identified and treated in its early stages, child's speech and language skills will be comparable to his or her normal- hearing peers. For these reasons, hearing screening at birth and routinely throughout childhood is extremely important.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is nowadays one of the most reliable diagnostic tools in the early detection of hard of hear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ystem that detects auditory evoked potential using micro-processor.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portable system to measure in not only soundproof room but also nursery for infants.

  • PDF

IoT 기반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호환성을 갖는 순음청력 검사기 (IoT based Pure Tone Audiometer with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 강성호;이정현;김명남;성기웅;조진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61-270
    • /
    • 2018
  • Hearing-impaired people are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global aging trend.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requires an easy-to-use audiometry device for the public. Existing audiometry systems were developed as PC-based, PDA-based, or smartphone apps. These devices were often dependent on specific software platforms and hardware platforms. In this paper, we tried to improve software platform compatibility by using cross platform, and tried to implement IoT-based pure tone audiometry device which does not require sound pressure level correction due to hardware differences. Pure tone audiometry is available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ring loss and age. Using the IoT-based audiometry device implemented in this paper, it will be possible for an app developer who lacks hardware knowledge to easily develop an app with various scenarios for hearing scree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software and hardware dependency in the development of IoT-based healthcare device.

한국의 건강검진 현황 (Current Status of Health Screening in Korea)

  • 조한익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2권3호
    • /
    • pp.73-96
    • /
    • 2004
  • Along with a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 variety of tests, such as laboratory tests, x-ray and endoscopies are being used in health screening tests. As the tests determine the quality of health screening, test items and method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This study was to get hold of the test items of major health screening programs in Korea Most of the health screening programmes focused upon detection of risk factors and diagnosis of life - style related diseases (diabetes,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s, hypercholesterolemia, overweight, drinking, smoking, cerebrovascular diseases, osteoporosis) ,cancers (stomach, cervix, lung, breast, liver, colon, prostate, ovary, pancreas, thyroid, esophagus) , infectious diseases (hepatitis, tuberculosis, sexually-transmitted diseases, parasites) , chronic obstructive respiratory diseases, chronic renal diseases (bacteriuria hematuria, proteinuria) , anemia, glaucoma, hearing loss, Alzheimer disease, stress, early psychiatric diseases. The health screening tests were basic physical examination, basic laboratory tests (CBC, urinalysis, liver function tests, lipid tests, glucose, HbAlc, uric acid, electrolytes, serological tests (HBsAg, HBs-Ab, HCV-Ab, HIV-Ab, VDRL) EKG, x-ray (chest PA, CT) , endoscopy (gastroscopy, colonoscopy) , sonography(abdomen, thyroid, pelvis, breast) ,cytology (cervix) , bone density, tumor markets (NMP22, alpha-FP, CEA, CA-19-9, CA12S, PSA) and eye tests. Advanced technologies, like CT, PET, MRI, MRT/Angio, molecular testings) were widely used in hospital health screening programmes .In summary, a variety of tests were utilized in health screening in Korea. Those tests were utilized by stages or according to sex and age in most of health screening programmes, however a few program used tests to excess disregarding health screening subj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