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19초

Exploratory Study of Dimens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Kim, Seon-Ha;Jo, Min-Woo;Ock, Minsu;Lee, Sang-i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6호
    • /
    • pp.361-368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imensions in addition to the 5 dimensions of the 5-level EQ-5D version (EQ-5D-5L) that could satisfactorily explain variation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s: Domains related to HRQoL were searched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HRQoL instruments. Among the 28 potential dimensions, the 5 dimensions of the EQ-5D-5L and 7 additional dimensions (vision, hearing, communication, cognitive function, social relationships, vitality, and sleep) were included. A representative sample of 600 subjects was selected for the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Subjects were asked to report problems in 12 health dimensions at 5 levels, as well as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using the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EQ-VAS) and a 5-point Likert scale. Among subjects who reported no problems for any of the parameters in the EQ-5D-5L, we analyzed the frequencies of problems in the additional dimensions. A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the EQ-VAS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identify additional significant dimensions. Results: Among respondents who reported full health on the EQ-5D-5L (n=365), 32% reported a problem for at least 1 additional dimension, and 14% reported worse than moderate self-rated health.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R^2$ of 0.228 for the original EQ-5D-5L dimensions, 0.200 for the new dimensions, and 0.263 for the 12 dimensions together. Among the added dimensions, vitality and slee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Q-VAS scores.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dimensions for assessing self-rated health among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o the 5 dimensions of the EQ-5D-5L. These dimensions could be considered for inclusion in a new preference-based instrument or for developing a country-specific HRQoL instrument.

거주 지역에 따른 노인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between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of Elderly)

  • 류정임;최혜선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9-70
    • /
    • 2014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to done ascertain variable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elders from urban or rural area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raw material of the 2009 community health survey. Participants were 2,140 eld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was measured using EQ-5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3.0. Results: Mean EQ index score for urban elders was $0.78{\pm}0.23$, Mean EQ index score for rural elders was $0.82{\pm}0.16$. Rural elders had significantly higher EQ-5D index value compared to urban elders. The urban elder HRQOL model accounted for 33.6% of the variance due to depression, age, stress perception. The rural elder HRQOL model accounted for 23.5% of the variance due to exercising walking, skipping breakfast, depression in that order. In comparison, depression, skipping breakfast, livelihood, arthritis, stress perception, hours of sleep and age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HRQOL in both group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QOL between elders from the two areas and thus, confirm claims that welfare services for elders should be provided with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needs of elders in the two areas, and in particular for addressing depression in elders.

일개 광역시 도시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미치는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Urban Elderly Women)

  • 나윤주;최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224-7230
    • /
    • 2014
  • 본 연구는 일개 광역시 도시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도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중 대구지역 7개구 65세 이상 여성노인 70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건강증진행위, 사회적 지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을 변수로 포함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EQ-5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0.81({\pm}0.20)$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문제는 통증/불편감(62.5%), 운동 능력(53.9%) 일상활동(3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 소득수준에 의해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이들 변수에 의하여 삶의 질을 28% 설명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사회적 지지, 소득수준, 연령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효과 뿐 아니라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키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및 예방행위, 자기효능감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steoporosis Knowledge,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Wome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정윤주;김윤아;권영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기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관계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40~60세 중년기성인으로 총 230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k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골다공증 대한 지식은 12.50±3.47, 골다공증 건강관련 삶의 질 중 EQ-5D Index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동반질환유무(β=.288, p<.001), 골다공증 예방행위(β=.139, p=.014), 골다공증 지식(β=.138, p=.013), 월 평균 수입(β=.136, p=.013)순으로 나타났으며(F=7.522, p<.001), EQ-5D VAS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골다공증 예방행위(β=.301, p<.001), 골다공증 자기효능감(β=.201, p<.001), 골다공증 지식(β=.170, p=.001), 초경연령(β=.139, p=.005)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예방행위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산후관리서비스가 산모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Postpartum Care Servic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 정재연;차선정;구여정;유기봉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37
    • /
    • 2020
  • Purpose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influenc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Methodology: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9-2015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valuate as a EuroQoL-5D(EQ-5D-3L, used the weight of the CDC)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s. Postpartum care services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Demographic factors(education, economic activity, region, house income), health related variable(presence of chronic disease, self-rated health), birth related variable(birth-related problem, childbirth, pregnancy of advanced maternal age) used as covariate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indings: The rate of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is increasing year by year. Postpartum care services and self-rated health positively influence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and chronic disease and birth-related problem negatively influence on. Practical 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s polic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be expanded and systematiz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n. There are rare studi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men after childbirth, adjusted for birth-related variables. 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구강건강상태와 EuroQol-5 Dimension을 활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Condition and Life Quality Related to General Health Using EuroQol-5 Dimension)

  • 안은숙;김기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78-383
    • /
    • 2016
  • 질병발생 양상이 변화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건강에 대한 임상적이며 객관적인 평가와 동시에 환자의 주관적 인식을 포괄하는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HRQoL을 측정하는 것을 이러한 노력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는데, 본 연구는 일반적인 HRQoL과 구강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표성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6기 2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EQ-5D로 측정된 일반적인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민간건강보험 가입 여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전신건강상태, 최근 1년간 치통 경험, 현존 치아 수로 확인되었다(p<0.05). 구강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구강건강 상태가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일반적인 HRQoL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한 한국 대사증후군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EQ-5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mong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 임현정;김응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7-3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의 성별, 연령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I-2)에 응답한 5,021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판정을 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5.0의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한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Complex Samples GLM과 Complex Samples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EQ-5D 지수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았다(p<.001). 연령별로는 청장년(19~39세), 중년(40~65세), 노년(65세 이상)의 순서로 높게 확인되었다(p<.001). 대사증후군 여부로는 대사증후군에 속하지 않는 경우가 대사증후군을 가진 경우보다 추정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대사증후군 여부로는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추정치에서 낮음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한편, 전체 모집단(population)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복합표본을 적용한 독립표본 t 검정(Complex Samples Independent t-test)을 통해 성별 간 대사증후군 유병여부에 따른 EQ-5D는 여성의 경우 대사증후군에 속하지 않은 경우가 대사증후군에 속하는 경우 보다 높은 지수가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1).

50세 이상 한국인의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Plant Proteins in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uth Korean Individuals Aged 50 Years or Olde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전숙현;이정우;신우경;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7,956명(남성 3,434명, 여성 4,522명)이 연구에 포함하였다. 건강관련 삷의 질은 신체 기능, 자기 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쾌감, 불안/우울 문제로 구성된 삶의 질 5차원 지표(EQ5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성 단백질 일일 섭취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은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식물성 단백질, 콩과 견과류 종자(LNS) 및 발효 콩(FERMB) 단백질의 섭취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건강관련 삷의 질과 건강관련 삷의 질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다(p < 0.01). EQ5D의 지표 중 신체 기능과 일상 활동이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LNS 단백질이나 FERMB 단백질 섭취에 비해 총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건강관련 삷의 질과 더 큰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삷의 질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식물성 단백질의 적절한 섭취가 한국 성인의 건강관련 삷의 질 유지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인의 건강보정 기대여명의 측정 (An Estimation of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HALE) for Koreans)

  • 강은정;김나연;윤석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8-126
    • /
    • 2008
  •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or SMPH is an index which can describe morbidity as well as mortality.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can be divided into health-adjusted life years which is a life expectancy measure and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which represents the gap between the ideal health status and the current health status. This study aims at estimating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HALE) which is a measure of health-adjusted life years, by calculating life expectancy adjusted by health status using EQ-5D. The mortality data was obtained from the life table of 2005 which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health status by sex and age was obtained from the EQ-5D scores using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and Examination Survey in 2005. With these mortality and morbidity data,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was calculated using Sullivan's metho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of males and females was 67.49 and 69.61, respectively, while the life expectancy of males and females was 75.14 and 81.89. In other words, Korean males and females lose 7.65 and 12.28, respectively, from the decrease of quality of life due to diseases and/or injuries. These results can further be interpreted that males lose 10.2% of their life expectancy and females 15.0%.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be possible to monitor population's health-adjusted life expectancy by continuing to includ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s such as EQ-5D in national health surveys like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and Examination Survey.

노인 당뇨병 인지자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수준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ccording to age: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강예지;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129-140
    • /
    • 2020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6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그중 자신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353명을 대상으로 세부 연령 그룹별 정신건강 특성, 식이 섭취수준 및 HRQoL 수준을 비교하였다. 노인 당뇨병 인지자들을 65-69세, 70-74세, ≥ 75세로 분류하여 EQ-5D 개별 항목과 index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5가지 항목 중,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항목의 수준이 낮은 결과를 보였고, EQ-5D index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질환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과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기능장애들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의 중요성은 강조되며,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를 고려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HRQoL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국가의 보건복지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