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service accessibility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4초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만도와 외식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besity Index and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s - Focusing on Pusan University Students -)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5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지역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집단과 외식선택속성과 비만도와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PASW Statistic 18.0(Predictive Analytics Softwar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t-test, ${\chi}^2$-test, 비 계층적 군집분석과 ANOVA을 실시하였다.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75.59 cm, 체중은 69.53kg이고, 여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62.81 cm, 체중은 53.42kg으로 나타내었다. 남학생 체질량지수를 저체중이 1.7%, 정상체중은 64.6%, 과체중 19.7%이고, 비만은 14.0%로 나타났다. 여학생 체질량지수는 저체중이 22.9%. 정상체중은 62.7%, 과체중이 8.5%, 비만은 5.9%를 나타내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항목은 건강추구, 안전성추구, 분위기추구, 미각추구, 서양음식추구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외식선택속성은 음식의 질과 서비스, 합리적인가격, 접근성과 분위기, 먹어본 경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군집1은 [식생활 무관심형 집단] 군집2는 [건강지향형 집단] 군집3은 [건강무관심형 집단]으로 군집 명을 부여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과 외식선택속성 요인간의 차이분석에서 군집1은 먹어본 경험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2는 음식과 서비스의 질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3은 접근선과 이미지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실태 변화 (Changes on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After Long-term Care Insurance Launch)

  • 진영란;홍월란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71-380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 수 및 이용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직전 1년(2007.7.1~2008.6.30)과 제도도입 후 혼란기인 6개월 후 1년(2009.1.1-12.30)간 의료기관 가정간호 기본방문료(AN100)가 청구된 자료를 받아 분석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약 40개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가 문을 닫았고, 사업소가 한 곳도 없는 시군구가 전체 시군구 중 53%에서 59%로 증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은 물론(이용자수 13.4% 감소, 방문건수 20.9% 감소), 비노인의 이용도 감소하였다(이용자수 3.5% 감소, 방문건수 3.9% 감소). 비노인의 가정간호 이용감소는 가정방문 간호사업소의 감소로 가정간호에 대한 접근이 낮아져 나타난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가정간호사업소 당 총 수입액은 2009년 1년간 평균 121,850천원으로 최소 인력인 가정전문간호사 2인의 인건비를 감안하면 수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 간호 이용감소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로 대체된다고 하더라도, 비노인의 가정간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SERVQUAL 모형으로 측정한 일부 치과의원의 서비스 질과 재이용의도 (Service Quality of Dental Institutes Measured by SERVQUAL Model and Intention to Re-visit)

  • 전미진;노은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10
  •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에서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치과이용목적과 6개영역간의 서비스품질을 비교하고, 의료서비스 질과 환자만족도, 재이용의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광주지역 중 남구과 북구에 소재 한 치과의원 5곳을 선정하여 해당 치과의원에서 1회 이상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특성 중 서비스품질, 만족도, 재이용의도와의 관련이 있는 변수는 연령, 수입, 학력수준 등이었다. 2. 의료서비스에 대한 품질,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6개 영역의 서비스 질을 비롯한 서비스 품질은 만족도, 재이용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질만을 포함했을 경우는 재이용의도에 서비스 질 영역 중 접근성이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영역과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재이용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서비스품질의 접근성과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외에도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이용 환자가 평가하는 서비스 질은 이들의 재이용의도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접근성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이에 각 치과 의원의 접근성은 구강건강에 대한 전화상담, 의료정보제공, 병원 내외부의 의료전달정도가 환자만족을 높이고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의미한다. 또한 일차의료기관인 치과의원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선택 가능한 의료기관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의 특성에 기초한 고객과 관련된 여러 자료 등을 DB화하여 관리가 필요하고, 고객의 요구사항 및 고객을 제대로 이해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접점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유지해 나감으로써 단골고객이 아닌 평생고객으로의 유도가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장애인 환자 치과 진료를 위한 국민 건강 보험 가산제도의 종류 및 청구 현황 (THE ADDITIONAL POINT SYSTEM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DENT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A SPECIAL HEALTH CARE NEED IN KOREA)

  • 권도윤;남옥형;김미선;최성철;김광철;최재영;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6
    • /
    • 2018
  •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as implemented an additional point system of National Dental Insurance for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 special health care need (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status of AID in Korea using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rom 2011 to 2017. The basic consultation fee is increased by 9.03 points (713 won) for brain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or autistic disorder. From 2011 to 2015, the number of claims with a basic consultation fee increased from 90,456 to 141,179. Dent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ee is increased by 100% of the defined insurance score for each of the 15 items. During the five years from 2012 to 2016,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for each item increased steadily. Of the total claims for 5 years, endodontic treatment was highest, with 107,477 cases, followed by 51,641 cases of scaling. There are two types of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 simple and complex. The simple safety observation fee is 10,370 won per day, and the complex safety observation fee is 20,750 won per day. Dental safety observation fees were charged 34 times in 2015, 14 times in 2016, and 41 times through May 2017. From 2011 to 2017, the number and amount of claims using AID for dental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reased.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was about 560,000 in 2016, the number of claims using AID is 1-20,000, which is less than 2% of registered dental users with di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dental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ID.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농촌지역 경로당의 운영현황 및 이용실태 연구 - 원주시 흥업면 경로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Gyungrodang in Rural Area for Community Care - Focused on Gyungrodang in Heungeop-myeon, Wonju-si, Gangwon-do)

  • 이태호;김지언;송그룸;임수빈;남은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1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Gyungrodang located in Heungeop-myeon, Wonju-si and to present improvement and implication for community care in rural area. Methods: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was conducted wi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The use status of Gyungrodang was surveyed for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Heungeop-myeon using questionnaire. A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181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Results: In the current status, some of the Gyungrodang did not operate during farming seas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erms of accessibility, 74.2% of Gyungrodang were located more than 60 minutes on foot from community center, health post, and pharmacy.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buses run minimum 15 minutes to 120 minutes on average. The internal structure, 35.7% was divided room and toilets. In the use status, the reason for non-use of the Gyungrodang was discomfort(29.0%), and the reason for using was because friends go to the Gyungrodang(44.6%). The most satisfying program was te health care program(65.6%).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arget population and seas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cused on consumers' needs through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Third,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space of each Gyungrodang by gender when planning the expansion or new construction of Gyungrodang.

한국 지역 간 보건의료수준의 상대적 위치 비교 연구: Position Value for Relative Comparison Index를 활용하여 (A Study on Regional Differences in Healthcare in Korea: Using Position Value for Relative Comparison Index)

  • 윤흰뫼;윤초아;강수현;권준현;이현지;박은철;장성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1-507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measure regional healthcare differences in Korea, and define relatively underserved areas. Methods: We employed position value for relative comparison index (PARC) to measure the healthcare status of 250 areas using 137 indicators in five following domains: healthcare demand, supply, accessibility, service utilization, and outcome. We performed a sensitivity analysis using t-SNE (t-distributed stochastic neighboring embedding). Results: Based on PARC values, 83 areas were defined as relatively underserved areas, 49 of which were categorized as moderate and 34 as severe. The provincial regions with the most underserved areas were Gyeongbuk (16 areas), Gangwon (13), Jeonnam (13), and Gyeongnam (12).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relative comparison approach to define relatively underserved areas in healthcare. Further studies incorporating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s are required for policy implications.

Association Between Objective Social Isolation and Unmet Medical Need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

  • Jeong Min Yang;Seul Ki Lee;Jae Hyun Ki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3호
    • /
    • pp.242-251
    • /
    • 202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ocial isolation (SI) and unmet medical needs (UMN) in adults aged 19 and older.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f 208 619 adults aged 19 and older, excluding missing data, using the 2019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objective SI and UMN,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prevalence of UMN was 1.14 times higher (odds ratio [O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 to 1.23) among those with SI than among those without SI, and the OR for groups with 5 SI types was 2.77 (95% CI, 1.86 to 4.12) compared to those with no SI types. In addition, a stratified analysis by age group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I and UMN existed even in groups under 64 years old. However, among those aged 65 and older, SI was associated with an OR of 1.53 (95% CI, 1.37 to 1.71) for UMN compared to non-SI. As the number of SI types increased, the prevalence of UMN also increased, indicating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SI and UMN in older adult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individuals with SI experienced UMN due to fear and anxiety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I and UMN through future longitudinal data.

지역별 분만서비스 접근도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 비교 (Obstetric Complications by the Accessibility to Local Obstetric Service)

  • 최영현;나백주;이진용;황지혜;임남구;이성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1호
    • /
    • pp.14-24
    • /
    • 2013
  • 이 연구는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획득한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전국 232개 시군구 지역의 분만 및 합병증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산모가 자신의 거주 지역 내 외에서 출산하는 비율과 산과적 합병증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생태학적 연구이다. 산모가 본인의 거주 지역 밖에서 출산하는 비율인 관외분만율은 정도에 따라 저도 관외분만율 지역, 중등도 관외분만율 지역,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산과적 합병증은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 '유산율', '자간증율'을 구하였다. 관외분만율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의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 저도 및 중등도 관외분만율 지역보다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이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과 '자간증율'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5), 산과적 합병증 각각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유산, 자궁외 임신 및 기태임신에 따른 합병증율'은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분만서비스 접근 취약지역)이 기타 지역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자간증율'은 고도 관외분만율 지역에서 그리고 1인당 지방세납입액이 낮은 지역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 연구를 통해 분만서비스 접근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산모에서 산과적 합병증이 높음을 나타냈고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응급 대응 및 산전관리의 충실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대안이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 연구는 시군구를 분석 단위로 한 생태학적 연구이므로 산전관리 수진 및 산과적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에서의 요인들까지 고려되지 못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산전관리 및 산과적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 개인수준에서의 요인들까지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활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장 전문가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Field Experts for the Provision of Rehabilitation Sports Activities Services for the Disabled)

  • 강동헌;박지영;은선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13-231
    • /
    • 2021
  • 퇴원 이후의 의료적 조치와 재활치료 이후 연계되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체계의 부재로, 장애인들은 개인별 장애유형 및 특성과 신체기능에 적합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실정에 처해있다. 2017년도 12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들이 재활운동 및 체육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에서 제시한 전문가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선정의 기준은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 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문가(관련 학계, 시설 담당자, 체육 지도자 등)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은 7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치매예방을 위한 헬스케어 알리미 앱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 a Healthcare Alert App to Prevent Dementia)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59-67
    • /
    • 2018
  • 고령자들에 국한된 M-Health 관련 서비스는 많지 않다. 치매발병 위험성이 있는 고령자의 다수가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므로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쉽고 터치버튼의 크기를 최대화한 사용자 맞춤형 앱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음성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음성알리미 통합앱을 설계, 구현하여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질병을 예방하고자 한다. 경북 H지역의 평생교육원 수강생들에게 앱을 배포 후 개별 인터뷰와 설문검사를 실시 후 분석한 결과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음성 헬스케어 알리미 앱을 통해 치매예방을 할 수 있어서 고령자들의 M-Health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웹 DB에 저장된 자료를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고령자들의 생활패턴과 치매가능성 여부를 예측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