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check-up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7초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in School-Aged Children)

  • 민선애;조미진;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87-1394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과 관련요인 (Cognitive Impair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Centenarians in Korea)

  • 박석용;배진성;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84-59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주민등록상의 100세 이상 고령자 268명(남성 132명, 여성 13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수준은 남성보다 여성에서(p=0.000),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p=0.019), 가정의 경제 상태가 낮을수록(p=0.001), 비만도가 낮을수록(p=0.000),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p=0.000),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p=0.013),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20)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확정적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남성보다 여성(ORs=9.85, 95% CI=2.88~33.59)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저체중군보다 비만군(ORs=0.25, 95% CI=0.07~0.86)에서, 흡연군보다 비흡연군(ORs=0.30, 95% CI=0.10~0.8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거주상태, 경제상태, BMI, 흡연상태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면,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인지기능 수준이 저하됨을 시사하고 있다.

베트남 가임기 여성의 산전건강관리 지식과 실천행위 및 우울 (베트남거주 vs 한국거주) (Prenatal Health Management Knowledge, Practices, and Depression in Vietnam Women of Childbearing Age (Living in Vietnam vs. Living in Korea))

  • 안현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2호
    • /
    • pp.118-131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가임기여성과 베트남에 거주하는 베트남 가임기여성의 산전건강관리 지식과 산전건강관리 실천행위 및 우울정도를 파악하여 베트남 이주여성의 산전건강관리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베트남 가임기여성(한국거주 여성 113명과 베트남거주 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산전건강관리 지식은 한국거주 가임기 여성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거주 및 베트남거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혼여성의 지식점수가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산전건강관리 실천행위 분석결과 결혼 유무 및 거주지역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목별로 보았을 때 '병원에서 산전진찰을 규칙적으로 받을 것이다.'는 베트남거주 기혼여성이 미혼보다, 농촌여성이 도시여성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것은 한국거주여성의 '임신과 출산정보를 찾아볼 것이다' 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우울정도는 베트남 거주여성의 경우 기혼여성이, 농촌에 거주 하는 여성이 유의하게 우울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산전관리 중재를 개발 할 때 베트남 본국 농촌에서 이주하는 경우는 좀더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며, 산전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정신건강을 위한 요소가 포함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여학생의 초경시기와 관련된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age at menarch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girls)

  • 권미경;서은민;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44-351
    • /
    • 2015
  • 본 연구는 초경시기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구 3개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개별 짝짓기 환자-대조군 연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초경군에 비하여 초경군의 평균 수면시간이 더 적었다. 둘째, 어머니의 초경 나이가 빠를 수록 같은 또래에 비해 더 이른 초경 경험을 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초경시기와 관련된 요인 중 비만이 가장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전 세계적으로 초경 나이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여성의 초경 나이도 현저하게 낮아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측두하악장애 관련 증상의 유병률과 구강악습관 및 컴퓨터 이용시간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some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computer utilization)

  • 박의정;윤영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51-657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eenagers' use of interne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TMJD) because TMJD patients gradually increase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 Subjects were 221 male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liberal arts and commercial schools from 9 to 21 of April, 2012.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 TMJD symptoms included crackling joint (32.1%), headache (18.6%), malocclusion (8.1%), and jaw fatigue and muscular aching (7.2%). Students having at least one symptom accounted for 49.8%. Students having at least one poor habit accounted for 83.7% and 34.0% of the students used internet for 3 hours.. Score of students experiencing shoulders and chest pain was $5.13{\pm}1.10$ (p<0.05). Score of TMD afflicting area revealed $4.67{\pm}2.73$ (p<0.05) in mastication pain ($4.13{\pm}2.73$ (p<0.05)) due to long hours of internet use. Score of jaw fatigue related to muscular pain was $4.31{\pm}1.96$ (p<0.01). Duration of computer use was related to perceived TMJD symptoms (r=.153). Long duration of computer use was related to poor oral cavity habits (r=.157). Conclusions : Male high school students can perceive slight TMD which needs self management and regular check-ups and try to prevent TMD by utilizing measurement tools on TMD. Also, this study helps to prevent from worsening TMD by shortening hours of computer utilization.

성별에 따른 습관성 코골이와 대사증후군 요소의 관련성 (Sex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Habitual Snoring with Metabolic Syndrome)

  • 김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26-336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습관성 코골이와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들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2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40세 이상 69세 이하까지 성인들 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2,007명(남자 434명, 여자 1,5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신체 계측, 생활 습관 및 임상검사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7.4% (남성 20.7%, 여성 16.5%)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도 같이 증가하였다. 연구 대상자에 대해 연령, 흡연, 음주, 수면시간, 규칙적 운동 변수를 보정한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습관성 코골이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여전히 유의하게 높았다(교차비: 1.96, 95% CI=1.45-2.66). 성별에 따라 연령, 음주, 흡연 요인을 보정한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여자에서 고밀도지질단백콜레스테롤, 혈당, 허리둘레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사증후군의 발생 위험도 유의하게 높았으나(교차비: 2.36, 95% CI= 1.64-3.40), 남자에서는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 및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아지지 않았다.

한국인의 고지혈증에 관한 연구 -I. 고콜레스테롤혈증 소견자의 신체 특성과 그 위험인자를 중심으로- (A Study of Hyperlipidemia in Koreans -I. Specially Rela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Risk Factors for Hypercholesterolemia-)

  • 허영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hyperchol-esterolemia (HC) in Korean. 344 adult men who took the annual health check-ups at D or J hospitals were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in to three groups: normal cholesterolemic (n=139)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n=93) and hypercholesterolemic (n=112) groups. The data of height weight and plasma cholesterol level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Body circumferences(midarm, waist, hip, and thight) skinfold thicknesses (biceps, triceps, subcostal, abdomen, and suprailic), and body composition (fat mass and fat free mass) were measured. Body mass index (BMI) height/weight ratio (HW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WHR) waist/ thigh circumference ratio (WTR) central skinfold thickenss (CSF) and peripheral skin-fold thickness were calculated. The subjects with HC had significantly higher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skinfold thickness and body fat mass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s. The relative and attributable risks on HC were 1.61 and 0.17 for obesity (BMI$\geq$25) 1,30 and 0.11 for upper body obesity (WTR$\geq$1.30) and 1.54 and 0.18 for central body obesity (CSF$\geq$95.7).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veral antropometric parameters: BMI (p<0.001) weight(p<0.001) waist circumference(p<0.001) and skinfold thickness of abdomen (p<0.001) spraillic (p<0.01) triceps(p<0.01) subcostal (p<0.01) and biceps (p<0.05) In conclusion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to plasma cholesterol level was BMI. Among the each physical parameters the circumference of waist the skinfol-d thickness of abdomen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were closely related to plasma cholesterol level. The important risk factor for hypercholesterolemia was obesity specially upper body obesity and central body obesity.

  • PDF

한국인의 고지혈증에 관한 연구 -고콜레스테롤혈증 소견자의 혈액학적 특성과 위험인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Hyperlipidemia in Koran -Specially Related to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ypercholesterolemia-)

  • 황금희;노영희;허영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10-721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ypercholesterolemia(HC) in Korean. 344 adult men who took the annual health check ups at D or J hospitals were participated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into three groups: normal cholesterolemic(n=139), borderline hypercholesterolemic (n=93) and hypercholesterolemic(n=112) groups. The data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BP/DBP), hemoglobin, plasma glucose, albumin and cholesterol level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TG), HDL C, phospholipid, insulin, apo A and apo B were measured. The levels of plasma LDL C, VLDL C and atherogenic index(AI) were calculated. The subjects with HC had significantly higher SBP and DBP, albumin, TG, phospholipid, HDL C, LDL C, VLDL C and apo B level than those of the normal subjects. The relative and attributable risks on HC were 1.59 and 0.18 for hypertension(SBP/DBP$\geq$160/95), 2.08 and 0.35 for hypertriglyceridemia (TG $\geq$400mg/dl).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veral hematologic parameters: age(r=0.1242, p<0.05), DBP(r=0.1194, p<0.05), albumin(r=0.2029, p<0.001), plasma TG(r= 0.3829, p<0.001), phospholipid(r=0.6036, p<0.001), LDL C(r=0.8572, p<0.001), HDL C(r=0.2399, p< 0.001), AI(r=0.3116, p<0.001), apo B(r=0.2602, p<0.05) and Lp(a)(r=0.1372, p<0.05). However,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Apo A1(r= 0.2922, p<0.001), and ABR(r= 0.3598, p<0.001).

  • PDF

Weight Loss as a Nonpharmacologic Strategy for Erosive Esophagitis: A 5-Year Follow-up Study

  • Bang, Ki Bae;Park, Jung Ho
    • Gut and Liver
    • /
    • 제12권6호
    • /
    • pp.633-640
    • /
    • 2018
  • Background/Aims: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ith several studies demonstrating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GERD symptom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BMI changes on erosive esophagitis (E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MI reduction could resolve EE.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natural course of EE according to changes in BMI. Participants undergoing health check-ups from 2006 to 2012 were enrolled, and 1,126 subjects with EE were included. The degree of esophagitis was measured by upper endoscopy and serially checked over a 5-year follow-up. Logistic regression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MI reduction and EE resolution. Results: Substantial weight loss is associated with EE resolution. The adjusted odds ratio for EE resolution was 1.4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 to 1.92) among participants with a decrease in BMI compared to those with no decrease in BMI. The EE resolution rate was related to the degree of BMI reduction. The effect of weight loss on EE resolution was higher among subjects who lost more weight. Compared with subjects with no decrease in BMI, the hazard ratios for EE resolution were 1.09 (95% CI, 0.89 to 1.35), 1.31 (95% CI, 1.01 to 1.72) and 2.12 (95% CI, 1.44 to 3.12) in subjects with BMI reductions of ${\leq}1$, 1-2, and >$2kg/m^2$, respectively. Conclusions: EE resolution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BMI, and weight loss is potentially an effective GERD treatment.

신장의 이소성 부신 선종: 증례 보고 (Ectopic Adrenal Adenoma in Renal Sinus: A Case Report)

  • 백요한;김시형;조승현;김원화;김혜정;염헌규;윤길숙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16-1120
    • /
    • 2022
  • 신장은 이소성 부신 선종의 드문 부위이다. 우리가 아는 한, 신장에서 발생한 이소성 부신 선종의 일부 증례가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증례들 중 병변의 컴퓨터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설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47세 남자 환자가 정기 건강검진을 위해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왼쪽 신장동에 1.2 cm 크기의 조영 증강이 되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추가적으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 성분을 의미하는 신호 강하 소견을 보였다. 종괴는 수술 후 이소성 부신 선종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