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care cost

검색결과 792건 처리시간 0.036초

혈액투석을 실행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식사관련 삶의 질(Diet-Related Quality of Life)과 식사요법 실천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위장관 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of diet-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hemodialysis)

  • 이진주;김지명;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37-146
    • /
    • 2013
  • 혈액투석 식사요법을 실천하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사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식사관련 삶의 질과 식사요법 실천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 위장관 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3.0세, 남성의 비율이 58.4%, 운동을 하는 대상자는 55.4%, 흡연비율은 11.9%, 음주비율은 10.9%로 대체적으로 자기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의 66.3%가 영양교육 경험이 있었다. 합병증으로 당뇨가 38.6%, 고혈압이 32.7%이었고, 위장관 증상으로 대상자의 72.3%가 변비, 14.9%가 과민성 장 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식사요법 실천정도는 55점 만점에 35.4점으로 나타났고, 식사요법 실천정도가 상승할수록 식사요법과 관련된 비용, 자기관리에 대한 만족감 영역의 삶의 질이 증가 (p < 0.05)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관련 삶의 질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여러 항목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 < 0.05, p < 0.01), 특히 만족감 영역, 정신적 영역에서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4) 변비가 있는 대상자의 식사관련 삶의 질은 변비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맛, 편의성, 식사에 대한 부담감 영역의 식사관련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p < 0.05),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대상자의 맛, 식사에 대한 부담감 영역 (p < 0.05)의 식사관련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5) 대상자들의 식사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다중회귀 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p < 0.05)과 변비 (p < 0.01)가 식사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사요법을 실천중인 혈액투석 환자들은 식사요법 실천정도가 높았으나, 식사요법으로 인한 부담감이 크고 전반적인 건강영역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고, 더불어 위장관 증상에 따라 식사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교육 시에는 개개인의 식사관련 삶의 질, 식사요법 실천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 위장관 증상 등을 고려한 균형 있는 영양관리, 삶의 질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식사 관련 삶의 질은 혈액투석 환자가 식사요법으로 인해 받는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잘 반영할 수 있어 앞으로 영양교육이나 식사요법의 효과를 다각도로 평가하는데 있어서 좋은 도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Attitude of Korean Lawyers toward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 이경남;김분한;이훈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2호
    • /
    • pp.81-88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한국변호사들의 태도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유형별 차이점을 파악하는 주관성 연구를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 설계는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2~69세의 변호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Q 표본은 이들 중 5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문헌고찰, TV토론을 통해 확보하여 34문항의 진술문을 구성하였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동의를 구한 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9점 Q 표본 분포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결과: 수집된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5가지 유형이 구분되었으며, 제1유형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는 '연명치료중단 선택형', 제2유형은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든지 생명연장술을 시행하여야 한다는 '생명연장술 추구형', 제3유형은 연명치료중단이나 생명연장술이나 모두 인간의 권리에 해당하며, 이런 권리를 충분히 행사하기 위해 제도적 장치를 요구하는 '제도요구형', 제4유형은 연명치료중단에 동의를 하지만, 본인은 연명치료중단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모순된 태도를 보이는 '자기모순형', 제5유형은 생명은 하나님만이 판단할 수 있다고 하고, 인간에게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없다는 '인명재천형'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한국 변호사들의 태도는, 제1유형 '연명치료중단 선택형', 제2유형 '생명연장술 추구형', 제3유형 '제도요구형', 제4유형 '자기모순형', 제5유형 '인명재천형'으로 나타났다.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치료 방법과 재정 영향 분석 (Final Impact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양장미;신상진;서재경;조송희;최하진;강민주;지동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39-1048
    • /
    • 2018
  • 목적: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 대해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가능한 치료 방법에 따라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여러 치료 방법에 따른 건강보험 재정의 변화를 향후 5년(2018-2022년) 동안 추정하였다. 새로운 급여기준 이외 바이오시밀러 등장, 허가초과 비급여약제 사용 등을 고려한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재정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및 의료기관 자료를 기준으로 각 시나리오별로 향후 5년 동안 예상 진료환자 수, 치료 횟수를 추정하였으며, 재정부담을 추계하였다. 결과: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현행의 사용형태로 기존 급여기준(평생 14회)이 유지되는 경우(시나리오 1) 2018년 기준 향후 5년간 보험소요재정은 약 4,403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2017년 12월에 변경된 급여기준하에서 5년간 보험소요재정은 약 5,601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2020년 이후 바이오시밀러 급여(시나리오 3), 현재 허가초과 비급여약제인 베바시주맙(시나리오 4)을 급여전환하는 경우에 각각 5,210억 원, 4,197억 원으로 예상되었다. 결론: 본 평생 14회라는 급여기준 삭제로 인해 건강보험 재정이 크게 증가할 것이 예상되었으나 실제 0.1 이하 그리고 반흔화/위축성 병변일 경우 급여 중단 등의 새로운 기준으로 중간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화로 인한 연령관련황반변성 유병환자의 증가를 고려할 때 바이오시밀러 및 베바시주맙 도입 등의 정책적 대안도 고려할 수 있다.

전공의 수련교육제도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련부장의 인식도 조사결과를 기초로 - (A Study on Strategies to Improve the Hospital House-staff Training Systems - In the Perspective of the Training Directors of the Hospital -)

  • 김기철;하호욱;황인경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0-146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essential information in improving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Korea. For the study, a survey targeting the directors of GME of nationwide teaching hospitals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asking the questions such as the director's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GME, trainees' salary level, trainees' specialty selection tendency, training system and its du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x^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rvey were executed on 240 teaching hospitals in Korea and the response rate was 66.2% (159 hospitals replied). 2. The bigger a hospitals is the better in Quality of education. Larger hospitals tend to have better status in all items including medical specialists' experience, contents of medical curriculum, general environment for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trainees's salary level. The result supported the general perception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ize and Quality of GMA. 3. Providing convenience for medical trainees who prepares for the medical specialist Qualifying examination didn't affect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4. The directions of GME have a perception that the trainees give positiv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of their hospitals. This seems to be one of the reasons that hospitals try to retain as many trainees as possible. 5. The directors of GME considered medical trainees as an educate, and most of them responded positively on the need of governmental supports for the education cost and the trainee's salary. Considering above results, it seems that GME would get more social attention and the trainees' impact on hospitals operation would be increased more than before. In response to these trends, hospitals would find out the ways to lower dependency on trainees, and this change of attitude of hospitals on the GME would cause problems in operation of hospitals and GME itself.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the policy on GME should be directed in following ways. 1. The contents of Qualifying examination for specialist should be improved. 2. The curriculum of GME should be strictly followed. 3. The status of trainee in a hospital has to be defined as eductee. 4. Government has to support a half of the education cost and salary of trainee. 5. The distribution of the trainee among the hospital group have to be based on total available. 6. The financial support and welfare of trainee should be improved gradually and systematically.

  • PDF

지방의료원의 운영효율성 평가에 따른 재무성과 분석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fficiency evaluation of Regional Public Hospital)

  • 이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14-623
    • /
    • 2017
  • 본 연구는 지방의료원의 효율성과 재무성과를 평가한 후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또한 병원의 투입 및 산출요소를 선정하여 어떠한 요소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뿐만 아니라 지방의료원의 시장점유율과 운영방식, 그리고 병원 규모 등 환경적 요인을 이용한 효율성 분석을 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사대상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31개 지방의료원의 DEA지수와 재무성과를 산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NOVA,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지방의료원의 도시규모, 병상 수 등 환경적 요인과 경영실적, 생산성, 공공성에 따라서 효율성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의료수익의료이익율(p<0.05), 인건비투자효율(p<0.05), HHI(p<0.05)가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지방의료원의 비효율성 파악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한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효율성 측정과 함께 비용절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의료원이 민간병원과의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확보 할 수 있는 진료의 특성화된 기능을 갖는 등 전문화 서비스 제공의 노력이 이어진다면, 운영효율성을 높여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다.

아로마요법의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 감소효과 (Reduction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and Insomnia)

  • 박상옥;김석범;이경수;강복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2호
    • /
    • pp.17-26
    • /
    • 2002
  • 아로마요법의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주시보건소 보완대체의학센타에서 1999년 7월부터 2000년 2월까지 매주 2회씩 1회 2시간씩 총 1개월 동안 아로마요법을 받은 48명을 대상으로 요법 실시 전후 통일한 양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로마요법 시행 전후의 스트레스 점수와 수면장애 점수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점수는 시행 전 $92.5{\pm}17.5$점에서 시행 후 $87.4{\pm}14.2$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수면장애 점수는 시행 전 $2.5{\pm}1.2$점에서 시행 후 $1.0{\pm}1.1$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스트레스 점수는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39세 이하보다, 종교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직업이 없는 사람이 있는 사람보다, 주관적 경제상태는 '중'인 경우가 '상'과 '하'인 경우보다, 주관적 성격은 중간형 성격 소유자가 내성적 성격 소유자와 외향적 성격 소유자보다 시행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면장애 점수는 연령, 교육 수준, 종교 유무, 직업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성격, 만성질환 유무에 관계없이 시행 전보다 시행 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와 수면장애 정도가 심한 사람에게서 아로마요법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수면장애 감소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방법이 아로마요법을 사용하면 스트레스와 수면장애를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2006년도 전국 7개 병원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현황 및 입원비용 분석 (Patient Distribution and Hospital Admission Cos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ollective Study of 7 Hospitals in Korea during 2006)

  • 배종우;김기수;김병일;신손문;이상락;임백근;최영륜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25-35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전국의 7개 대학병원 NICU를 대상으로, NICU 입원 현황, 입원 비용을 살펴 보아, 실제 NICU 환아들에 대한 입원비용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것의 문제점을 찾아 보아, 입원비용의 환자 본인 부담 감소 및 기타 제도적인 제안을 통해 향후 NICU 관리의 향상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전국에 분포한 7개 대학병원의 NICU를 대상으로 2005년 7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일 년 간 입원현황 및 입원비용에 대해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총 78개 병원에서 1년간 NICU 입원 환자 수는 총 3,488명이렀다. 조사 분석 내용은 (1) NICU 입원 현황(체중별 분포, 출생체중과 입원기간의 관계 분포). (2) 입원 비용(보험급여, 비급여 비용과 비율, 출생체중별 이비원비. 입원일수에 따른 총 입원비, 1인당 비급여 비용의 분포, 비급여 항목 등이다. 결과 : NICU 입원아 중에서 미숙아를 포함하는 LBWI 군과 고위험신생아가 반반씩이었다. 입원기간은 1,000g 이하인 경우 평균 2.5-3개월, 1,000-1,499g은 1.5-2.5개월, 1,500-1,999g은 1-1.5개월, 2,000-2,499g은 0.5개월, 2,500g 이상은 7일-10일이었다. 총입원진료비에서 보험급여가 77.1%, 비급여가 22.9% (법적비급여 19.5%, 임의 비급여 3.4%)이었다. 1인당 총 입원비 평균은 총액이 4,360천원 이었고 이중 급여 부분이 3,677천원, 비급여가 1,007천원이었다. 출생체중별 입원비는 체중 500g 미만 35,000천원, 500-999g 18,000천원, 1,000-1,499g 16,000천원, 1,500-1,999g 4,200천원, 2,000-2,499g 1,600천원, 2,500-2,999g 1,500천원, 3,000-3,499g 1,400천원, 3,500-3,999g 1,200천원, 4,000g 이상 1,100천원 이었다. 입원일 수 따른 총 입원비의 중앙값은 1-4일 850천원, 6-9일 1,300천원, 10-14일 1,800천원, 15-19일 3,150천원, 20-24일 4,250천원, 25-29일 5,500천원, 30-34일 7,000천원, 35-39일 8,250천원, 40-44일 9,000천원, 45-50일 11,000천원, 50-54일 12,500천원, 55-59일 13,500천원, 60-64일 14,500천원, 65-69일 16,000천원, 70-74일 18,000천원, 75-79일 23,000천원, 80-84일 24,000천원, 85-89일 25,000천원, 90-94일 27,000천원, 95-99일 28,000천원, 100-199일 30,000천원, 200일 이상 35,000천원이었다. 결론 : NICU는 미숙아 뿐만 아니라, 질병 신생아들을 치료하는 중요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출생체중별 분포 및 입원기간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다. NICU 입원비는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입원기간이 길수록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총입원액 중에서 환자가족이 부담하는 비급여 부분이 아직도 약 1/4을 차지하고 있어, 보호자들의 부담이 많다. 이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여성노인의 낙상실태 및 충격보호팬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mpact Protective Pants and Falls of Elderly Women)

  • 이진숙;박정현;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45-953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otective pants to relieve impact from fall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5%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ir 60s and 55% of them were in their over 70s and older. Also, 64% of them have fallen once for the past year and 36% of them have fallen twice or more.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re were those who have fallen twice or more. This indicated the older people has experienced more fall accidents again after a initial fall accident. Second, as per accident situations, the survey showed that fall accidents happened the most in the winter and in the afternoon (12-18 pm). Also, it happened on a street mostly and they were wearing sneakers or hiking boots when they got a hurt slipped in a front or side by missing their step in a walk. The injury areas are mostly knee and ankle. They had the bruises or a sprain in their knee and ankle mostly. The rate of bone fracture was 19.5%. Therefore, the protection area to falls in lower body is the knee. But hip and hip joint should be protected with knee as well because those are usually be broken when it is damaged. Third, approximately 80% of those who were hospitalized for treatment had surgery. Patients who had surgery were rather in their over 70s than in their 60s.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serious their fracture was. The period of hospital or outpatient treatment is more than three weeks in many cases. They responded their health got worse after falls. Aftereffects of accidents were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medical costs. Falls to the old makes physical damage, psychological damage, which cause reduced physical activity and the increased cost of health care with economic losses. So it results on a negative impact on the life of the old. Fourth, elderly females were rarely aware of impact protective clothing and they have never purchased such clothing. For impact protective pants, the major consideration was suitable design for their body types. They liked casual style with front or side pockets and simple designs without any patterns or decorations. As per pants materials, they responded that they need functionality, activity and elasticity. Among the functional points, insulation of cloths are considered importantly, so the heat reservance of material in the impact protective pant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일개 대학병원의 환자군별 진료서비스 변이와 포괄수가제 적용에 따른 진료수익 변화 (Studies on the variations of hospital use and the changes in hospital revenues of 10 KDRGs under the PPS)

  • 전기홍;송미숙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0-124
    • /
    • 1997
  • In order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participation in the PPS(Prospective Payment System),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variations in utilization pattern and changes in revenues of hospitals in 10 selected KDRG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laims data of a tertiary hospital in Kyunggido from September 1, 1995 to August 31, 1996. The studies consisted of 1, 718 inpatients diagnosed for lens procedures, tonsilectomy &/or adenoidectomy, appendectomy with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Cesarean section, or vaginal delivery without any complications. The resources used in each KDRG were measured including average length of stay, total charges, number of orders, intensity of medical services, frequencies of medical services, the rate of non-reimbursable charges, and the rate of non-reimbursable orders. Then, the changes in hopital revenues due to the composition of medical fee schedules under the PPS were estimated as follows: 1) The variations in average lenght of stay, total charges, number of orders, the intensity of medical services, th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s, the rate of non-reimbursable charges, and the rate of non-reimbursable orders among the 10 KDRGs were comparatively small. 2) The average lenght of stay was the longest(6.0 days) for appendectomy with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while it was the shortest(2.1 days) for two vaginal deliveries. Statistically differences existed in the average length of stay among physicians and among the dates of admission in several KDRGs. 3) The total charges were the highest for lens procedures(1, 716, 000 won), while the lowest charges were for two vaginal deliveries(558, 000 won).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total charges were found among physicians in several KDRG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the dates of admission. 4) The number of orders was the greatest(155) for appendectomy with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while it was the smallest(75) for the two vaginal deliveries.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orders did not exist among physicians in the KDRGs. 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tensity of medical services, and in the frequency of medical services among physicians in the KDRGs. 6) The rate of non-reimbursable charges for each KDRG was not related to the rate of non-reimbursable orders. The rate of non-reimbursable orders was the highest(36.0%) for lens procedures, while the lowest rate(11.6%) was for appendectomy with complicated principal diagnosis. The rate of non-reimbursable charges was the highest(39.4-39.7%) for vaginal deliveries, while the lowest rate(13.1%) was for tonsillectomy &/or adenoidectomy(<17 ages). 7) If the physician's practicing style were not change under the PPS, the hospital revenuses could be increased by 10%, and the portion of patient payment could be decreased by 1.4-22.4%. However, the non-reimbursable charges for showed little change between two reimbursement systems.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is hospital could be eligible for participation in the PPS(Prospective Payment Systm). However,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should be standardized, inentifying methods to reduce cost and to assure quality of medical care. Furthermo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finding ways to increase patient volume.

  • PDF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Mobile Healthcare Servi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이옥희;함승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18-427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의 특성에 따른 사용의도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4년 03월 10부터 04월 08일까지 500명 대상으로 이루어 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과 AMOS 18.0 이용하여 Path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부변수에 해당되는 서비스 품질,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두 요인은 모바일헬스케어서비스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편의성 또한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한 콘텐츠 특성과 비용합리성은 이용 편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유용성 또한 사용의도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침으로 다양한 요인이 모바일헬스케어서비스의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의료비 상승의 대안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헬스케어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앱을 개발하는 업체의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하며, 정부는 건강보험의 적용 등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모바일 헬스케어 대상에 대한 차별적인 서비스 개발과 이에 대한 사용의도를 확인하는 후속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