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oducts

검색결과 3,805건 처리시간 0.038초

경기도내 유통 생즙 원료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for Raw Juice in Gyeonggi-Do, Korea)

  • 유경신;박포현;김기유;임부건;강민성;이유진;강충원;김윤호;이선영;서정화;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9-346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9월까지 생즙 원료 농산물 12품목 297건에 대한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GC/ECD, GC/NPD, TOF/MS, LC/PDA, LC/FLD, LC/MSM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검사결과 14건(4.7%)에서 9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클로로피리포스, 사이플루페나미드, 클로로탈로닐, 펜디메탈린, 아족시스트로빈, 피리달릴, 이마잘릴, 플루디옥소닐, 프로사이미돈이였으며, 검출된 농산물은 감귤, 당근, 사과, 셀러리, 치커리, 오렌지, 포도였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하였으며, %ADI값의 범위는 0.0011~6.7087%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건조에 따른 채소중 잔류농약의 경시변화 (Residual Patterns of Pesticides on Vegetables During Drying Process)

  • 남화정;곽영주;김철기;한영선;오세흥;장진섭;임수선;권성희;장승은;여은영;이은주;김순심;윤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0-305
    • /
    • 2007
  • 본 연구는 취나물, 고춧잎, 열무를 대상으로 건조에 따른 procymidone, diazinon의 잔류량의 경시적 변화를 연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내풍건 방법으로 건조하는 경우, procymidone, diazinon의 잔류량이 증가하지만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보정하면 $10{\sim}83%$ 감소하였고,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하는 경우도 농약 잔류량은 증가하여도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보정하면 $44{\sim}71%$ 감소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건조에 의하여, 수분 보정한 농약잔류량이 대부분 감소하므로 건조농산물을 판정함에 있어 단순히 신선농산물의 기준에서 수분함량의 감량을 고려하여 기준 적용할 것이 아니라 건조과정 중 농약잔류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려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LS 시행 전후 경기도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in Circulation in Gyeonggi-do Before and After Positive List System Enforcement)

  • 송서현;김기유;김윤성;유경신;강민성;임정화;유나영;한유리;최희정;강충원;김윤호;서정화;최옥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9-247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전체 농산물에 확대 적용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도 유통 농산물 검사 자료 28,693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검사 실적 대비 기준 초과 비율은 2018년 1.0%, 2019년 1.2%, 2020년 1.2%로 나타났고, 잔류농약 검출 비율은 2018년 12.9%, 2019년 25.1%, 2020년 37.3%로 증가하였다. 2019년 기준초과 114건 중 55건이 일률기준(0.01 mg/kg) 적용이었고, 2020년 기준초과 115건 중 66건이 일률기준 적용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의도적 오염,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 부정 농약에 대한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Fluquinconazole은 비의도적 오염이 원인이었고, diazinon, chlorothalonil, methabenzthiazuron은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이 원인이었다. Chinomethionat은 과거에 폐기된 농약 성분으로 밀수 농약 사용이 원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와 이후 모니터링 자료는 앞으로 제도 보완 및 현장 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PLC를 이용한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 연구 (Simultaneous Analysis of Multi-Residual Pesticides Using UPLC)

  • 김기유;엄미나;강정복;도영숙;문수경;정일형;손종성;피일선;박은미;김영수;이성봉;조상훈;문선애
    • 식품기술
    • /
    • 제21권2호
    • /
    • pp.49-54
    • /
    • 2008
  • 농산물 중 잔류농약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분석 할 수 있는 다성분 동시분석 방법에 따라서 UPLC-PDA을 이용하여 기기조건에 따른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식품별 최저 MRL과 비교하여 유효성을 알아보고 회수율을 통하여 방법의 재현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41종의 농약에 대한 검량선은 직선성이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0.005{\sim}0.109mg/kg$으로 나타났으며 정량한계 는 $0.018{\sim}0.363ppm$으로 나타났다. Cycloprothrin 등의 경우처럼 검출기의 감응도가 최저 MRL 기준을 초과하는 농약에 대한 보완으로는 검출감도가보다 우수한 UV 검출기 등의 병행 활용이 필요하다. 회수율에 따른 재현성은 쌀의 경우 첨가 농도 0.4 mg/kg 일때 $62.09{\sim}99.58%$로 편차범위는 $1.03{\sim}13.92%$ 얻을 수 있었다.

  • PDF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살균제의 용도 및 건강 위험에 대한 고찰 - 가습기 살균제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roducts Containing Benzalkonium Chloride (BKC), Focusing on Humidifier Disinfectant Products)

  • 김지원;조경이;김하나;박동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13-520
    • /
    • 2021
  • Background: Benzalkonium chloride (BKC)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a preservative in industrial products and in hygiene, medical, and cosmetic applications. Humidifier disinfectant (HD) products containing BKC have been used in South Korea.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ypes of products containing BKC, to summarize the regulations in the US, EU, Japan, and South Korea, and to review the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D. Methods: We reviewed and summarized documents which were searched through PubMed and Google Scholar with the key words: BKC and asthma/contact dermatitis, humidifier disinfectant-associated lung injury (HDLI), and more. Results: Regulations in most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do not allow its use as disinfectants in spray-type of products for medicine, cosmetics, and household products. Two types of HD containing BKC (800~1,270 ppm) were marketed in South Korea from 1996~2003. Health effects reported from people who used products containing BKC wer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erythema, and respiratory disease, including asthma. Two people who responded as HD users containing BKC only were confirmed to have developed asthma. HD-associated lung injury (HDLI) was reported by consumers who used both HD containing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and HD containing BKC.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use of BKC as a biocide has to be controlled considering the route and pattern of exposure. Products containing BKC as preservatives were reviewed with exposure routes and sites in the human body such as skin, eyes, and the respiratory tract. HD containing BKC was clinically evaluated to be associated with asthma.

Determination of Sulfur Dioxide in Herb Drugs

  • Ko, Suk-Kyung;Seung, Hyun-Jeung;Yu, In-Sil;Kim, Hwa-Soon;Park, Noh-Woon;Kang, Hee-G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3.1-10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ulfur dioxide in herb drugs.(Puerariae Radix, Lycii Fructus, Platycodi Radix, Dioscoreae Rhizoma, Mori Radicis Cortex, Nelumbo Seed, Paeoniae Radix, Remotiflori Radix, Astragali Radix, Polygonatum Rhizome) Experimental subjects included 105 cases of 10 species of herb drugs collected in Kyung-dong market from December in 2001 to February in 2002. Sulfur dioxide was determined by Optimized Monier-Wiliams method. In 65 cases(61.9%) of the 105 cases, we detected $SO_2$ over 10mg/kg.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