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검색결과 4,204건 처리시간 0.034초

농촌 치유관광객 시장세분화 연구 (Market Segmentation of Rural Healing Tourists)

  • 김경희;황대용;이혜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8권1호
    • /
    • pp.13-23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rket segmentation of rural healing tourists. A two-stage cluster method was used to segment the market of rural healing tourists,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segmented market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a total of 433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A total of four clusters of rural healing tourists were derived based on the purpose of visit and involvement with rural healing tourism. The names of each cluster were determined as 'high involvement, daily escape purpose type', 'high involvement, stress relief purpose type', 'low involvement, daily escape purpose type', and 'high involvement, exotic experience purpose type.' Each group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purpose of visit, companion, and expenditure. Th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rural healing tourists was highest in the group of 'high involvement, stress relief purpose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rural healing tourists were differ according to the segmented group. This study suggests useful information for target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segmented mark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healing touris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utogenous healing performance of ternary blended binders composed of OPC-BFS-CSA clinker

  • H.N. Yoon;Joonho Seo;Naru Kim;H.M. Son;H.K. Lee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5권1호
    • /
    • pp.11-22
    • /
    • 2023
  • Autogenous healing of concrete can be helpful in structural maintenance by healing cracks using a healing material created by the precipitation of calcite and by the hydration of unhydrated binder around the crack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utogenous healing performance of ternary blended binder composed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blast furnace slag (BFS), and calcium sulfoaluminate (CSA) clinker. Ternary blended binders with various contents of OPC-BFS-CSA clinker were prepared,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utogenous healing performances were examined using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and visually observed using a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e in the BFS content accompanied the increased the amount of unreacted BFS even after 28 days of curing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utogenous healing performance due to its latent hydration. However, replacing the CSA clinker did not increase the autogenous healing performance owing to an insufficient sulfate source for the formation of ettringite. The main precipitates around the cracks were calcite, C-S-H. Other hydration products such as portlandite, monosulfate, and ettringite, which were not found in the Rama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es.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Healing Power of Forest Environments: Focused on the Visitors of Bunseong Mountain

  • Han, Yeong-Seon;Koo, Chang-Duc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9-307
    • /
    • 2019
  • This study survey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rest use characteristics of forest visitors, the healing power of natural environments an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to find out whether humans can feel the healing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s.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was the natural environments of Bunseong Mountain in Gimhae, Gyeongsangnam-do, Korea. A total of 5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emale visitors and those aged between 40s to 60s accounted for 62% and over 70% respectively. All the surveyed respondents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about the healing effects of Bunseong Mountain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84% of them answered that they can ge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ing' in Bunseong Mountain. Many respondents chose oxygen, sunlight, and landscape as a healing factor. To the questions about the specific form or conditions of the natural environments that have the healing effects, those who answered 'forest' was the highest (72%), and they described thickness of forests, gentle slope and clean air as their conditions. The average score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using a 7-point Likert scale was 5.14.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espondents perceive Bunseong Mountain as a restorative environment and think that they can enjoy the healing effects of Bunseong Mountain and natural environments.

등가균열폭에 기반한 자기치유 재료의 치유성능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 of Healing Performance of Self-Healing Materials Based on Equivalent Crack Width)

  • 이웅종;김형석;최성;박병선;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83-3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수위 투수시험을 통하여 무기계 치유소재를 사용한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치유성능을 평가하였다.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제조를 위해 무기계 소재로 고로슬래그 미분말, 황산나트륨, 무수석고를 사용하였으며, 시멘트 클링커 분말과 클링커 잔골재를 시멘트와 잔골재를 각각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정수위 투수시험을 수행하여 균열폭과 치유재령 경과에 따른 단위유출 수량을 측정하였다.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치유성능평가 결과 Plain 모르타르와 비교하여 치유재령 28일에서 초기 균열폭이 0.3mm인 경우 치유율이 30%p 이상 증가하여 치유성능이 크게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투수시험결과로부터 얻은 상수(α)를 이용하여 치유재령 경과에 따른 등가균열폭을 산출하였으며, 등가균열폭과 치유율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치유 목표균열폭을 만족하기 위한 초기 균열폭과 도달시기를 예측하였다.

결정성장형 무기재료 활용 고상 캡슐을 혼합한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역학적 치유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Healing Properties of Self-Healing Mortar with Solid Capsules Using Crystal Growth Type Inorganic Materials)

  • 최연왕;남은준;오성록;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581-58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수화반응이 가능한 결정성장형 무기재료를 사용하여 고상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고상 캡슐 혼합에 따른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품질 및 역학적 치유 특성을 평가하였다. 고상 캡슐은 시멘트 질량에 대하여 5% 혼합하였다. 압축하중 재부하 실험결과 Plain의 자연 치유 효과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약 20%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성범위의 경우 치유재령 7일에 약 79% 및 치유재령 28일에 98%의 치유율이 나타났다. 휨하중 재부하 실험결과, 탄성범위의 경우 치유재령 7일에 약 79% 및 치유재령 28일에 98%의 치유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상 캡슐의 치유성능은 투수시험에 의한 내구적 특성 외에도 강도와 같은 역학적 치유 특성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고상 캡슐의 혼합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폴리머 복합재의 자가치료용 마이크로캡슐 제조공정 연구 (Manufacturing Process of Microcapsules for Autonomic Damage Repair of Polymeric Composites)

  • 윤성호;박희원;홍순지;이종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32-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자가치료제를 저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기 위만 공정절차를 제시하고 자가치료제가 저장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때 자가치료제는 DCPD(dicyclopentadiene), 마이크로캡슐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회절법을 이용한 입도분석기를 통해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입도분포를 측정하였다. 또만 DSC를 통해 자가치료제, 마이크로캡슐 박막을 형성하는 요소-포름알데히드의 수지, 자가치료제가 저장된 마이크로캡슐 등에 대한 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자가치료제가 저장된 마이크로캡슐에 대해 TGA를 통해 연속적인 온도증가 및 일정한 온도 조건 하에서의 열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가치료제가 저장된 마이크로캡슐은 마이크로캡슐의 박막이 연소되기 전까지는 박막 자체가 자가치료제의 증발을 막아 주어 자가치료제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심리상담카페를 중심으로 (A Geographical Study on Healing Spaces in Daily Life Centering on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acute{e}$s)

  • 박수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46-5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치유(healing)에 관한 지리적 접근을 검토하고, 심리상담카페의 운영자의 시선을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에 드러난 정신과, 심리상담센터 등과 같은 곳은 일종의 문화적 낙인(cultural stigma)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심리상담카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리적 거부감 내지 거리감을 낮춤으로서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통하고 있다. 둘째, 현대인들에게 요구되는 치유란 짧은 시간이나마 현실에서 도피할 수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인스턴트식으로, 기대하지 않았던 공간에서의 치유 활동은 심리상담카페의 이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으로 다가오며,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치유 경험이 가능한 곳이 된다. 셋째, 심리상담카페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인 카페로 재탄생함으로서 우리의 일상적 삶에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PDF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으로서 힐링(Healing)호흡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Breathing Method of Healing as a Health-Oriented Leisure Activity)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40-1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호흡의 치유적 기제가 현대인의 심신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강지향적 여가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문헌고찰해 보고자하였다. 이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여가는 다양한 분야에서 양적 증가를 나타내고 있는데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의 가치에 대한 높은 관심은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기회제공을 확대하고 건강관리 실천의 실효성을 뒷받침하게 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힐링의 치유 과정을 거쳐 삶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나간다면 사회적 관계에서 요구되는 '전인적 힐링' 패러다임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힐링(Healing) 호흡'의 인지적 호흡 활동의 유도는 몸과 마음의 치유적 효과를 더욱 높이고자 하는 건강 증진의 목적을 둔 여가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힐링(Healing) 호흡법을 통한 현대인들의 건강지향적 여가활동의 실천은 인간 생명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고 전인적(全人的) 사회화의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case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ifferent patterns of green care and healing complexes

  • Koo, Seungmo;Kim, Dae Sik;Koo, Hee Dong;Lee, Han Joon;Park, Bum Jin;Kim, Kyoung-Cha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51-461
    • /
    • 2017
  • Korean agriculture has recently focused on the 6th dimension of industrialization, which includes the functions of healing and care. The green care and healing business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odels, satisfying modern consumers' needs for care or healing in rural agricultural environments. Many studies have shown physical and social benefits from green care and healing, but studies regarding economic performance are rarely f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ifferent green care and healing farm complexes proposed in recent domestic research, with various possible combinations of business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cenarios are economically feasible as B/C (benefit-cost ratio) and IRR (internal rate of return) are 1.19 and 8.53%, respectively, under scenario 1. This study also performed a break-even analysis for providing more flexible decision-making information. Overall, scenario 1 from green care and healing site and scenario 4 from green care and healing cluster are found to be superior to the other scenarios in terms of B/C and IRR. The scenarios in this study reflect the domestic farms or complexes which have similar functions of care or heal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practical policies and business implications in making decisions on the specific size and operational patterns when adopting green care and healing complexes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in the future.

힐링 공간디자인의 기초연구 (Basic Study of Space Design for Healing)

  • 유현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23-131
    • /
    • 2018
  • 힐링 공간의 디자인은 인간에게 기와 여유로움, 정신적 해방감을 제공한다. 지친 몸을 회복시키며 삶의 건장함을 제공해 준다. 힐링이란 의미와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하여 힐링의 중요성과 가치를 확립하여 보았다. 인간이 자연에서 왔다가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은 지극히 필연적이라 생각되며, 살아가는 동안 목표를 세워서 조금씩 완성하고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끊임없이 계속하면서 큰 목표점에 도달하게 된다. 자연에서 온 만큼 자연의 분위기를 만들어 그 속에서 생활함으로써 치유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건축의 내부에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안한 힐링의 조건이 되며, 일본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건축물의 외부 전체를 목재로 완성한 써니힐스의 건물은 마치 까치의 집을 연상케 하기도 한다. 실내의 책상이나 책장도 목재로 하여 보다 따뜻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관엽식물을 심으면 힐링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천장에는 구름의 그림이나 나무, 해 등의 그림을 그리고 벽의 색은 기분을 차분하게 하는 파란색 계통이나 부드러운 핑크색을 적용하면 힐링의 효과는 배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힐링의 기본인 자연과 접하고 자연의 소재를 활용하여 생활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힐링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