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dspace

검색결과 316건 처리시간 0.034초

Dynamic Headspace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of Swiss Cheese Whey Protein Concentrate

  • Ha, E.Y.W.;Lee, S.J.;Jung, E.J.;Lee. Y.B.;Morr, C.V.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99-304
    • /
    • 2002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 headspace of swiss cheese whey protein concentrate (WPC) were analyzed by dynamic headspace analyzer,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er. Sixty one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the headspace of dry WPC and 23 compounds from the headspace of an aqueous solution of WPC. The major components were propanol, hexanal, 2-butanone, 2-pentanone, 2,3-butanedion, 2-propanol, acetic acid, dimethyl disulfide and benzothiazole. An external dynamic headspace sampler, devised for this study, effectively collected volatiles from the headspace of dry WPC and aqueous WPC solutions.

Solid-Phase Microextraction에 의한 백련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Lotu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63-37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headspace gas from white-flowered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Volatile flavor compositions of headspace from white-flowered lotus (floral leaf, stamen, flower stalk, stem)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method using polydimethylsiloxane-divinylbenzene fiber. The headspace was directly transferred to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ixty-thre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of lotus floral leaves, and undecanoic acid (7.81%)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ifty-thre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of lotus stamina, and isobutylidene phthalide (7.94%)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rty-four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of lotus flower stalks, and 3-butyl dihydrophthalide (11.23%)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ifty-nin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headspace of lotus stems, and ligustilide (16.15%)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The content of phthalides was higher in the headspace of flower stalks and stems, while alcohols and acids were the predominant compounds in lotus floral leaves.

고상미량추출장치(SPME)를 이용한 유류 오염 지하수 평가 기법 연구

  • 조현정;백기태;박지연;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48-150
    • /
    • 2001
  •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BTEX extraction behavior of SPME in groundwater. Analytical procedure was conducted In both conventional and headspace mode. And the conventional direct extraction method and the headspace analysis method were compared. Data obtained with direct and headspace SPME were very similar and showed successful results. In headspace analysis, the linearity was better and 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 was smaller than direct extraction.

  • PDF

수용성 모형계에서 콜레스테롤의 산화 안정성에 대한 Erythrosine의 영향 (Effects of Erythrosine on the Cholesterol Oxidative Stability in an Aqueous Model System)

  • 정만곤;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7-202
    • /
    • 1996
  •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수용성 모형계에서 erythrosine의 첨가농도, 광도, tocopherol과 ${\beta}-carotene$의 첨가에 따른 headspace내의 산소량의 변화와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생성량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Erythrosin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eadspace내 산소량의 감소가 컸고, 각종 COP 생성량은 증가하였다. 형광등의 조도가 증가할수록 headspace내 산소량의 감소가 컸고, 이에 비례하여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고 총 COP의 생성량은 증가하였다. 일중항 산소 소거제로 tocopherol과 ${\beta}-carotene$을 첨가하였을 때 headspace내의 산소량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에 비례하여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완만하였고 총 COP의 생성량 또한 감소하였다.

  • PDF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서지형;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3-156
    • /
    • 2001
  • 2단계 발효로 제조한 감식초를 static headspace-GC법과 SPME-GC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각각 포집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식초의 휘발성 성분 포집조건은 $80^{\circ}C$에서 20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감식초 휘발성 성분의 total FID response는 CW/DVB fiber를 이용한 SPME법에서 total peak area $18.18{\times}10^6$로, static headspace-GC법의 total peak area $1.35{\times}10^6$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감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으로 acetic acid, ethyl acetate, 3-hydroxy-2-butanone, ethanol,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으며, static headspace-GC법에서는 acid류 3종, aldehyde류 3종, alcohol류 5종, ester류 8종 및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SPME-GC법에서는 acid류 6종, aldehyde류 7종, alcohol류 6종, ester류 9종, hydrocarbone류 2종, ketone류 1종, 기타 3종으로, 총 3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benzaldehyde, phenethylacetate, phenethylalcohol 등의 비율이 headspace-GC법에 비해 높았다.

  • PDF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대두유 산화진행도의 객관적 평가방법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s an objective method for measuring rancidity in soybean oil)

  • 전호남;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54-161
    • /
    • 1991
  •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휘발성 산화생성물 분석으로 대두유의 산화진행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GC 주입부에 들어가는 splitless mode glass liner insert에 Tenax GC를 충전하여 휘발성 산화생성물을 효율적으로 포집 및 용출할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으며, 시판 대두유를 poIyethylene용기에 담은 후 뚜껑을 닫아 밀봉하여 일정한 조건으로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산패취의 변화를 관능검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동시에 휘발성 산화생성물을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3종의 휘발성 산화생성물이 gas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검출되었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penatanal과 hexanal의 생성을 관능검사 결과와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관 계수가 각각 0.990 및 0.994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polyethylene 용기에 포장된 대두유의 휘발성 산화생성물중 pentanal과 hexanal을 분석하면 대두유의 산화진행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DE 및 SPME에 의한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정유 및 Headspace 성분 분석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 최향숙;강은진;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8-11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 외에 우리 국민에게 친숙한 향기를 지닌 냉이를 대상으로 식용 부위에 따른 향기성분을 SDE 및 SPM 방법으로 동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고유 방향성 식물자원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SDE 방법으로 포집한 정유 성분과 SPME 방법으로 추출한 headspace 성분간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정유에는 headspace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탄화수소의 함량이 적었고, 케톤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이 높았다. 특히 phytol은 잎의 정유에서, ethyl acetate는 뿌리의 정유에서 상당이 높게 확인되었다. 냉이 특유의 향기에 기여하리라 추정되는 함유 황 화합물은 정유에서 높게 나타났다. 냉이의 정유 성분에는 알코올류와 유기산류의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ph발of과 1,2-benzenedicarboxylic acid에 기인하였다. 냉이 headspace에는 다량의 탄화수소류가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테르류 및 유기산류의 함량을 미량으로 확인되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애플민트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Applemint (Mentha rotundifolia(L.) Hud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민용규;윤향식;김지연;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65-1470
    • /
    • 1999
  • 충북청원에서 재배되고 있는 애플민트(Mentha rotundifolia(L) Huds)의 향기성분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SDE, SFE, headspace 추출하여 GC, GC/MS로 동정하였으며 GC-sniffing test로 향기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67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SDE 추출물에서는 39개, SFE추출물에서는 42개, headspace 추출물에서는 16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화합물 중 SDE와 headspace추출물은 terpene화합물이, SFE추출물은 hydrocarbone류가 여러종류로 나타났다. 그러나 SDE와 SFE추출물의 주성분은 piperitenone oxide, germacrene-D, trans sabinene hydrate등으로 유사하였으나 headspace추출물은 3-octanol, 1,8-cineol, camphene, benzeneacetadehyde등으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Sniffing test로 향기특성과 강도 및 화합물을 동정한 결과 SDE추출물을 구성하는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단내와 과일내$({\alpha}-thujene)$, 생버섯내(1-octen-3-ol, 3-octanol) 그리고 쓴 약초향$({\delta}-cadidene)$이었다. Headspace 추출물의 주된 향기특성으로는 알코올내, 상큼한 단내와 사과냄새(ethyl 2-methyl butanoate), 화학적이고 불쾌한내 그리고 쓴약초와 풀내(camphene)로 나타났다.

  • PDF

수용성 계에서 Phenolic Acid류와 인삼 추출물이 갖는 산화방지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Acids and Ginseng Extract in Aqueous System)

  • 이형옥;박옥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4-438
    • /
    • 1998
  • Linoleic acid 1% 완충용액에 3종의 phenolic acid류, 즉 caffeic acid, ferulic acid, vanillic acid 및 인삼 추출물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비교물질로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여 MDA (malondialdehyde) 정량법과 headspace oxygen analysis로 측정 비교 하였다.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 효과는 $caffeic\;acid{\geq}ferulic\;acid>{\alpha}-tocopherol>$인삼 추출물>vanill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산화저해율은 각각 63.5, 62.9, 52.3, 51.2, 5.6% 이었다. 첨가된 인삼 추출물의 농도는 700 ppm, 그외 phenolic aicd류 및 ${\alpha}-tocopherol$의 농도는 각각 100 ppm 이었다. 또한 인삼 추출물에 caffeic acid와 ${\alpha}-tocopherol$을 각각 100 ppm 첨가한 결과 91.2%의 산화저해율을 나타내었다. Headspace oxygen analysis 에 따른 결과에서는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ferulic acid>caffeic acid>${\alpha}-tocopherol$>인삼 추출물>vanillic acid의 순 이었고, 이때의 headspace 중 산소 함량은 18.56, 17.78, 17.17, 16.65, 15.95%로 각각 나타났다.

  • PDF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식용유의 산패도 측정 (Evaluation of vegetable oil rancidity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 전호남;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36-41
    • /
    • 1992
  • 면실유, 옥배유 및 채종유의 산패도를 신속하고 재현성 있게 측정하고자 $60^{\circ}C$$70^{\circ}C$로 저장한 식용유의 pentanal과 hexanal을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관능검사 결과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방법에서 휘발성 산화생성물의 포집 및 용출은 cold trap-thermal desorption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GC 주입부에 들어가는 splitless mode glass liner insert에 Tenax GC를 충전하여 사용하였다. 23종의 휘발성 산화생성물이 gas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검출되었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pentanal과 hexanal 함량 변화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취 측정 결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pentana(PE), hexanal(HE) 및 log{PE) log(HE) $log(PE){\times}log(HE)$의 세 가지를 변수로 한 회귀식의 상관계수의 값이 각각 0.831, 0.866 및 0.896으로 다같이 높을 값을 보였다. 따라서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면실유, 옥배유 및 채종유의 휘발성 산화생성물 중 pentanal과 hexanal을 분석하면 각각의 식용유의 산패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