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of pancrea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췌장의 고형 유두상 상피종양의 임상병리학적 연구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Solid and Papillary Neoplasm of Pancreas)

  • 최준혁;구미진;김홍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36-46
    • /
    • 1998
  • 췌장의 고형 유두상 상피종양의 임상 병리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소견을 바탕으로 종양세포의 기원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체장의 고형 유두상 상피종양으로 진단받은 8례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정의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8례 모두 여성이었고 연령은 21세에서 54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34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미부(4례), 체부-미부(2례), 체부(1례), 두부(1례)에 각각 발생하였다. 육안적으로 고형성 부위, 출혈과 낭성 변화가 혼합된 피막을 가진 종괴로 평균 크기는 9.3cm였고, 조직학적으로 원형 내지 다각형의 균일한 종양세포가 판상 혹은 유두상 배열을 보였다. 변역조직화학 염색에서 8례(100%)가 ${\alpha}1$-antitrypsin에 양성이었고, 7례(87.5%)가 cytokeratin, 7례 (87.5%)가 progesterone 수용체, 6례(75%)가 vimentin, 그리고 1례 (12.5%)가 synaptophysin에 각각 양성이었다. Estrogen 수용체에 대하여는 전예가 음성 반응을 보였다. 전자현미경 소견상 종양세포의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하였고 효소원 과립과 환충판이 관찰되었고 인접한 세포들 사이에 소관 구조를 닮은 간극이 관찰되어 췌장의 고형 유두상 상피종양은 전능 간세포(totipotent stem cell)에서 기원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슐린 분비성 췌장세포암 1례 (One Case of Insulinoma)

  • 안재희;서혜상;윤성철;윤경우;최수봉;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205-211
    • /
    • 1988
  • 본 저자들은 44세의 여자환자로 3년전부터 발생한 경련성 발작후 의식소실로 간질로 진단 받은 후 항경련제를 투여받았으나 효과가 없었던, 금식검사에서 혈청 insulin, C-peptide, glucose, 24시간 뇨 c-peptide 및 선택적 췌장동맥 촬영술로 인술린종을 진단, 수술로 종물을 적출후 경련성 발작이 사라진 인술린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췌장암의 치료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Pancreatic Cancer)

  • 김대용;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31-335
    • /
    • 1993
  • 1981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40명의 국소적으로 절제불가능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를 2주의 간격을 두고 2000 cGy씩 총 4000 cGy를 조사하고 5-FU (5-fluorouracil)를 방사선조사의 각 course의 첫 3일에 걸쳐 투여한 40명의 모든 환자에 대해 분석을 하였으며 그중 23명의 환자는 방사선치료 4주 후부터 5-FU 단독 혹은 FAN (5-FU, Adriamycin, Mitomycin)을 유지요법으로 시행하였다. 생존의 중앙치는 9개월이며, 2년 생존율은 $10.0\%$이었다. 통증완화는 $70.0\%$에서 완전 혹은 부분관해를 보였다. 치료전 performance status가 중요한 예후 인자였으며 치료전 고식적 수술을 시행한 군 및 종양이 두부에 위치한 군이 의미 있게 생존율이 높았다.

  • PDF

다기관성 대결절성 결핵 1예 (A Case of Multi-Organ Macronodular Tuberculosis)

  • 임경리;강명호;김태석;문기원;류동열;이희영;한선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1호
    • /
    • pp.88-92
    • /
    • 2012
  • A 37 year old female presented with epigastric pain and weight loss over a period of 3 months. Her abdominal CT finding showed a 4.5 cm size hepatic mass and 4.3 cm size pancreatic head mass with multiple macronodules in the liver. At the same time, her chest CT revealed a 5 cm size necrotic mass in the left lower lobe of the lung with multiple bilateral pulmonary nodules. We diagnosed these lesions as tuberculosis through multiple biopsies. She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After taking the medications, her symptoms were improved. Twelve months later, imaging studies indicated an improvement in the patient's health. Here we report a case report of multi-organ macronodular tuberculosis in lung, liver and pancreas.

후두에서 기원한 IgG4 연관 가성 종양 1예 (A Case of IgG4-Related Pseudotumor in Larynx)

  • 이민혁;홍준표;김태환;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0-114
    • /
    • 2022
  • IgG4-related disease is a fibroinflammatory condition by infiltration of IgG4-positive plasma cells that often presents as a tumorous lesion. This disease can affect nearly every organ system. After the pancreas, the head and neck region is second most common site for presentation of IgG4-related disease such as Mikulicz's disease, Küttner tumor. The involvement of IgG4-related disease in laryngeal lesions is extremely rar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IgG4-related disease with pseudotumor formation in the larynx that is suggestive of malignancy in radiologic findings. But the pathology findings was finally confirmed as IgG4-related disease. Oral treatment with prednisolone was initiated, and the edematous mass reduced in size without permanent functional impairment of vocal fold mobility.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literature review.

갑상선 내부 및 갑상선 주위에 발생한 새열낭종 (An Intrathyroidal Branchial Cleft Cyst and a Perithyroidal Branchial Cleft Cyst)

  • 이승아;정웅윤;윤종호;장항석;홍순원;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66
    • /
    • 2003
  • Branchial cleft cysts typically are characterized as lateral swellings anterior to sternocleidomastoid muscle in upper third of the neck. However, cysts have been reported in unusual location such as the thymus, oral cavity, parotid gland, pancreas, and thyroid. Perithyroidal branchial cleft cysts are also rare and preoperative diagnosis is very difficult.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intrathyroidal branchial cleft cys and a case of perithyroidal branchial cleft cyst, which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as the parathyroid cyst. So, we report these two case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흡연과 암 (Smoking and Cancer: a Review of the Recent Evidence)

  • 김남득;전성실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4
    • /
    • 1998
  • By far, the largest known preventable cause of cancer is cigarette smoking. The percentage of cancer deaths in Korea due to tobacco is still increasing. Smoking cigarette at an early age has become more common among women. Tobacco consumption is related causally to cancer to the lung, mouth, larynx, esophagus, bladder, kidney, uterine cervix, and pancreas. Recently, severa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re is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p53 mutations in lung cancer, head and neck cancer, and bladder cancer. The recent findings of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p53 and bcl-2 mutations, adverse effects of smoking on the effects of radiotherapy, and benefits of quitting will be discussed.

  • PDF

낭성변화를 보이는 췌장의 신경초종: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Pancreatic Schwannoma with Cystic Degener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박준석;민선정;김현철;최정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94-200
    • /
    • 2021
  • 신경초종은 슈반세포에서 기원하는 양성 종양이며 말초신경집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종양이다. 신경초종은 신체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보통 머리와 목, 그리고 사지의 굽힘 면에서 흔하게 보일 수 있는 종양이다. 췌장은 신경초종이 드물게 생기는 위치이며 적은 수의 증례가 보고되었다. 보고된 신경초종 증례의 약 3분의 2 정도에서 낭성변화를 동반한다. 따라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췌장에서 발견되는 낭성변화를 동반한 고형 종양의 경우 신경초종이 감별진단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낭성변화를 동반한 췌장의 신경초종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췌장 두부 또는 십이지장을 침범한 위암에서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Invading the Pancreatic Head or Duodenum)

  • 김수열;이종명;김우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193-199
    • /
    • 2007
  • 목적: 주위 장기를 침범한 진행성 위암에서 병소의 완전한 절제를 위해서는 침범된 장기의 합병 절제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양이 췌장 두부나 십이지장물 침범하는 경우에는 낮은 절제 성공과 높은 이환율로 인하여 병소의 완전한 절제는 제한된다. 이에 저자들은 췌장 두부 또는 십이지장을 침범한 위암에서 시행된 수술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수술 방법 선정의 적절성을 알아보고가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5년가 예수병원 외과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소견상 원발 종양이나 구역 림프절에 의해 췌장 두부나 십이지장의 침범이 의심되는 45명의 환자 중 비치유 인자를 동반하지 않은 2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합병 절제를 시행한 4예를 PD군, 위아전절제술만을 시행한 12예를 STG군, 고식적 우회술만을 시행한 6예를 GJ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수술적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PD군은 모두 D3 림프절 절제술을 포함하는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여 병소의 완전한 절제를 하였으며, 1예에서 췌장루를 보였고(이환율 25%) 수술로 인할 사망 예는 없었다(사망률 0%), PD군은 모두 제 IV 병기였으나 75%의 2년 생존율과 50%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STG군은 종양을 변연 절제(marginal resection)하거나 (6예) 고식적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6예) 림프절 절제의 범위도 D2 이하로 적었고 41.7%의 2년 생존율과 16,7%의 5년 생존율 보였다. GJ군은 평균 연령이 $72.7{\pm}8.6$세로 고랑이었으며 2년 생존율이 0%였다. 결론: 췌장 두부를 침범한 진행성 위선암에서 합병 절제로서의 췌십이지장절제는 중등도 이환율과 낮은 사망률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고 비치유 인자가 없는 경우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는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

Misdiagnosis of fetus-in-fetu as meconium peritonitis

  • Kim, Yoon-Joo;Sohn, Se-Hyung;Lee, Ju-Young;Sohn, Jin-A;Lee, Eun-Hee;Kim, Ee-Kyung;Choi, Chang-Won;Kim, Han-Suk;Kim, Beyong-Il;Choi, Jung-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3호
    • /
    • pp.133-136
    • /
    • 2011
  • Fetus-in-fetu (FIF) is a rare congenital condition in which a fetiform mass is detected in the host abdomen and also in other sites such as the intracranium, thorax, head, and neck. This condition has been rare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fetus presenting with abdominal cystic mass and ascites and prenatally diagnosed as meconium pseudocyst. Explorative laparotomy revealed an irregular fetiform mass in the retroperitoneum within a fluid-filled cyst. The mass contained intestinal tract, liver, pancreas, and finger. Fetal abdominal cystic mass has been identified in a broad spectrum of diseases. However, as in our case, FIF is often overlooked during differential diagnosis. FIF should als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nditions associated with fetal abdominal m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