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CT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 심경부 감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of Pediatric Deep Neck Infection)

  • 문태현;이도준;박병건;이상준;정필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Background: Pediatric deep neck infection can cause critical complications in that they are seldom able to verbalize symptoms or cooperate with physical examin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26 cases with pediatric deep neck infection during 12 years. Patients were classified infancy group (1-7 yr, 19.2%), preschool age group (7-15 yr, 30.8%) and school age group (15 yr-, 50%). We analyzed the age, sex, sites of abscess, predisposing factors, symptoms and compared onset, hospital date, laboratory and outcomes at each group. Resul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deep neck infection, the age distribution was 18 males (69.2%) and 8 females (30.8%), the mean age was 7.4 years. The most common infection site was the anterior cervical triangle and submandibular space (19.2%). The most commonly known associated preceding disease was upper viral infection (34.6%), but we could not find the preceding diseases in most of cases (50%). Neck swelling (69.2%)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The mean age of patients who performed neck CT was 8.23 years and neck US was 2.75 years. The younger patients were preferred to perform the neck US than the neck CT (p=0.022). The mean time from disease onset to admission was 9 days in the infancy, 5.5 days in the preschool aged and 5 days in the school aged group. The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30.8% of school aged, 62.5% of preschool aged and 100% of infancy group. Surgical treatment was preferred to younger patients (p=0.026). Conclusion: Abscess sites, size, and antibiotics susceptibility and especially patient ag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reating pediatric deep neck infection.

  • PDF

흔치 않은 위치에서 발생한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Respiratory Epithelial Adenomatoid Hamartoma at an Unusual Loc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권다은;김다미;송창준;이인호;김용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247-251
    • /
    • 2024
  • 두경부의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은 섬모호흡상피로 둘러싸인 선조직으로 구성된 드문 양성종양이다. 두경부의 비강, 부비동 또는 비인강의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이 현재까지 보고되었다.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은 드물고 특징적인 영상 소견이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흔하지 않은 위치에 비특이적인 낭성종물로 발생한 경우 영상의학적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저자들은 볼쪽공간(상악후방 지방층)에서 낭성종물의 형태로 나타난 병리적으로 진단된 호흡상피 선종양 과오종의 CT 및 MRI 영상 소견을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수술 불가능한 두경부 종양에서 방사선 단독요법과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의 비교 (A Comparision of Radiotherapy Alone with Induction Chemotherapy-Radiotherapy in Inoperable Head and Neck Cancer)

  • 박인규;윤상모;김상보;류삼열;박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05-213
    • /
    • 1991
  • 수술불가능한 두경부 종양에서 유도 화학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55명의 환자가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이 환자군은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받은 54명의 환자와 비교되었다. 치료에 이용된 화학요법은 CF (cis-platine+5-FU), CVB(cyclophosphamide+vincristine, bleomycin), CAP (cyclophosphamide+adriamycine+prednisolone) 혹은 PVBM(cis-platine+vincristine+ bleomycine+methotrexate)이었다. 유도화학요법의 독성은 미미했고, 주로 오심 및 구토, 점막 염증그리고 골수 억제였다. 화학요법에 대한 주관해율은 $61.8\%$였고, 이중 완전관해율은 $14.5\%$ 그리고 부분관해율은 $47.3\%$로 나타났다.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에 있어서, 국소 치료이후 주관해율은 $87.3\%$(48/55), 이중 완전관해율은 $58.2\%$ (32/55)그리고 부분관해율은 $29.1\%$ (16/55)였다.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주관해율 $81.5\%$(44/55), 완전관해율 $50\%$(27/55) 그리고 부분관해율$31.5\%$ (17/55)로 나타났다(p=0.57) . 중앙 추적기간은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17개월,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11개월 이었다. 중앙 생존기간은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30개월,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24개월이었다(p=0.3). 2년, 3년, 그리고 5년 생존율은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각각 $60.9\%,\;48.6\%,\;42.5\%$로 나타났고, 방사선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54.9\%,\;49.9\%,\;49.9\%$로 나타났다(p=0.33). 방사선 단독군과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용요법 군에서 전체 종양의 병기, 원발 종양 및 임파절의 병기, 원발 병소의 위치, 그리고 조직학적 소견에 대하여 비교하여 보았으나, 모든 경우에 있어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 후향성 조사에서 수술 불가능한 두경부 종양에 있어서 유도 화학요법의 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 PDF

치과환자에서 경동맥 석회화 유발율에 대한 전산화단층사진 연구 (A CT study of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in dental patients)

  • 윤숙자;이재서;윤웅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3호
    • /
    • pp.151-155
    • /
    • 2006
  • Purpose : Stroke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Atherosclerotic disease in the carotid artery bifurca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troke. The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is easily appreciated by CT (Computed tomography). CT is often taken in a dental hospital for the diagnosis of inflammation, injury, cyst or tumor on maxillofacial region. However, there was no report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in dental patient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in denta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e pres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evaluated by an experienced radiologist on CT scans of 287 patients (166 males, 121 females, average age 42, range 6 to 86 years) and the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 and the interpretation of CT were reviewed. Results :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detected on CT scans of 57 patients (19.8%; 35 males, 22 females). All the male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ere older than 50, and all the female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ere older than 60. Among the 57 patients, 10 had Diabetes mellitus, 20 had cardiovascular disease, 3 had history of stroke and 3 underwent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not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of CT of dental patients except one patient.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of dental patients was about 20% in this study.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of CT of dental patients.

  • PDF

좀목형 엽육 표피조직의 분비모 발달 양상 (Developmental Patterns of Glandular Trichomes in Leaves of Vitex negundo)

  • 박재용;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101-108
    • /
    • 2010
  • 특정 성분 방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좀목형(Vitex negundo) 엽육 표피조직의 분비모 유형에 대한 구조적 발달양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엽육 표피에 발달하는 두 유형의 분비모는 peltate형(peltate glandular type, PT)과 capitate형(capitate glandular type, CT)으로 크기 및 밀도, 분비강 형성 등의 구조적 특성이 생장단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어린잎 상피에는 이미 분화된 PT형 분비모가 밀생하여 생장 초기에서부터 뚜렷한 형태구조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시기의 하피는 비분비성 단순모에 피복되어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엽신의 발달로 표피조직이 신장되면 PT 및 CT 분비모들은 성숙한 상피 및 하피조직에서 비교적 낮은 밀도로 발달하는 특성을 보이며 분화하였다. PT형 분비모는 6~8개의 분비세포(ca. 35~40 ${\mu}m$)와 하나의 병세포(ca. 5 ${\mu}m$)로 구성되어 있으나, CT형 분비모는 4개의 분비세포(ca. 10~15 ${\mu}m$)와 1~2개의 병세포(ca. 10 ${\mu}m$)로 이루어져 있다. 분비세포 내에는 분비강이 형성되나 크기, 구조 및 형성과정은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진행되었다. 분화초기 PT형 분비세포 외부 세포벽으로부터 분리된 층이 빠르게 팽창하면서 분비강이 형성되고, 분비강 내에는 수많은 분비소낭들이 분비물질을 축적하며 저장되었다. 이들 구획은 팽창된 분비강을 가득 채우며 생성되는 물질을 축적한 후 누출형 분비를 통해 방향성분 및 물질을 외부로 방출하였다. 반면, CT형 분비세포 내에는 분비소낭 생성 없이 비교적 작은 분비강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좀목형의 특정성분 방출 기작에서는 PT형 분비모가 CT형 분비모에 비해 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인 남성 머리와 얼굴 부위의 형태분류와 3차원적 분석 (Classification of Head Shape and 3-dimensional analysis for Korean Men)

  • 최영림;김재승;남윤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12-820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head shapes of Korean men and to suggest computer tomography as a new body measurement method. The 23 head measurement items of 760 men, aged more than 18 in Sizekorea 2004 database were used to analyze, measur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se data. Through factor analysis, 5 factors were extracted upon factor scores and those factors comprised 70.91% for the total variances. The head and face shapes were categorized as 5 types-triangle, round, oval, long, rectangle. We decided for the type 1(triangle) to standard head shape since this type was the most observed. 21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computed tomography(CT). The measured data of skin and skeleton and the standard head shapes were illustrated.

CT Scan Mode와 관전압 변경에 따른 소아 두부 영상의 선량 및 영상평가 (Dose and Image Evaluation of Pediatric Head Image according to CT Scan Mode and kVp Changes)

  • 김병제;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01-808
    • /
    • 2023
  • 소아 두부 CT 검사 시 방사선 피폭 최소화와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Volume Axial Mode, High Pitch Mode, Helical Mode 간 피폭 선량과 영상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1세 미만의 소아 두부 CT Helical Mode, High Pitch Mode, Volume Axial Mode에서 70, 80, 100 kVp의 관전압에 따라 영상평가와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영상평가는 각 영상에 ROI를 설정해 SNR과 CNR을 산출하여 영상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고, 선량평가는 검사 후 장비에서 직접 제공하는 Dose Report에 표시되는 DLP값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Volume Axial Mod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을 때, DLP 값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왔고, SNR과 CNR은 각각 ROI와 kVp별 차이를 가졌다. Volume Axial Mode가 다른 Scan Mode와 비교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을 때, 그 차이 값이 균일하지 않아 특정 Mode가 우수하다고 볼 수 없었으나 선량 측면에서는 가장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Volume Axial Mode의 짧은 스캔 시간과 Table의 이동 없이 제자리에서 검사 할 수 있는 점은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1세 미만 소아 CT검사에서 유용하게 적용된다.

Cone beam CT와 일반 CT의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 비교평가 (Comparison of cone beam CT and conventional CT in absorbed and effective dose)

  • 김상연;한진우;박인우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1호
    • /
    • pp.7-15
    • /
    • 2008
  • Purpose: This study provides comparative measurements of absorbed and effective doses for newly develope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T) in comparison with these doses for conventional CT. Materials and Methods: Thermoluminescent dosimeter rods (TLD rod: GR-20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were placed at 25 sites throughout the layers of Male ART Head and Neck Phantom (Radiology Support Devices Inc., Long Beach, USA) for dosimetry. Implagraphy, DCT Pro (Vatech Co., Hwasung, Korea) units, SCT-6800TXL (Shimadzu Corp., Kyoto, Japan), and Crane x 3+(Soredex Orion Corp., Helsinki, Finland) were used for radiation exposures. Absorption doses were measured with Harshaw 3500TLD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Radiation weighted doses and effective doses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by 2005 ICRP tissue weighting factors. Results: Absorbed doses in Rt. submandibular gland were 110.57 mGy for SCT 6800TXL (Implant), 24.56 mGy for SCT 6800TXL (3D), 22.39 mGy for Implagraphy 3, 7.19 mGy for DCT Pro, 5.96 mGy for Implagraphy 1, 0.70 mGy for Cranex 3+. Effective doses $(E_{2005draft)$ were 2.551 mSv for SCT 6800TXL (Implant), 1.272 mSv for SCT 6800TXL (3D), 0.598 mSv for Implagraphy 3, 0.428 mSv for DCT Pro and 0.146 mSv for Implagraphy 1. These are 108.6, 54.1, 25.5, 18.2 and 6.2 times greater than panoramic examination (Cranex 3+) doses (0.023mSv). Conclusion: Cone beam CT machines recently developed in Korea, showed lower effective doses than conventional CT. Cone beam CT provides a lower dose and cost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T, promising to revolutionize the practice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PDF

유리비골피부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재건 시 CT Angiography를 통한 천공지의 확인 (Preoperative Identification of Perforator Using CT Angiography in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 장택진;김은기;최종우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5
    • /
    • 2012
  • Purpose: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is the procedure of choice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However, the anatomic consistenc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kin paddle have been considered to be questionable and the utilization of the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can be challenging for the inexperienced surgeon.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can support revolutionary help with the operator design of the fibular osteocutaneous flap.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are the valuable experience of support with preoperative CT angiography. Methods: Three consecutive patients, who needed mandibular reconstruction, were treated with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Each of the patients had undergone lower extremity CT angiography before the surgery. The CT angiographies were scrupulously investigated to calculate the locations and the tracts of the peroneal artery perforators. We compared the findings of the CT angiography with those of the real operation. Results: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forators was sufficiently matched with the findings of the operation. With the use of preoperative CT angiography, we were able to achieve confident performance during operation, shortening of operation time, and fine outcomes with a no flap failure. Conclusion: The CT angiography of lower extremity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f the perforators of the fibular osteocutaneous free flap.

Geant4 전산모사를 이용한 두개골 팬텀의 물질 두께 변동에 따른 양성자 브래그 피크의 위치 변화 (Change of Proton Bragg Peak by Variation of Material Thickness in Head Phantom using Geant4)

  • 김유미;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01-408
    • /
    • 2021
  • 양성자 치료는 방사선치료 중 하나로 브래그 피크로 알려진 물리적 특성을 활용한 방법이다. 양성자 치료계획 수립 시 주로 전산화단층촬영(CT)의 인체 횡단면 영상이 사용되고 있다. CT는 사용되는 관전압에 따라 HU가 변하게 되며 이는 구조물의 경계, 두께 변화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Geant4를 이용하여 복합 물질로 구성된 두개골 팬텀에서 두께 변화에 따른 뇌 영역의 브래그 곡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단일 물질로 구성된 팬텀에서 매질의 종류와 양성자의 입사에너지에 따른 브래그 곡선을 측정하여 Geant4 계산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두개골 팬텀의 각 두께를 변동하였을 때 뇌 영역에서 발생하는 피크의 위치변화를 측정하였다. 연부조직의 두께를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위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부의 두께를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변화는 적었으며, 주로 뼈의 두께를 변화할 때 피크의 위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뼈를 단독으로 변화하였을 때와 뼈를 다른 조직과 함께 변화하였을 때 피크의 위치 변화량은 동일하였다. 뼈의 정확한 두께 측정이 방사선치료계획의 선량-깊이 분포 예측에 주요 인자 중 하나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