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Substances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4초

과일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분포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 이희동;경기성;권혜영;임양빈;김진배;박승순;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1
    • /
    • 2004
  • 농약의 특성 및 과일별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숭아, 포도 및 배 등 과수를 시험작물로 하여 침투성 살균제인 hexaconazole 2% SC와 비침투성 살균제인 chlorothalonil 53% SC를 혼용 희석하여 시험과수의 지상부에 1회 살포한 후 2시간, 3, 7, 14, 21일 째에 과일을 시료로 채취하였고, 시험기간 중 과일의 증체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경시적으로 농약 잔류량과 과육 및 과피 중 잔류농약의 분포비율을 조사하였다. 과일의 증체량은 털이 있는 복숭아는 약제 살포 21일 후에 약 57%, 털이 없는 천도복숭아는 약 40% 증가되었고, 포도와 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농약살포 직후와 대비한 21일 후의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hexaconazole의 경우 복숭아에서는 13%, 포도에서는 24%, 배에서는 36% 농약이 잔류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에는 각각 11%, 27% 및 44%의 농약이 잔류하였다. 과일의 과피와 과육 등 부위별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과육에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ethod for Rapid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ree β-agonists (Clenbuterol, Ractopamine, and Zilpaterol)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Sung, In Kyung;Park, Seo Jung;Kang, Kyutae;Kim, Min Young;Cho, Seongbeo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29
    • /
    • 2015
  • ${\beta}$-agonists are anabolic compounds that promote fat loss and muscle gain, and their administration to livestock may provide economic benefits by increasing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For these reasons, ${\beta}$-agonists are also commonly added to livestock feed as growth promoters. This can introduce a significant risk of secondary human poisoning through intake of contaminated meat. A new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ree ${\beta}$-agonists (clenbuterol, ractopamine, and zilpaterol)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applied to various meat samples.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derived through a validation test following Codex guidelines, were $0.2{\mu}g/kg$ for clenbuterol and zilpaterol, and $0.4{\mu}g/kg$ for ractopamine. The average recoveries for clenbuterol, ractopamine, and zilpaterol ranged from 109.1% to 118.3%, 95.3% to 109.0%, and 94.1% to 120.0%, respectively. The recovery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fe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according to the Codex guidelines. This method reduced the analysis time without decreasing detection efficiency by modifying the pretreatment steps. This method could be utilized to manage the safety of imported meat products from countries where zilpaterol use is still permitted, thereby improving public health and preventing ${\beta}$-agonist poisoning due to secondary contamination.

도베실산칼슘 정 및 아세피필린 정의 용출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solution Test for Dobesilate Calcium Tablets and Acepifylline Tablets)

  • 박찬호;이진하;김은정;손경희;김영옥;김동섭;송영미;사홍기;최후균
    • 약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1-137
    • /
    • 2011
  • The dissolution test method and an analytical procedure by HPLC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for dobesilate calcium tablets and acepifylline tablets. These drugs were not yet characterized by the dissolution specifications in Korean Pharmaceutical Codex. So, with each reference and test drugs, we did the preliminary and standard experiments based on the Korean Pharmacopeia Guideline of dissolution testing for solid oral dosage forms. The dissolution test for dobesilate calcium tablets was carried out under sink conditions as following: dissolution medium water, paddle rotation speed 50 rpm and vessel volume 900 ml. More than 90% of its label amount was released within 30 min in this method. Also the dissolution test for acepifylline tablets was carried out under sink conditions as follows: dissolution medium water, paddle rotation speed 100 rpm and vessel volume 900 ml. More than 90% of its label amount was released within 45 min in this method. The dissolution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precise and accurate HPLC method. The developed dissolution test showed specificity,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dissolution testing method described above was adequate for the purpose and may be proposed as a pharmacopeial standar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dobesilate calcium tablets and acepifylline tablets.

Monitoring of Red Pepper Powder and Seasoned Red-Pepper Sauce using Species-Specific PCR in Conjunction with Whole Genome Amplification

  • Hong, Yewon;Kwon, Kisung;Kang, Tae S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6-150
    • /
    • 2018
  • 고추는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양념 중 하나이다. 하지만 수입 고춧가루와 다진 양념(다대기)에 부과되는 관세율(45%/270%)의 차이로 인해, 다진 양념이 수입된 후, 건조 및 분쇄 과정을 거쳐 고춧가루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 특이 PCR 기술과 whole-genome amplification 방법을 접목하여 고춧가루(N=45) 및 다진 양념(N=5) 제품의 사용원료(고추, 마늘, 양파, 파, 생강)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39개 고춧가루 제품은 표시사항을 준수하였으며, 6개 고춧가루 및 5개 다진 양념 제품은 제조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분석 제품의 22%가 표시사항을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고춧가루 제품에 사용된 원료분석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국내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관리 지침개발을 위한 국외 사례 검토: US EPA 배출지침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Effluent Guidelines of Foreign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HNS) from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Management Guidelines, Korea: Focusing on the US EPA Guidelines)

  • 최기영;김창준;김영일;강원수;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spc호
    • /
    • pp.44-49
    • /
    • 2022
  • 해양환경의 위험유해물질 배출규제는 주로 선박이나 해양시설 등으로부터의 오염규제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안 인접 산업시설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의 해양배출제도의 수립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정보를 자세히 제공하고 있는 미국 환경보호청(US EPA)의 자료를 중심으로 허용기준 및 배출 지침 수립 등 배출 제도 체계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 배출지침 적용에 대해 고찰했다.

네일 샵 종사자들의 직무 형태별 취급 유해화학물질 (Task-Specific Hazardous Chemicals Used by Nail Shop Technicians)

  • 최상준;박성애;윤충식;김선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6-464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sk-specific hazards of chemicals used by nail technicia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Materials: A total of 30 nail shops located in Daegu City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major tasks and practices performed by nail technicians and the ingredients listed in nail care products used in shops. We also collected instructions for use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s) of nail care products and compared CAS Nos. of ingredients with the lists of chemicals regulated by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ISHA) and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CSCA). Results: A total of 125 chemical ingredients were found in 468 nail care products used at the 30 nail shops. The most frequently found ingredients were ethyl acetate(72%), followed by n-butyl acetate(71.8%), isopropanol(56%), benzophenone(51.1%), nitrocellulose(46.4%) and ethanol(45.3%). Comparing six tasks, the task of manicuring used the most products at 222 products containing 91 ingredients. Among the 125 ingredients, there are 31 chemicals with occupational exposure limits(OEL)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eight categorized as carcinogens, one mutagen and two reproductive toxic chemicals. In terms of carcinogens, formaldehyde was identified as the only confirmed human carcinogen(1A). We found that there was one chemical with a permissible limit, one special management substance, 18 workplace monitoring substances and ten special health diagnosis substances regulated by ISHA. For CSCA, nine poisonous substances, six substances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and one restricted substance were identifi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formaldehyde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chemicals that should most strictly be controlled for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of nail technicians and customer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materials with detailed hazardous information of nail care products for nail shop technicians.

실험실 화학사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fo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aboratory Chemical Accidents)

  • 이태형;이덕재;박중돈;신창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10-116
    • /
    • 2016
  • 본 연구는 실험실 화학사고를 대상으로 각 연도별 사고현황, 사고유형, 사고원인 등의 화학물질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실에서 발생한 화학사고는 총 30건이었으며, 이중 25건이 학교 실험실에서 발생하였다. 실험실화학사고의 사고유형 중 유출 및 누출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작업자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실 사고예방과 연구활동 종사자의 보호를 위해서는 현장점검 강화, 유해화학물질 관리 감독 강화, 안전교육 강화 등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항만 해저침적 위험유해물질(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Requirements of Mechanical System for Recovery of Deposi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from Seabed around Seaport)

  • 황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1-688
    • /
    • 2020
  • 해상을 통하여 운송되는 화학물질은 6,000여종에 이르며, 이러한 화학물질에는 해양을 오염시키거나 해양생물에 해로운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가 포함되어 있다. 해상운송 과정에서 바다로 유출된 HNS는 해상 및 해중에서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거치게 되는데, 어떤 종류의 HNS는 해저로 침강하여 퇴적되기도 한다. 해저에 침적된 HNS는 해저생태계에 커다란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저침적 HNS를 탐지·처리하여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저침적된 HNS를 회수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개발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성능요건을 제시하였다. 해저의 오염물질을 회수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준설장비에 대하여 조사하고, 준설장비의 방식별 성능지표를 분석함으로써 기계장치에 대한 10가지의 성능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성능지표를 활용하여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개발을 위한 성능요건을 제안하였다. 국내 항만의 수심을 고려하여,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을 생산율(50 ~ 300 ㎥/hr), 최대운용수심(50 m), 저질 종류(대부분의 저질 형태), 고형률(10 % 이상), 수평 작업 정확도(± 10 cm), 제한 유속(3 ~ 5 knot) 등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성능요건은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개념설계와 기본설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저침적 HNS 회수용 기계장치의 성능요건 기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Mechanical System for Recovery of Seabed-Deposi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Performance Requirements)

  • 황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89-697
    • /
    • 2020
  • 위험유해물질(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은 해상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양이 바다에 유출될 우려가 있다. HNS 유출에 따른 해양환경의 손상은 유류 유출에 의한 손상보다도 훨씬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해저로 침강하여 침적되는 HNS는 해저생태계에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주게 되므로, 반드시 회수되어야 한다. 해저로부터 HNS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해저침적 HNS에 대한 정확한 탐지, 안정화 처리 및 회수를 위한 절차와 장비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회수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성능지표를 이용하여 성능요건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저침적 HNS의 회수 절차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회수장치에 대한 개념설계안을 제시하였다. 개념설계안으로 해저침적 HNS를 회수하기 위한 기본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자체적 밀폐 성능을 가지는 흡인 기초를 활용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기계적 회수장치는 흡인 기초, 오염 방지, 펌프 시스템, 제어 시스템, 모니터링 장비, 위치정보 장비, 이송 장비, 탱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념설계안은 기계적 회수장치의 부품 및 형상을 결정하는 기본설계에 반영되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termination of 11 Illicit Compounds in Dietary Supplemen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Shin, Dasom;Kang, Hui-Seung;Kim, Hyung-soo;Moon, Guiim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불법적으로 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부정물질 11종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정량 및 정성 분석이 가능한 HPLC-DAD와 LC-MS/MS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확립된 시험법은 AOAC 가이드라인에 따라 직선성, 정밀성, 정량한계 및 회수율 등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정량한계를 포함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모두 0.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확성은 LC (90.0-106%), LC-MS/MS (83.0-114%) 이고, 정밀도는10% 이하로 재현성이 우수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은 식품 중 부정물질 안전관리 및 모니터링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