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Index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성인의 음주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tterns of Alcohol Use in Korean Adults)

  • 정성석;정경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41-453
    • /
    • 2012
  • Purpose: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tterns of alcohol use (normal alcohol use, hazardous alcohol use, and alcohol dependence) in the Korean adult.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ross-sectional data from 230,715 Korean adults aged 19 year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2009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uncover associations between demographic, health related factors and the patterns of alcohol use. Results: The patterns of alcohol use was differentiated from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sidential area,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and with health related factors (smoking status, hours of sleep, body mass index, pain or discomfort, subjective health, stress level, liver disease, cardio/cerebro 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 Hazardous alcohol use was lower in rural areas and lower among women, but higher among people who smoke, reported severe stress, and/or depression. Similarly, alcohol dependence was lower among women and among those in rural areas, and was more likely associated with those who smoke, have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 A number of factors are associated with patterns of drinking. Smoking, severe stress and depression seems to confound the problems of alcohol us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solate those factor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the use of alcohol.

방어구조물 형상에 따른 토석류의 유입특성과 위험도 평가 (In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nd Risk Assessment for Different Shapes of Defensive Structure)

  • 오승명;송창근;이승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3-98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ccording to shape of defensive structure and computed risk index. In order to simulate debris flow, two shapes of defensive structure were considered. Initial mass distribution was set with a rectangular shape and defensive structures were set semi-circular shape and rectangular shap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a defensive structure with semicircular shape was more vulnerable to debris impact compared with rectangular shape because the flow mass became concentrated in quadrant part of the inner circle. If the velocity of the debris flow was less than 1 m/s, the risk assessment by FII (Flood Intensity Index) was much appropriate. However, when the movement of debris runout was faster than 1 m/s, the risk index of FHR (Flood Hazard Rating) provided improved classification due to its subdivided hazardous range.

유해화학물질 대기확산 예측을 위한 RAMS 기상모델의 적용 및 평가 - CARIS의 바람장 모델 검증 (Application and First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RAMS Model for the Dispersion Forecast of Hazardous Chemicals - Validation of the Operational Wind Field Generation System in CARIS)

  • 김철희;나진균;박철진;박진호;임차순;윤이;김민섭;박춘화;김용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5-610
    • /
    • 2003
  • The statistical indexes such as RMSE (Root Mean Square Error), Mean Bias error, and IOA (Index of agreement) are used to evaluate 3 Dimensional wind and temperature fields predicted by operational meteorological model RAMS (Regional Atmospheric Meteorological System) implemented in CARIS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for the dispersion forecast of hazardous chemicals in case of the chemical accidents in Korea. The operational atmospheric model, RAMS in CARIS are designed to use GDAPS, GTS, and AWS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from KMA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the generation of 3-dimensional initial meteorological fields. The predicted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ount, during 19 ∼ 23, August 2002, are extracted at the nearest grid point to the meteorological monitoring sites, and validated against the observations loca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show that Mean bias and Root Mean Square Error are 0.9 (m/s), 1.85 (m/s) for wind speed at 10 m above the ground, respectively, and 1.45 ($^{\circ}C$), 2.82 ($^{\circ}C$) for surface temp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distribution of forecasting error predicted by RAMS with respect to the altitude; relatively smaller error is found in the near-surface atmosphere for wind and temperature fields, while it grows larger as the altitude increases. Overall, some of the overpredictions in comparisons with the observations are detected for wind and temperature fields, whereas relatively small errors are found in the near-surface atmosphere. This discrepancies are partly attributed to the oversimplified spacing of soil, soil contents and initial temperature fields, suggesting some improvement could probably be gained if the sub-grid scale nature of moisture and temperature fields was taken into account. However, IOA values for the wind field (0.62) as well as temperature field (0.78) is greater than the 'good' value criteria (> 0.5) implied by other studies. The good value of IOA along with relatively small wind field error in the near surface atmosphere implies that, on the basis of current meteorological data for initial fields, RAMS has good potentials to be used as a operational meteorological model in predicting the urban or local scale 3-dimensional wind fields for the dispersion forecast in association with hazardous chemical releases in Korea.

대전.충청지역 초.중학교 급식의 당 함량 및 급식을 통한 당류의 섭취실태 연구 (Survey on the Content and Intake Pattern of Suga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service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 박유경;이은미;김창수;엄준호;변정아;선남규;이진하;허옥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45-15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전과 충남북 지역에서 지역별로 8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당 4주간의 급식을 수거하여 842개 메뉴의 당 함량을 분석하였고, 수거된 급식메뉴에 대해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의 급식섭취량을 직접 측정하여 급식을 통한 2,806건의 당 섭취량을 산출함으로써 해당학교 및 지역의 당 섭취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였다.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lactose의 함량 합으로 구한 총 당류의 함량은 가공식품에서와 달리 학교별로 임의의 조리법에 의해 조리된 음식이므로 그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주식류의 당 함량은 급식 100 g당 평균 0.20 g, 부식류는 2.08 g, 후식류는 5.13 g으로 과일음료와 유제품, 과일 등을 포함한 후식류의 당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는 소스류와 조림류의 당 함량이 높았다. 급식메뉴 중 가장 많은 양을 섭취하는 음식은 일품식류, 음료 및 차류, 탕 및 전골류, 찌개류 순이었으며, 주스나 식혜와 같은 음료는 정해진 규격이 있어 다른 부식류에 비해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부식류중에서는 국 종류를 제외하면 30~50 g 범위에서 찜류, 튀김류, 볶음류, 부침류, 조림류, 구이류 순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무침.나물류와 김치류는 각각 13 g, 10 g만을 섭취하였다. 급식메뉴 중 후식류, 특히 음료 및 차류, 유제품류섭취로 인한 당 섭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 식품은 당 함량도 높고 규격화된 중량으로 인해 섭취량도 많았기 때문이다. 일품식류는 낮은 당 함량에 비해 급식섭취량이 많아 후식류 다음으로 당 섭취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부식류에서도 조림류에 비해 당 함량이 낮은 튀김류의 급식섭취량이 많으므로 튀김류로 인한 당 섭취량이 조림류로 인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식 한 끼니를 통한 당 섭취량은 평균 4.22 g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급식섭취량과 함께 끼니당 당의 섭취량도 많아 중학생이 5.31 g, 초등학생이 4.03 g을 섭취하였으며, 성별이나 수거시기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교급식을 통한 한 끼니의 당 섭취량은 열량섭취량을 기준으로 정한 한국인 총 당류 섭취기준이나 한국인영양조사 결과의 하루 총 당류 섭취량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한 끼니 해당량으로서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과일주스, 식혜 등의 음료나 요구르트 등의 당 함량이 높은 식품이 제공되거나 이러한 후식류가 일품식류와 함께 제공되어 한 끼니당 당의 섭취량이 높은 급식일이 없도록 하는 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sessment and quantification of hurricane induced damage to houses

  • Chiu, Gregory L.F.;Wadia-Fascetti, Sara Jean
    • Wind and Structures
    • /
    • 제2권3호
    • /
    • pp.133-150
    • /
    • 1999
  • Significant costs to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due to recent extreme wind events have motivated the need for systematic post-hurricane dama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urrent post disaster data are collected by many different interested group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voluntary disaster relief agencies, representatives of media companies, academicians and companies in the private sector. Each group has an interest in a particular type of data. However, members of each group collect data using different techniques. This disparity in data is not conducive to quantifying damage data and, therefore, inhibits the statistical and spatial description of damage and comparisons of damage among different extreme wind events. The data collection does not allow comparisons of data or results of analyses within a group and also prohibits comparison of damage data and information among different groups. Typically, analyses of data from a given event lead to different conclusion depending upon the definition of damage used by individual investigators and the type of data collected making it difficult for members of group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ir analyses with a common language and basis. A formal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within any single group-would allow comparisons to be made among different individuals, hazardous events and eventually among different groups, thus facilitating the management and reduction of damage due to future disaster. This research introduces a definition of damage to single family dwellings, and a common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uited for groups interested in regional characterization of damage. The current state-of-data is presented and a method for data collection is recommended based on these existing data collection methods. A fixed-scale damage index is proposed to consider the damage to a dwelling's feature. Finally, the damage index is applied to three dwellings damaged by Hurricane Iniki (1992). The damage index reflects the reduced functionality of a structure as a single family detached dwelling and provides a means to evaluate regional damage due to a single event or to compare damage due to events of different severity. Evaluation of the damage index and the data available support recommendation for future data collection efforts.

다중판별 장치 스크리닝 기법을 이용한 가스공정의 위험성 평가 (Hazard Evaluation of Gas Processes Using a Multi-distinction Equipment Screening Algorithm)

  • 윤인섭;박정수;안성준;한경훈;윤종필;김구회;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가스공정에서 중요시되는 화재/폭발에 대한 위험성 평가 기법으로, 공정위험 지수법인 Dow's F&EI와 정성적 위험판별기법인 장치스크리닝 기법의 특성에 산업별로 위험시되는 사항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전문가 시스템-장치 및 공청의 사고사례 및 전문가의 의견 수렴된 시스템을 도입하여 위험 지수에 전문가적 reward/penalty를 주고 공정 장치의 종합위험도 지수를 계산하여 보다 정밀한 위험장치 검색을 할 수 있는 형태인 다중판별 장치스크리닝 기법(Multi-distinction Equipment Screening Algorithm, MESA)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사례연구로 LPG 지하저장공정의 위험도 순위에 대해 전문가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은 경우와 도입된 경우의 위험판단 해상도를 파악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험도 순위에 따른 장치의 물리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안전장치 및 mitigation 장치 그리고 비상대응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남해-화개지역 1차 수계 하상퇴적토의 환경유해원소 분산특성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Elements for the Stream Sediments of Primary Channels in the Namhae-Hwngye area)

  • 박영석;박대우;김종균;홍인희;임성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6호
    • /
    • pp.107-117
    • /
    • 2007
  • 남해-화개지역 하상퇴적토 환경유해원소들의 분산특성 및 환경유해성을 알아보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하상퇴적토는 오염의 우려가 없고,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채취하였다.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주성분원소 및 환경유해원소를 분석하였다. 산분해법은 1차로 $HClO_4$와 HF를 혼합하여 $200^{\circ}C$에서 분해시킨 후,2차로 $HClO_4$, HF, HCl를 혼합한 후 $200^{\circ}C$에서 분해시켜 이를 1% $HNO_3$ 용액으로 만들었다. 남해지역 환경유해원소의 함량은 Cu $5.66{\sim}168\;ppm$, Pb $18.0{\sim}40.7\;ppm$, Cr $21.6{\sim}147\;ppm$, Co $4.86{\sim}25.3\;ppm$ 범위이고, 화개지역에서는 Cu $16.4{\sim}41.2\;ppm$, Pb $26.5{\sim}37.5\;ppm$, Cr $79.6{\sim}153\;ppm$, Co $15.7{\sim}29.5\;ppm$ 범위를 보였다. 상관 분석에서는 하상퇴적토의 $SiO_2$ 함량이 높아질수록 구리(Cu)와 코발트(Co)의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지역의 E.I.는 비부화 되어 있으며, 평균값은 남해지역 0.35와 화개지역 0.56이였다. 조사대상 하상퇴적토들은 납 > 크롬 > 코발트 > 구리 순으로 부화되어 있으며, E.F.의 평균값은 $0.46{\sim}2.84$이다. E.F값은 구리와 코발트에서 거의 비슷한 부화특성을 보이나, 크롬에서는 남해지역보다 화개지역에서 보다 큰 부화특성을 보인다. 납은 연구지역 모두에서 상당히 부화되어 있었지만, 토양 및 퇴적물의 환경오염 허용 한계치(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는 환경유해원소의 오염에 특별히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 시 가연성 물질의 연기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Smoke Risk of Combustible Materials in Fire)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277-283
    • /
    • 2020
  •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의 연기 유해성평가에 대하여 연기성능지수-II (SPI-II), 연기성장지수-II (SGI-II)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삼나무, 가문비나무, 나왕, 적송을 사용하였다. 연기 특성은 시험편 목재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연기성능지수-II는 적송을 기준으로 1.31~2.15배 증가하였다. 연기성능지수-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 나왕, 삼나무, 적송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연기성장지수-II는 삼나무를 기준으로 1.18~2.55배 증가하였다. 연기성장지수-II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삼나무, 가문비나무, 나왕, 적송의 순서로 높아졌다. CO 평균농도는 59~133 ppm이었으며 이 결과는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 PEL)인 50 ppm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적송과 같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랑 함유한 목재는 연기성능지수-II가 낮고, 연기성장지수-II가 높으므로 화재로 인한 연기유해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연소독성지수와 마우스 행동정시시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oxic Gas Index and Stop Time of Mouse Activity)

  • 조남욱;이종천;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5-41
    • /
    • 2011
  • 연기독성생성물로 인한 인명피해가 주요한 화재피해로 보고되고 있다. 화재로 인한 연기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시험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KS F 2271의 가스유해성시험으로 건축마감재료의 유해성을 평가하고 있다. 현행 가스유해성시험은 발연가스를 설치류(실험용 흰 쥐)에 노출시켜 행동시간을 측정하여 연소가스 독성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고분자소재(우레탄 및 고무바닥재)를 대상으로 가스유해성시험을 수행하고 이때 발생되는 가스를 FT-IR로 정량분석하였다. 정량분석결과는 BS6853에서 규정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독성지수(R)를 산정하였다. 동물시험과 독성지수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두 시험법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독성평가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Indoor exposure to hazardous air polluta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low-income houses in Lagos, Nigeria

  • Luqmon, Azeez;Musa, Olaogun;Mariam, Adeoye;Abdulazeez, Lawal;Babatunde, Agbaogun;Ibrahim, Abdulsalami;Adija, Majolagbe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277-28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xposure to air pollutants in rooms in low-income houses at Shomolu (R1), Mafoluku (R2) and Mushin (R3) in Lagos state. The concentrations of most measured exceeded limits of Illinoi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IDPH) for indoor air quality. Air quality index (AQI) in rooms studied was unhealthy for sensitive people in terms of CO, unhealthy in terms of $SO_2$ and very unhealthy in terms of $NO_2$ while moderate air quality was obtained in terms of $PM_{10}$ in most rooms.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tetrachloride, formaldehyde and xylene measured c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some of the health complaints of the occupants. Factor analysis shows that cooking with kerosene, use of gasoline generator and insecticide were the major contributors to indoor air pollution in these rooms. Therefore, there is need to urgently tackle poverty as all affected by these pollutants were poor who live in substandard houses without kitch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