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area

검색결과 899건 처리시간 0.032초

강원도 임원지역 우백질 화강편마암에 나타난 희토류원소 테트라드 효과의 지구화학적 의의 (Geochemical Implication of Rare Earth Element Tetrad Effect from a Leucocratic Granite Gneiss in the Imweon Area, Gangwon Province, Korea)

  • 이승구;김건한;송용선;김남훈;박계헌
    • 암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7
    • /
    • 2007
  • 강원도 임원진 부근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우백질 화강편마암체 노두에서의 희토류원소 분포도가 갖는 지구화학적 의의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이 노두는 흑운모 편마암을 포획암으로 갖고 있으며, 이 흑운모 편마암과 접촉하고 있는 우백질 화강편마암은 주변에 비해 구성광물의 입자가 큰 거정질이고, 접촉변성 작용의 흔적은 관찰되지 않는다. 이 노두에서의 우백질 화강 편마암은 풍화도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Eu의 강한 부(-)의 이상과 더불어 희토류원소의 M-형의 테트라드 효과라 불리우는 특이한 희토류원소 분포도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흑운모 편마암과의 접촉부에서는 M-형의 테트라드 효과가 약화되었거나 혹은 부분적으로 W-형의 테트라드 효과가 관찰된다. 우백질 화강편마암에서의 Eu의 부의 이상은 Ca/Sr비의 변화뿐만 아니라 테트라드 효과의 존재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는 임원지역의 노두에서 관찰된 희토류원소의 테트라드 효과가 우백질 화강편마암의 분화과정상에서 형성된 것이며, 암석의 풍화가 Eu의 이상 혹은 Ce의 이상의 변화를 가져올 수는 있지만 희토류원소의 테트라드 효과를 만들거나 크기를 변화시킨 요인은 아님을 지시해준다.

우리나라 소나무 및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형상비 추정 (Estimating Tree Shape Ratio by Region fo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Korea)

  • 강진택;고치웅;임종수;이선정;문가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00-609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지역별 형상비를 고려한 임분 밀도 관리의 필요성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소나무 2,112본, 일본잎갈나무 2,030본을 벌채하여 흉고직경 및 수고, 지하고를 측정하고 지역별 형상비(수고/흉고직경)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나무의 형상비는 강원지방 소나무 72.3%, 중부지방소나무 64.0%, 소나무 평균 70.8%로 강원지방소나무가 중부지방소나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영주 78.4%, 영월 77.5%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경별로는 소경목 90.4%, 중경목 71.7%, 대경목 56.1%로 나타났다. 형상비는 밀도가 높아질수록 수간의 직경에 대한 수고의 비율(형상비)이 높아지며, 70% 이하면 안정성이 높으나 80%를 초과하면 풍해 및 폭설피해로 위험해지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임분 밀도관리가 필요하다. 일본잎갈나무의 전체 평균 형상비는 90.6%이며, 지역별로는 평창 108.5%, 영주 105.4%, 단양 100.5% 순으로 나타났다. 경급별로는 소경목 104.9%, 중경목 92.7%, 대경목 73.4%로 전체적으로 일본잎갈나무의 형상비가 80% 이상으로 풍해 및 폭설피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빠른 시일 내에 적정 임분 밀도의 관리의 시업이 요구되어 진다.

아산시 지표미생물의 분포와 Escherichia coli의 항생제 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and the Distribu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in Asan City)

  • 이근열;김근하;권문주;권혁구;김연희;이장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9-235
    • /
    • 2010
  • Efforts to evaluate water pollution using indicator microorganisms have been underway for decades, and driven by research on water purity control applications, water quality criteria are growing more and more strict. Furthermore, recent reports indicate that high concentrations of antibiotics are not absorbed, and are present in excrement from animals and humans dosed with unnecessarily high levels of antibiotics. This has emerged as very important issue from the standpoint of being an ecological and health hazard. In this study, water pollution was analyzed through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mean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indicator microorganisms was assessed. In physicochemical analysi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_{Mn}$ evaluation showed that pollution by organisms was highest at the G1 location with a high human population, and the DP location which has many livestock-containing households. The indicator organism levels at the G1 location were: Total Coliforms (1205 colony forming units (CFU)/100 ml), Fecal Coliforms (270 CFU/100 ml), Escherichia coli (253 CFU/100 ml) and Fecal Streptococci (210 CFU/100 ml), while for the DP location levels were: Total Coliforms (1480 CFU/100 ml), Fecal Coliforms (438 CFU/100 ml), E. coli (560 CFU/100 ml), and Fecal Streptococci (348 CFU/100 ml). Levels of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such as Fecal Coliforms, E. coli and Fecal Streptococci were high at all locations in the fall (the period after the rainy season), and the yearly distribution was similar between these organisms. If the number of livestock-containing households was high, almost all strains of E. coli (as distinct from the other indicator organisms) showed resistance to antibiotics, with the degree of resistance varying between areas. E. coli strains from the OY area in particular, which has a high population density, showed strong resistance to AM10 and Va30. While strong antibiotic resistance was observed overall at the DP and OY locations, no resistance was observed at the EB location.

메라피 화산재해에 대한 지역단위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Local Social Vulnerability in Facing Merapi Volcanic Hazard)

  • 이승수;;이원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485-492
    • /
    • 2014
  • 자연재해에 있어서 취약성 분석계획의 우선순위 설정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재해 위험분석의 주요한 요소이다. 화산폭발은 화산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많은 사상자와 재산피해를 야기한다. 화산폭발을 막을 수 없지만, 위험도와 취약성은 미래의 위기를 예측하는 신중한 계획과 준비작업을 통해 저감될 수 있다. 사회적 불평등으로서 사회적 취약성은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재해에 대응 능력에 민감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에 위치한 메라피 화산 인근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회적 취약성 지수(SoVI) 기법을 활용하였다. SoVI는 사회적 위험부담을 이해하고 정량화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복원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및 인구 통계학적 요인을 이용하여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취약성은 이해 관계자와 지역주민과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취약성 지수는 사회적 취약성의 분포와 원인에 대한 정보를 반영함을 확인하였다.

완전 구강 회복술 (Full Mouth Rehabilitation)

  • 이승규;이성복;권긍록;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3호
    • /
    • pp.171-185
    • /
    • 2000
  • The treatment objectives of the complete oral rehabilitation are : (1) comfortably functioning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stomatognathic musculature, (2) adherence to the basic principle of occlusion advocated by Schuyler, (3) anterior guida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elope of function, (4) restorations that will not violate the patient's neutral zone. There may be many roads to achieving these objectives, but they all convey varing degrees of stress and strain on the dentist and patient. There are no "easy" cases of oral rehabilitation. Time must be taken to think, time must be taken to plan, and time must be taken to perform, since time is the critical element in both success and failure. Moreover, a systematized and integrated approach will lead to a prognosis that is favorable and predictable. This approach facilitates development of optimum oral function, comfort, and esthetics, resulting in a satisfied patient. Such a systematized approach consists of four logical phase : (1) patient evaluation, (2) comprehensive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3) integrated and systematic reconstruction, and (4) postoperative maintenance. Firstly, we must evaluate the mandibular position. The results of a repetitive, unstrained, nondeflective, nonmanipulated mandibular closure into complete maxillomandibular intercuspation is not so much a "centric" occlusion as it is a stable occlusion. Accordingly, we ought to concern ourselves less with mandibular centricity and more with mandibular stability, which actually is the relationship we are trying to establish. The key to this stability is intercuspal precision. Once neuromuscular passivity has been achieved during an appropriate period of occlusal adjustment and provisionalization, subsequent intercuspal precision becomes the controlling factors in maintaining a stable mandibular position. Secondly, we must evaluate the plann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relationship to what may now be an altered(generally diminished), and avoid the hazard of using such an abnormal position to indicate ultimate occlusal contacting points. There are no hard and fast rules to follow, no formulas, and no precise ratios between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Like centric relation, it is an area, not a point.

  • PDF

박테리아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독성평가 및 탐지 (Toxic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Nanoparticles Using Bacteria)

  • 황이택;이정일;상병인;구만복
    • KSBB Journal
    • /
    • 제22권6호
    • /
    • pp.414-420
    • /
    • 2007
  • 지금까지 우리는 몇 가지 나노입자에 대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독성평가 및 탐지 연구 사례를 보았다. 이들은 주로 세포의 생장과 관련하여, 그 평가가 이루어졌고, silver nanoparticles과 같이 그 메커니즘을 밟히기 위해 좀 더 진행이 된 것 또한 있었다. 그러나 아직 그 연구 수준은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위에서 살펴 본 대부분의 나노입자의 경우 산화적 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것은 나노입자로부터 발생할 이온들에 의해 혹은 나노입자가 박테리아와 작용하여 세포막표면에 직접 달라붙는 현상들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나노입자의 독성 경로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밝혀내지 못한 이러한 독성 경로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나노물질의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이미 많은 항균성 나노물질이 생산되어 이용되었지만 앞으로 새롭게 합성될 숫자는 우리가 예상할 수 없을 만큼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들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될 것이고, 그들의 독성에 대해서 걱정할 것이다. 우리는 이들 나노물질에 대해서 단순한 세포 생장 연구를 벗어나, 그 독성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 또한 동시에 진행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동물이나 사람세포의 독성경로 파악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나노물질의 이용으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퍼지집합연산을 통한 다중 지질학적 선구조 관련자료의 공간통합 (Spatial Integration of Multiple Data Sets regarding Geological Lineaments using Fuzzy Set Operation)

  • 이기원;지광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9-60
    • /
    • 1995
  • 지질학적 선구조선에 관한 특성은 일반적인 지질작용, 광물탐사 또는 자연재해 예측과 관련된 자료의 해석 및 분석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질조사에 의하여 드러난 선 구조와 위성자료로 부터 정량적으로 판독된 선구조정보는 이들 자료 각각의 고유한 유용성을 가 지고 있으면서도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실질적인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선구조와 연관된 위성영상자료의 효과적인 지질학적 활용으로서의 자료통합문제를 해결하고자 퍼 지집합연산방법을 실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제 응용으로서, 호명지질도 (1:50,000)가 포함하는 지역과 같은 지역의 Landset TM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 통합과정에서는 지질도상에 있는 선구조선, 위성자료로 부터 도출한 선구조선 및 자유 배수 양상과 같은 자료는 시험적으로 이용하였다. 자료 통합단계에서는 각각의 자료에 있는 영상요소에 대하여 백분위수계 념을 응용한 퍼지소속함수를 정의한 뒤, 퍼지 산술합연산과정을 실시되었다. 비록 현재까지의 결 과로 본 방법의 유용성에 관한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본 사례연구지역의 경우에는 통합된 정보에서 다른 분석방법과는 구별되는 비교적 의미있는 새로운 선구조관련 지질 정보가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통합방법은 앞으로 본다 많은 기초 및 관 련 연구를 통하여 결정판단 보조자료를 얻기 위한 효과적인 공간사고방법으로 간주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암반사면 위험블록 모니터링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Application of Terrestrial LiDAR to Monitor Unstable Blocks in Rock Slope)

  • 송영석;이춘오;오현주;박준효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251-2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 위치한 암반사면의 낙석 위험블록을 대상으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변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지점은 기존에 낙석이 발생되었거나 낙석발생이 예상되는 귀면암 인근 및 오련폭포 인근 암반사면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점의 암반사면 위험블록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약 7개월 동안 5차례 촬영을 진행하였다. 지상 LiDAR 촬영 결과 토대로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폐색영역의 보간을 통해 발생한 오차와 식생 활력도의 차이에 의한 오차가 분석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외부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촬영지점을 대상으로 변위량을 탐지하여야 한다. 대상구간 암반사면 위험블록에서 지상 LiDAR 촬영 및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변위량이 매우 작게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오차범위 아래의 변위량을 보이므로 실제 변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한편,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암반사면 위험블록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식생이 없는 구간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식생이 존재하는 구간의 PountCloud 제거 및 Mesh Model 분석은 데이터 신뢰성 확보에 가장 중요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지역간 상대위험도 변동을 고려한 미세먼지 기인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 (Health and Economic Burden Attributable to Particulate Matter in South Korea: Considering Spatial Variation in Relative Risk)

  • 변가람;최용수;길준수;차준일;이미혜;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86-495
    • /
    • 2021
  •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PM)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premature death worldwide. Previous studies in South Korea have applied a relative risk calculated from Western populations when estimating the disease burden attributable to PM. However, the relative risk of PM on health outcomes may not be the same across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remature deaths and socioeconomic costs attributable to long-term exposure to PM in South Korea. We considered not only the difference in PM concentration between regions, but also the difference in relative risk. Methods: National monitoring data of PM concentrations was obtained, and missing values were imputed using the AERMO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model. As a surrogate for relative risk, hazard ratios (HRs) of PM for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mortality were estima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The nation was divided into five areas (metropolitan, central, southern, south-eastern, and Gangwon-do Province regions). The number of PM attributable deaths in 2018 was calculated at the district level. The socioeconomic cost was deriv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deaths and the statistical value of life. Results: The average PM10 concentration for 2014~2018 was 45.2 ㎍/m3. The association between long-term exposure to PM10 and mortality was heterogeneous between areas. When applying area-specific HRs, 23,811 premature deaths from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 in 2018 were attributable to PM10 (reference level 20 ㎍/m3). The corresponding socioeconomic cost was about 31 trillion won. These estimated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when applying nationwide HRs.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estimate the premature mortality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PM using relative risks derived from the national population. This study will help precisely identify the national and regional health burden attributed to PM and establish the priorities of air quality policy.

Cohort profile: National Investigation of Birth Cohort in Korea study 2008 (NICKs-2008)

  • Kim, Ju Hee;Lee, Jung Eun;Shim, So Min;Ha, Eun Kyo;Yon, Dong Keon;Kim, Ok Hyang;Baek, Ji Hyeon;Koh, Hyun Yong;Chae, Kyu Young;Lee, Seung Won;Han, Man 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9호
    • /
    • pp.480-488
    • /
    • 2021
  • Background: An adequate large-scale pediatric cohort based on nationwide administrative data is lacking in Korea.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National Investigation of Birth Cohort in Korea study 2008 (NICKs-2008) based on data from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health screening program and data on healthcare utilization for children. Methods: The NICKs-2008 study consisted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NHIS) and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NHSPIC) databases comprising children born in 2008 (n=469,248) and 2009 (n=448,459)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NHIS database contains data on age, sex, residential area, income, healthcare util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 codes, procedure codes, and drug classification code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 NHSPIC consists of 7 screening rounds. These screening sessions comprised physical examination, developmental screening (rounds 2-7), 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and age-specific anticipatory guidance. Results: During the 10-year follow-up, 2,718 children (0.3%) died, including more boys than girls (hazard ratio, 1.145; P<0.001). A total of 848,048 children participated in at least 1 of the 7 rounds of the NHSPIC, while 96,046 participated in all 7 screening programs. A total of 823 infants (0.1%) weighed less than 1,000 g, 3,177 (0.4%) weighed 1,000-1,499 g, 37,166 (4.4%) weighed 1,500-2,499 g, 773,081 (91.4%) weighed 2,500-4,000 g, and 32,016 (5.1%) weighed over 4,000 g. There were 23,404 premature babies (5.5%) in 2008 compared to 23,368 (5.6%) in 2009.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dicated appropriate development in 95%-98% of children, follow-up requirements for 1%-4% of childre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evaluation for 1% of children. Conclusion: The NICKs-2008, which integrates data from the NHIS and NHSPIC databases, can be used to analyze disease onset prior to hospitalizatio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lifestyle, eating habits, and risk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