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 Factors

검색결과 1,022건 처리시간 0.027초

최근 4년간 국내 사면재해 현장조사를 통한 유발인자 분석 (Analysis of Slope Hazard Triggering Factor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n Korea Over the Past Four Years)

  • 전경재;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47-5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서 2014년까지 최근 4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사면재해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재해발생지의 지질 및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사면재해 현황 및 유발강우와 지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성암 지역에서 가장 많은 사면재해가 발생하였으며, 사면재해 중에서는 토석류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강우량이 높을 때 사면재해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사면재해는 최대시간강우량이 내린 이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사면재해 발생횟수는 1개월 이상의 장기강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방공무원 건강장해 유해인자에 대한 실증연구 -화재진압대원, 구조대원, 구급대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Firefighters' Health Hazard Factors -Focused on Fire Fighters, Rescue Worker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ception in Busan Fire Fighters-)

  • 권설아;이민규;박상호;김다영;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0-529
    • /
    • 2019
  • 이 연구는 부산시 소방공무원들의 건강장애 유해인자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건강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선, 화재진압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아무래도 화재현장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위험성을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음으로 화재 진압시에 추락위험을 높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구조대원의 유해인자에서는 구조대원이 화재 현장이나 각종 사고현장에서 요구조자를 구조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현장 유해화학물질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또한 구조현장에서의 추락위험을 두 번째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업무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구급대원의 유해인자를 보면, 구급대원의 교대근무의 위험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교대근무가 건강에 유해하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환자이송 과부하가 큰 유해요소로 꼽았다는 것은 그만큼 구급업무의 특성상 많은 이송환자들이 많아짐으로 인해서 각종 2차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구급현장 이송 중에는 빠르게 구급차량을 이동시켜야하기 때문에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도 유해요소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 유해인자 인식 비교에서는 구조대원이 가장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업무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구조대원의 경우가 화재 등 각종 위험현장과 가장 근접하게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상물질의 유해성 분류기준 적용 연구 (Study on applying to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of Chemicals subject to Material Safety Data Sheets)

  • 이혜진;이나루;이인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0-291
    • /
    • 2020
  • Objectives: Hazard classification i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new MSDS system in which chemical companies have to prepare and submit MSDS for chemicals that they manufacture or import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according to the amend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apply and manage harmonized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results by investigating current hazard classification systems and trends. Methods: The domestic issues about different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results were investiga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business outcomes regarding KOSHA. We also checked official and unofficial reports from the UN to understand international discussion about the topic. Chemical hazard classification results from agencies providing chemical information were analyzed to compare a harmonized rate between classifications. Furthermore, a field survey of a few chemical companies was conducted. Results: Under the related competent authorities, an integrated standard proposal was developed to harmonize the domestic hazard classification criteria. Although harmonized chemical information is strongly needed, we recognized the uncertainty and difficulty of harmonized hazard classification from the UN global list project review. In practice the harmonization rate of the classification was generally low between the classification in KOSHA, MoE, and EU CLP. Among hazard classes, health hazards largely led the disharmony. The field survey revealed a change of perception that the main body of chemical information production is manufacturers. Approaches and solutions about hazard classification issues differed depending on business size, types of chemical handling, and other factors. Conclusions: We proposed reasonable ways by time and step to apply hazard classification in the new MSDS system. Chemical manufacturers should make and offer chemical information including responsible hazard classifications. The government should primarily accept these classifications, evaluate them by priority, and support or supervise workplaces in order to communicate reliable chemical information.

암반 지반의 재해도 스펙트럼에 기반한 토사지반 원전 부지의 등재해도 스펙트럼 평가 기법 (Uniform Hazard Spectrum Evaluation Method for Nuclear Power Plants on Soil Sites based on the Hazard Spectra of Bedrock Sites)

  • 함대기;서정문;최인길;이현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5-42
    • /
    • 2012
  • 암반지반에 주어진 등재해도 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원전부지 토사지반에서의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도출하기 위한 확률론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진 운동 및 지반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지반응답 해석을 통해 토사지반 지표에서의 지진동 증폭계수를 산정하였다. 증폭계수는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지반운동의 스펙트럴 가속도 규모와의 회귀분석을 통해 계산되었다.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국내 KNGR (Korean Next Generation Reactor) 및 APR1400 (Advanced Power Reactor 1400) 원전의 포괄부지 지반 중 B1, B4, C1 및 C3 지반을 대상으로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도출하였다.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통해 지진동 발생 빈도 별 위험 주파수 대역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원전의 종합적 지진리스크 평가 결과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종류의 토사지반에 대한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평가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상호운영성 연구 (Investigation of Radio Communications-based Train Control System with Interoperability)

  • 최준영;박재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5-42
    • /
    • 2014
  • 연구는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상호운영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차제어와 관련된 위험원 분석, 열차제어시스템의 기능요구사항 설정 및 차상과 지상ATP(Automatic Train Protection)장치의 기능배치를 포함하고 있다. 개방형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하고, 지상과 차상에서 수행되는 열차제어시스템의 기능배치를 표준화화여 상호운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철도망의 통합운영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상호운영성을 지원하는 열차제어시스템의 기능을 지상과 차상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위험원 분석과 시스템 요구사항 정의를 필요로 한다. 열차제어시스템의 위험원으로 열차안전간격제어와 열차제한속도초과를 설정하여 위험원 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험원 요인이 열차제어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열차제어시스템의 하부장치의 기능요구사항과 ATP의 지상기능과 차상기능 배치를 정의하였다.

환경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도 작성: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Landslide Hazard Map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Case on the Gyeongsangbuk-do Province)

  • 배민기;정규원;박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189-119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develop tailored landslide hazard assessment table (LHAT)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propose building strategie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o estimate landslide hazard area according to LHA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factors occurring landslide at 172 landslide occurred sites in 23 city and count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analyzed what factors effected landslide occurrence quantity using the multiple statistics of quantification method(I). The results of analysis, factors affecting landslide occurrence quantity were shown in order of slope position, slope length, bedrock, aspect, forest age, slope form and slope. And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LHAT for predict mapping of landslide-susceptible are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otal score range was divided that 107 under is stable area(IV class), 107~176 is area with little susceptibility to landslide(III class), 177~246 is area with moderate susceptibility to landslide(II class), above 247 area with severe susceptibility to landslide(I class). According to LHAT, this research built landslide attribute database and made 7 digital theme maps at mountainous area located in Goryeong Gun, Seongju-Gun, and Kimcheon-City. The results of prediction on degree of landslide hazard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rea with little susceptibility to landslide(III class) occupied 65.56% and severe susceptibility to landslide(I class) occupied 0.51%.

위험도평가에 의한 고속도로 교량의 점검주기 (Highway Bridge Inspection Period Based on Risk Assessment)

  • 이일근;김동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4-72
    • /
    • 2015
  • 고속도로교량을 위한 위험도기반점검주기를 제안하였다. 고속도로 교량유지관리시스템에서 얻은 상태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상태 열화에 영향을 주는 위해성인자를 찾았다. 그러한 인자와 상태열화사이의 특정한 상관성을 찾았다. 이들을 이용하여 위해성점수를 평가하는데 이용하였다. 여러 가지 위해성 인자들을 종합하여 최종 위해성을 높음, 보통, 낮음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취약성은 교량의 현재상태로 평가하였다. 위험도행렬을 점검주기를 위해 제안하였다. C, D, E등급 교량의 점검주기는 현행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보통과 높음으로 위해성이 평가된 A 및 B 등급교량은 점검주기를 최대 6년까지 연장하였고 최소주기는 현행과 같이 3년으로 하였다. 위험도 평가에 따라 점검주기를 보정하므로써 평균 점검인력을 27% 절약할 수 있었다.

HAZOP을 이용한 공정위험성 평가 (A Process Hazard Analysis using HAZOP)

  • 이동형;배기웅;남소영;남경돈;이준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3-200
    • /
    • 2000
  • Hazard and operability Review(HAZOP) is widely used as a process safety analysis which systematically identifies potential process deviations and settles the problems.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a process hazard analysis using HAZOP in K chemical plant. As a result, we showed that the plant could be operated more safely and be saved a lot of money by eliminating several existing hazardous factors through the change of processes and designs.

  • PDF

HAZOP에 의한 K화학공장의 공정위험성 평가 (A Process Hazard Analysis using HAZOP in K Chemical Plant)

  • 이동형;배기웅;남소영;남경돈;이준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9-139
    • /
    • 2000
  • Hazard and operability Review(HAZOP) is widely used as a process safety analysis which systematically identifies potential process deviations and settles the problems.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a process hazard analysis using HAZOP in K chemical plant. As a result, we showed that the plant could be operated more saftly and be saved a lot of money by eliminating several existing hazardous factors through the change of processes and designs.

  • PDF

전철 고상홈 전기통전 위험요인 분석 및 대책 연구 (A study on the Hazard analysis and Improving methods for an Electrical shock on the Platform)

  • 왕종배;조연옥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8-262
    • /
    • 2004
  • In this paper, the hazard factors on voltage rising effect between the rail and the earth were reviewed in subway system of AC traction line according to moving condition and location of the train. Site measuring of voltage rising between conductor part of train and station floor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risk level on the passenger. Plans for preventing hazard of rail-voltage rising and electrical shock on the passengers at platform we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