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슬러지 소각시설 악취 및 환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dor and Ventilation in Sludge Incineration Facilities)

  • 서병석;전용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3
    • /
    • 2020
  • Sludge incineration facilities are socially recognized as a hate facility. Therefore, a careful deodorization plan must be established. Therefore, the incineration facility must conduct research on odor ventilation. In this study, a odor diffusion simulation in an incineration facility was conduct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research was carried out on carry-in rooms, pre-treatment rooms, and storage facilities for crops, which are expected to rapidly spread odor. As a result, ammonia 1.62, hydrogen sulfide 0.63, and acetaldehyde 0.73 were found in the transfer room. In addition, pretreatment rooms and stencil storag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regulatory standards.

A Study on Cognition about Personal Broadcasting

  • Lee, Yong-W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27-34
    • /
    • 2018
  • Personal media centered on blogs, Twitter, and Facebook has opened up a personal broadcasting area while meet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and Africa TV. Due to the man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personal broadcasting, a study on it was necessary and statistical survey was conducted. The study conducted opinion survey of 118 university students on personal broadcasting. As a result, we are getting news using smartphones and mainly watching videos through YouTube, and watching videos type in the order of games, music videos and sports. Satisfaction rate of video was 72.4%, 80.2% of survey did not use paid services, experiences about personal broadcasting was 96.6% and 90.5% of survey the prospect of person broadcasting of the opinion that "it will be expanded". The first thing we want to be improved in personal broadcasting is the prevention of abusive language and hate speech. Second, we were reluctant to sensational content. Third, the survey results are the improvement of excessive advertising.

An Online Opinion Analysis on Refugee Acceptance Using Topic Modeling

  • Choi, Sook;Jang, Si Yeon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7권3호
    • /
    • pp.169-198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rease in refugee-related discourse in Korean society with the recent inflow of asylum seekers to Jeju Island.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rends in public opinion concerning the acceptance of refugees by analyzing the content of refugee-related video commentary on YouTube.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ain points, context, and ideas in the com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dia mainly focus on the pros and cons of refugees, restricting the refugee issue to the problem of acceptance with a narrow focus on the case of Jeju Island. Refugee acceptance was treated as overwhelmingly unacceptable in the comments. We found that commenters often used negative discourse in the comments as a device for reproducing and amplifying hate speech.

We Love or Hate When Celebrities Speak Up about Climate Change: Receptivity to Celebrity Involvement in Environmental Campaigns

  • Park, Sejun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175-188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public receptivity to celebrity's climate change advocacy on YouTube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YouTube video generated a number of viewers' responses. Celebrity endorsement not only leaded public voices on climate change issue, but also their opinions on the celebrity endorser. This study found that most of viewers were polarized in their judgment and attitude toward the celebrity advocate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This study offers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the perceived star power and the role of celebrities as spokespersons for social cau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ole of celebrity advocacy using social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methodological insights into how to detect public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elebrity endorsement of social causes by analyzing public comments.

Crossing the "Great Fire Wall": A Study with Grounded Theory Examining How China Uses Twitter as a New Battlefield for Public Diplomacy

  • Guo, Jing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1권2호
    • /
    • pp.49-74
    • /
    • 2021
  • In this paper, I applied grounded theory in exploring how Twitter became the battlefield for China's public diplomacy campaign. China's new move to global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has been a controversial strategy in public diplomacy. This study analyzes Chinese Foreign Spokesperson Zhao Lijian's Twitter posts and comments. It models China's recent diplomatic move to Twitter as a "war of words" model, with features including "leadership," "polarization," and "aggression," while exerting possible effects as "resistance," "hatred," and "sarcasm" to the global community. Our findings show that by failing to gage public opinion and promote the country's positive image, China's current digital diplomacy strategy reflected by Zhao Lijian's tweets has instead constructed a polarized political public sphere, contradictory to the country's promoted "shared human destiny." The "war of words" model extends our understanding of China's new digital diplomacy move as a hybrid of state propaganda and self-performance. Such a strategy could spread hate speech and accelerate political polarization in cyberspace, despite improvements to China's homogenous network building on Twitter.

방사선 스펙트럼 계측기 (Multi-Channel Analyzer)의 Live-Time 보상회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ctronic Circuit for Liwe-Time Correction in Multi-Channel Analyzer : Survey and Analysis)

  • 황인구;권기춘;송순자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5호
    • /
    • pp.784-791
    • /
    • 1995
  • 방사선계측에서는 방사선검출기(detector)로부터 나오는 pulse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pulse의 counting 손실이 발생한다. 이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보상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아직도 절대적인 해답이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제시된 보상알고리즘들을 그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회로와 함께 기술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pulse의 counting손실을 보상하는 한가지 알고리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어 혐오 표현 코퍼스 구축 방법론 연구: 온라인 악성 댓글에 나타나는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Hate Speech Corpus: Based on the Attributes of Online Toxic Comments)

  • 조원익;문지형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98-303
    • /
    • 2020
  • 온라인 공간에서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혐오 표현은 당사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미칠 뿐 아니라 이를 보는 이에게도 간접적인 불쾌함을 유발한다. 이에 관한 문제의식은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된 바 있지만, 아직 한국어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혐오 표현 자체의 논의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관찰되는 혐오 표현들의 자동 탐지 및 예방에는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우리는 실제 온라인 댓글들을 탐구하여 혐오, 모욕 및 사회적 편견을 탐지할 수 있는 모델 학습에 필요한 코퍼스 구축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를 동반한 가이드라인과 크라우드소싱을 바탕으로 약 9천 3백 문장 가량의 코퍼스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데이터에 관한 개요와 함께 우리의 접근 방식이 어떤 점에서 기존의 담론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 PDF

한국어 오픈 도메인 대화 모델의 CTRL을 활용한 혐오 표현 생성 완화 (Mitigating Hate Speech in Korean Open-domain Chatbot using CTRL)

  • 좌승연;차영록;한문수;신동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65-370
    • /
    • 2021
  • 대형 코퍼스로 학습한 언어 모델은 코퍼스 안의 사회적 편견이나 혐오 표현까지 학습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오픈 도메인 대화 모델에서 혐오 표현 생성을 완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Seq2seq 구조인 BART [1]를 기반으로 하여 컨트롤 코드을 추가해 혐오 표현 생성 조절을 수행하였다. 컨트롤 코드를 사용하지 않은 기준 모델(Baseline)과 비교한 결과, 컨트롤 코드를 추가해 학습한 모델에서 혐오 표현 생성이 완화되었고 대화 품질에도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PDF

KoELECTRA를 활용한 챗봇 데이터의 혐오 표현 탐지 (Hate Speech Detection in Chatbot Data Using KoELECTRA)

  • 신민기;진효진;송현호;최정회;임현승;차미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18-523
    • /
    • 2021
  • 챗봇과 같은 대화형 에이전트 사용이 증가하면서 채팅에서의 혐오 표현 사용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혐오 표현을 자동으로 탐지하려는 노력은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으나, 챗봇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혐오 표현 탐지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혐오 표현을 포함한 챗봇-사용자 대화 데이터 35만 개에 한국어 말뭉치로 학습된 KoELETRA 기반 혐오 탐지 모델을 적용하여, 챗봇-사람 데이터셋에서의 혐오 표현 탐지의 성능과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KoELECTRA 혐오 표현 분류 모델은 챗봇 데이터셋에 대해 가중 평균 F1-score 0.66의 성능을 보였으며, 오탈자에 대한 취약성, 맥락 미반영으로 인한 편향 강화, 가용한 데이터의 정확도 문제가 주요한 한계로 포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에 기반해 성능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적정성 조건을 활용한 생성 AI의 혐오 화행 이해 평가 (Evaluation of Generative AI's Understading of Hate Speech Using Appropriateness Conditions)

  • 강조은 ;김유진;김한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5-100
    • /
    • 2023
  •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혐오 표현의 정확한 탐지를 위해서는 혐오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론에서 사용되는 적정성 조건이라는 분석 틀을 활용하여 모델이 '혐오하기' 화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했다. 혐오 화행의 적정성 조건을 명제 내용 조건, 예비 조건, 성실성 조건, 본질 조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를 진위형, 연결형, 단답형, 논술형 문항으로 구성했다. 그 결과 모든 문항 유형에서 50점이 넘는 점수를 받았으나 비교적 고차원인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단답형과 논술형 문항 유형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