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Time

검색결과 1,004건 처리시간 0.031초

헤어리베치 수확 시기에 따른 종자 수량, 발아율 및 경실종자 비율 변화 양상 (Change of Seed Yield, Germination Rate and Hard Seed Rate with Harvest Time in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 구자환;김민태;손범영;이진석;김정태;황종진;백성범;문중경;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7-164
    • /
    • 2012
  • 본 시험은 친환경농업 및 조사료 용도로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국내 헤어리베치 종자 채종 시 개화 후 경과 일시에 따른 채종 수량 추이를 조사하여 안전 다수확 채종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헤어리베치 품종 '청풍보라'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2009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11일), 42일 (6월 18일), 48일 (6월 24일), 54일 (6월 30일), 58일 (7월 4일) 등 5회, 2010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21일), 42일 (6월 28일), 48일(7월 4일), 54일 (7월 10일), 58일 (7월 14일) 등 5회, 그리고 2011년에는 개화 후 39일 (6월 21일), 49일 (7월 1일), 53일 (7월 5일) 등 3회 수확하여 종자 수량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 수량은 개화 후 경과 일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개화 후 42일 (2010년도), 49일 (2011년도), 54일 (2009년도)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 도복으로 인한 꼬투리 소실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1,000립 중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장마기 이후에 수확 된 종자는 수발아 종자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헤어리베치 종자 안전 다수확을 위한 수확 시기는 개화 후 42일에서 54일 사이에 장마 전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맥간후작 대두의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Time and Planting Density on the its Component of Soybean Intercropped with Barley or Aftercropped)

  • 차영훈;이주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50
    • /
    • 1979
  • 본 시험은 맥후작으로 재배하는 경우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실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성숙기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재식밀도에 따르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으며 개화일수 및 결실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단축되었다. 2. 경장과 평균절간장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밀식에서 증가하였다. 3. 분지수, 맥수, 입수 등은 개체별로 소식에서 증가하였다. 4. 수량구성요소인 분지수는 경태, 절수, 근수, 건물중과 협수는 분지수, 절수, 건물중, 엽면적과 정의 상관을 타나내었다. 5. 콩의 수량은 간작의 경우 휴폭 60cm에 주간 20cm가, 후작인 경우에는 휴폭 40cm에 주간 20cm에서 수량이 높았다.

  • PDF

감자바이러스 Y 복제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버어리종 연초의 PVY에 대한 저항성 특성 (Resistance to Potato Virus Y Conferred by PVY Replicase Gene Sequence in Transgenic Burley Tobacco)

  • Young Ho Kim;Eun Kyung Park;Soon Yong Chae;Sang Seock Kim;Kyung-Hee Paek;Hye Sun Cho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6
    • /
    • 1998
  • The complementary DNA (cDNA) of potato virus Y- vein necrosis strain (PVY-VN) replicase gene (Nlb) was transformed into tobacco (Nicotiana tabacum cv. Burley 21) plants. Out of 25 putative transformants regenerated, 3 were resistant to PVY-VN, one highly resistant plant with no symptom until seed harvest time and the other two with mild chlorotic spot symptoms at late stages after infection. No symptom was observed in the highly resistant plant, while mild vein necrotic symptoms were developed on suckers of the moderately resistant plants after seed harvest time, In the first generation (T1) via self fertilization, resistance to susceptibility frequency in transgenic plants from the highly resistant transformant was about 3 : 1, while it was lowered much (about 1:2 and 1:19) in T1 of the moderately resistant transformants. In the second generation (T2) of the highly resistant plant, resistance frequencies were similar to T1, but resistance levels varied greatly and appeared to be decreased. Key words : potato virus Y, viral replicate gene, transgenic tobacco plants, resistance.

  • PDF

식용 들깻잎 수확 자동화 시스템의 그리퍼 및 절단 컷터 개발 (Development of a Gripper and a Cutter for the Automatic Harvest of Green Perilla Leaves)

  • 송영호;장동일;방승훈;조한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497-504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rvesting gripper for perilla leaves and test its performance, which was a partial work of the automated perilla leaves harvesting syste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The shear forces for harvesting the perilla were measured. Th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hear force required was 12.13N for cutting the petioles attached to the perilla stalks, and the maximum of 17.42N. The inner diameter of air cylinder used was 6mm and the air pressure was maintained as 0.7㎫ during the tests. The time required for cutting perilla leaves could be adjusted by the control program and cutting operation could be done within 1- 10 seconds. The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to harvest the perilla leaves by the gripper developed. The average success rates of cutting were 72.2% for the first test, 78.5% for the second, and 74.2% for the last. The perilla leaves were not damaged by the gripper The whole system operation could be finished within three seconds except the delay time for dropping harvested leaves.

재배조건 및 채굴시기가 연포장재 필름으로 개별포장한 수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ltivation Condition and Harvest Tim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Fresh Ginseng Individually Packaged in a Soft Film)

  • 손현주;김은희;성현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94-100
    • /
    • 2001
  • The influence of cultivation condition and harvest time on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fresh ginseng (50g) individually packaged in a soft film bag (ONY/LDPE/L-LDPE; 200$\times$300 mm, 90㎛) was investigated. When the fresh ginseng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direct-planted ginseng on the paddy soil(PD), transplanted ginseng on the upland(UT) and each group was stored at 25$\^{C}$ for 40 days,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PD group while PT, UD and UT groups exhibited similar quality patterns from each other. When each group was stored at 10$\^{C}$,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also the highest in PD group and the other three groups exhibited similar quality patterns from each other till 90 days passed after storage. However,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of UT group was 54% which was higher than UD group or PT group 180 days after storage. When the fresh ginseng harvested between September of 1997 and October of 1998 was individually packaged with the soft film and stored at 25$\^{C}$ for 12 days, the quality deterioration rate was the lowest in the group harvested in October while relatively high in the groups harvest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 PDF

탐라오갈피의 수확시기에 따른 Eleutherosides 함량의 변화 (Changes in Eleutherosides Contents of Acanthopanax koreanum by Harvest Time)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2-365
    • /
    • 2000
  • 탐라오갈피 나무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eleutheroside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9월에 수확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부위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줄기에서 549.2 ppm으로 가장 높았고, 뿌리 및 잎에서는 각각 483.2 ppm, 255.9 ppm으로 잎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leutheroside E도 줄기에서 653.1 ppm으로 뿌리보다 높았으며, 잎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잎에는 eleutheroside E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나무의 수령이 많아질수록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함량이 모두 많아졌으며, eleutheroside B 함량은 5년생이 567.3 ppm으로 1년생보다 약 1.6배 많았다.

  • PDF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귀리의 수분함량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Effect of Pre-wilting Time on the Change of Moisture Content and Its Silage Quality at Different Harvest Stages of Whole Crop Oat)

  • 송태화;한옥규;윤성근;박태일;김경훈;김기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5-142
    • /
    • 2010
  • 이 연구는 고품질 귀리 사일리지의 제조를 위한 수확시기별 적정 예건시간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국내 육성품종인 삼한귀리를 가을에 파종하고 이듬해 봄인 출수 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수확하여 각 수확시기별로 0, 4, 8, 32시간동안 예건을 실시하였으며, 각 예건시간별 식물체의 수분변화와 사일리지 제조 후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귀리는 출수 후 2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고, 출수 후 30일 정도에 수확할 경우에는 사일리지 제조에 적합한 수분함량에 도달하여 예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도 수분함량이 약 55~65% 정도가 도달한 시기에 수확한 처리구나 그 수준에 도달하도록 예건한 처리구에서 전체적인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일리지 품질 평가기준의 중요한 요인인 pH와 유기산은 수분변화에 따라 아주 큰 변이를 보였는데 55~65%의 수분조건에서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초산과 낙산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귀리는 출수 후 20일 경에 수확 시에는 4시간 정도 포장예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후에는 바로 수확하여 곤포로 제조하여도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식시기에 따른 고랭지 양배추의 수확 및 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 during Harvest Time and Storage of Various Cabbages Grown on High Land by Different Transplanting Times)

  • 엄향란;이영훈;홍세진;신일섭;용영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1
    • /
    • 2012
  • 본 연구는 해발 75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된 양배추의 정식시기 및 수확 시 기상환경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확 후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수확 된 양배추의 품종 별 구중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늦으면 구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상품성이 낮았다. 반면 8월 23일(3차)에 수확된 양배추 품종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8월 3일(1차)과 8월 13일(2차)에 비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좋아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전후의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아 수확 전 3일 이상 강우가 없을 때 수확하는 것이 높게 유지하였고, 경도는 늦은 정식시기가 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의 색도는 수확기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시품종 중 수확 시 품질은 'Speed king'과 'Minix 40'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배추 저장은 8월 3일(1차), 8월 23일(3차), 그리고 9월 10일(4차)에 수확된 양배추를 상온($25^{\circ}C$, 60% RH)과 저온($3^{\circ}C$, 85% RH)에 각각 저장하여, 수확시기와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상온 및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양배추의 생리장해는 수침, 시들음, 냉해가 저장기간 4일경부터 발생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양배추 6개 품종의 저장기간은 수확 시 기상환경에 따라 상온저장의 경우 3~5일, 저온저장의 경우 9~10일 정도 가능하였다. 특히 8월 3일(1차)에 수확한 양배추는 수확일 전후의 열악한 기상환경으로 실온 및 저온 저장기간이 가장 짧아 실온 2일 그리고 저온은 4일의 저장기간을 보였다.

일시수확 엽채류에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특성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boscalid and fluidioxonil at the same time harvest leafy-vegetables)

  • 배병진;이해근;손경애;임건재;김진배;김태화;채석;박종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8
    • /
    • 2012
  • 일시에 수확하는 엽채류 중 시금치,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 대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일을 기준으로 각각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수확당일, 수확 2일전, 수확 5일전 및 수확 7일전에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수확당일의 잔류량을 기초하여 작물 중 농약살포액의 부착량을 환산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253.9 mL/kg, 그리고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서는 각각 83.0, 97.8 및 88.3 mL/kg으로 조사되어 시금치에서 가장 많이 살포액이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의 경우도 시금치 157.6 mL/kg, 얼갈이배추 67.6, 비타민채 64.8 그리고 청경채에서 66.6 mL/kg의 부착량을 나타내어 시금치에서 가장 높은 살포액 부착량을 나타내었다. 각 작물에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소실 정도를 조사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분해반감기가 5.9일, 얼갈이배추 7.4일, 비타민채 4.6일, 청경채 4.3일로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 반감기가 가장 길었으며, fludioxonil의 경우에서도 시금치 3.0일, 얼갈이배추 4.0일, 비타민채 3.2일, 청경채 3.5일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반감기가 가장 길었다. 두 농약의 잔류특성이 비교되었을 때 농약살포 후 살포액의 부착량과 작물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반감기는 fludioxonil 보다 boscalid이 더 많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 및 하계전정이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 'Misty'의 수량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inter and Summer Pruning on Yield and Fruit Quality in Southern Highbush Blueberry 'Misty')

  • 강동일;신미희;김홍림;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8-333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시설재배에 이용되는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전정방법 도출을 위해 동계 및 하계전정이 수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전정처리는 무전정, 동계전정(2월 4일), 동계전정+하계전정(8월 5일)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과실은 총 6회에 걸쳐 수확하였고, 수확시의 수량, 수확시기별 과실의 과중 변화와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비상품 과실의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5년생 'Misty'에 있어 전정 처리에 의한 과실 수량의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정 처리의 수확시기별 수확량에 있어 무전정 처리의 경우 2번째 수확기부터 마지막 수확기까지 수확량이 일정한 반면, 전정처리 나무의 경우 수확 전반기에 보다 많은 수확량을 보여 전정으로 인해 큰 과실을 보다 많이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총 당,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 함량의 변화는 처리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비상품과 발생량의 경우 무전정 처리구에서 전체 수확량의 57%인데 반해 동계전정 처리구와 하계전정을 겸용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26%, 31%로 낮게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