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mful Ingredients in Cosmetic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텍스트 인식 기법에 기반한 화장품 성분 자동 분석 시스템 (An Automatic Cosmetic Ingredient Analysis System based on Text Recognition Techniques)

  • 김예원;홍선미;엄성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65-570
    • /
    • 2023
  • 임산부나 피부질환자 등 화장품 성분에 예민한 사람들이 있다. 또 화장품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쇼핑 시에 일일이 화장품에 유해 성분이 있는지 검색하는 것은 번거롭다. 또한 본인에게 잘 맞는 기능성 성분을 알고 기억하는 것은 새로운 화장품을 구매할 때 도움이 된다. 사진 촬영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화장품 성분을 알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화장품에 표기된 성분을 촬영해 즉각적으로 화장품 성분을 알 수 있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화안>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효과적인 텍스트 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카메라를 화장품 성분에 비추거나 앨범에서 화장품 성분 사진을 불러올 경우, 해당 화장품의 성분을 자동 인식 및 자동 분류하여 그 화장품의 성분을 현장에서 즉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효과적이고 편리하다. 이 시스템이 널리 활용된다면, 일상생활 속 화장품으로 인한 피부 질환을 예방하고 본인에게 맞지 않는 화장품 구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s of Use According to Cosmetic Information of Women

  • SO, Young-Jin;LEE, Ye-Eun;KWON, Young-Eun;JEON, Ye-Won;KWON, Lee-Se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3권4호
    • /
    • pp.11-20
    • /
    • 2020
  • Purposes: This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afety in use according to cosmetic inform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324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wareness of cosmetic information, the awareness of 'cosmetic-related knowledge' (M=3.52) and 'cosmetic performance' (M=3.43) was high, indicating that information on cosmetic knowledge was actively shared with each other. It was understood that the method of use and effect were properly recognized and that the cosmetics were selected. 'Correct cosmetic storage method' is significant in the factors of interest in cosmetics (p<.001), and 'the harmful ingredients of cosmetics that should be avoided' are significant in the factors of cosmetic information (p<0.05) and the factors of interest in cosmetics (p<0.01). 'Trouble-causing ingredi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perception in all factors except cosmetic performance factors.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easily purchase cosmetics that are necessary for their skin by schematically or simplifying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eriod and trouble-causing ingredients after opening the cosmetics to be easily understood.

인터넷 기사와 Best Item 분석을 통해 살펴본 어린이 화장품 연구 (A Study on Children's Cosmetics Based on Analyzing Internet News and Best Items)

  • 심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134-149
    • /
    • 2018
  • The number of children wearing make-up is increasing. "Children's cosmetics" is not a legal term though it is commonly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scussions on children's cosmetics based on news articles found on the internet. This study also identifies what products are being distributed as children's cosmetics. Keyword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internet portal sites.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news articles and Best Item 100 for children's cosmetics. The results of analyzing news articles and Best Item 100 list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two main discussion topics in news articles. The first topic was related to marketing(the branding and trends of children's cosmetics). The other topic was about government regulations(side effects, harmful ingredients, control, regulations, attention, proper product usage, product categorization, and the overall safety of children's cosmetics). By 2014, many articles had covered government control and regulation. However, since 2017, news articles have focused on the product categorization and the concern for overall safety has dramatically increased. 2. Three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have appeared in the Best Item 100; they are cosmetics, toys, and other products. In market, consumers recognized children's cosmetics as cosmetics and also as toys. Between 2017 and 2018's Best Item, other products are dramatically down, color cosmetics and single cosmetics are on the rise, and the purchase of domestic products has increased.

소 초유의 유효성분과 산업적 활용 (Effective Components of Bovine Colostrum and Its Applications)

  • 서상아;서혜령;허영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9-168
    • /
    • 2018
  • Bovine colostrum is necessary for newborn calves to survive, grow and receive immunity from their mother. Cows in Korea produce about 35kg of colostrum, 4Kg of which is fed to the calf, and the rest is discarded. The bovine colostrum causes the harmful side effects to human, such as allergies and digestive problems; so, it is prohibited by law to consume colostrum itself as a food. However, many scientific research data have suggested that components in the colostrum can improve human health and has the ability to help treat diseases. In line with the trend of food and pharmacy industries using natural product materials, which attract positive attention, recently, some ingredients in colostrum have been used in the production of food supplements, and it has been used in its raw form in some cosmetics. This review introduces the active ingredients an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ontained in bovine colostrum, summarizes the efficacy of physiological enhancement of the colostrum, which has been proven by scientific methods to date, and also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applications of colostrum as an animal-derived natural material.

클린뷰티 화장품에 나타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Study of Integrated Brand Communication in Clean Beauty Cosmetics)

  • 이영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1-169
    • /
    • 2021
  • 코로나 시대 마스크 착용으로 유해 성분을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클린뷰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국내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클린뷰티 브랜드 36개를 추출하고 전문가 분석을 통해 적합한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였다.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분석을 위해 구성요소를 네이밍, 로고, 색채, 패키지, 웹사이트로 도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네이밍은 자연, 건강 등을 연상하면 떠오르는 단어, 로고는 심플한 형태의 워드마크, 색채는 녹색이나 노란색계열, 패키지는 용기바디에 가운데 맞춤으로 구성된 심플한 형태, 웹사이트는 식물과 동물, 사람의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종합해 볼 때 자연, 깨끗한, 가벼운 이미지 등을 조화롭게 활용한 것이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호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수용성 크롬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Water-soluble Chromium in Makeup Products)

  • 정혜진;주경미;김영소;박정은;박진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05
  • There is now a growing concern about the possible toxicity of heavy metals in cosmetics. Heavy metals can be used as cosmetic ingredients or may be present as low level impurities in some of the raw materials. Chromium derivatives are used as pigments in cosmetics. Chromium is essential and toxic trace elements. Chromium may cause skin allergy. However,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smetic products give no limit values for Chromium. Hexavalent chromium is significantly more toxic than trivalent chromium. Hexavalent chromium may present a carcinogenic risk at high concentr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oxidation state of chromium when analyze chrom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trivalent and hexavalent chromium in samples of makeup products, and to assess the safety of cosmetics on the basis of animal sensitization tests using guinea pig. The present study of chromium in 48 makeup products of 12 manufacturers provides a basis for assessing safety of makeup products. Water-soluble hexavalent chromium was not detected in any product. Water-soluble trivalent chromium was detected in only 9 eye shadows out of 48 makeup products, and could not be quantified 3 out of 9 eye shadows. The highest level of water-soluble trivalent chromium was about 10 mg/kg in spite of 90,000 mg/kg of total chromium. The results of animal sensitization tests show that 200 mg/kg of trivalent chromium and 5 mg/kg of hexavalent chromium have no harmful effect. No cross-reaction among these metals was found. Accordingly,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chromium in makeup products seemed to be safe.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chromium in cosmetics probably have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eff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t guidelines on the maximum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chromium in cosmetics.

솔잎 열수(熱水)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 (Application of Pine Needle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95-400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인 현대사회는 뷰티산업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한 화학 소재의 화장품 출시가 줄을 이으면서 화장품산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화학 화장품에 대한 안구 건조증, 피부 트러블, 소화 장애, 호르몬 교란 등 수 많은 부작용들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有害)한 기존 화학성분 화장품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솔잎의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범용적(汎用的) 활용가치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바람직한 천연화장품의 롤 모델을 제시하고자 솔잎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실험, ABTS assay, flavonoid 함량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70^{\circ}C$$100^{\circ}C$ 솔잎 열수(熱水) 추출물은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농도 의존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70^{\circ}C$$100^{\circ}C$의 솔잎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32.0{\pm}2.5mg\;QE/ml$$116.8{\pm}5.5mg\;QE/ml$의 총 flavonoid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인체에 이로운 항산화물이 다량 검출된 솔잎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無害)한 천연화장품의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한다.

유통 수제비누의 품질특성 및 유해물질 모니터링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Harmful Substances in Commercial Handmade Soap)

  • 김연지;이인숙;김수애;김꽃봉우리;윤호철;구평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3-223
    • /
    • 2023
  • 2022 년 1 월에서 11 월까지 유통 중인 수제비누 총 81 건을 수집하였다.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전성분 기재사항을 참조하였으며 pH, 건조감량, 중금속(납, 비소, 카드뮴, 안티몬 및 수은) 및 유리알칼리의 함량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 pH 7.9 ~ 11.2, 평균 건조감량 17.6% 이었으며 유리알칼리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 시료의 중금속 평균값은 납 0.104 ㎍/g, 비소 0.035 ㎍/g, 카드뮴 0.002 ㎍/g, 안티몬 0.048 ㎍/g, 수은 0.0003 ㎍/g로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제시한 허용기준 납 20 ㎍/g, 비소 10 ㎍/g, 카드뮴 5 ㎍/g, 안티몬 10 ㎍/g 및 수은 1 ㎍/g 보다 매우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평가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 오인영;김소영;석장미;정상욱;박진오;유광호;이갑석;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1-148
    • /
    • 2013
  •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한 자외선의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화장품 업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거나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 제품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차단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는 각각 $34.52{\pm}2.13$, $32.67{\pm}1.44$였다. 두 제품 간의 자외선차단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천연물 자외선차단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였고 제품도포로 인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LC-MS/MS 와 GC-MS/MS 를 이용한 에센셜 오일 중 320 종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320 Pesticides Analysis of Essential Oils by LC-MS/MS and GC-MS/MS)

  • 오가향;박성막;이소민;정소영;곽병문;이미기;이미애;최성민;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7-331
    • /
    • 2021
  •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1 개의 단일 식물형 및 식물종이 만들어낸 향이 나는 식물 재료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얻어낸 휘발성 물질로 방부, 살균, 항균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향료, 아로마 테라피 치료 등의 목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오일은 추출 및 농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재배 과정 중 살포된 농약 또한 추출 및 농축이 됨으로써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셜 오일 중 320 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하여 LC-MS/MS와 GC-MS/MS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정제과정인 hexane 대신 freezing 과정을 이용하여 전처리방법을 개선하였다. 에센셜 오일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chlorpyrifos, piperonyl butoxide, silafluofen 성분이 basil oil 및 clove leaf oil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에센셜 오일에 대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