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 cla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폐유리를 재활용한 인공경량골재의 발포기구 (Bloating Mechanism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for Recycling the Waste Glass)

  • 강신휴;이기강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45-44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ecycling rate of the waste glasses by investigating bloating mechanism. In this study, we use waste glass(W/G) and hard clay(H/C) as raw materials.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were formed by plastic forming($\phi$=10 mm) and sintered by fast firing method at different temperatures(between 700 and $1250^{\circ}C$).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ggregates such as bulk specific gravity, adsorption and microstructure of surface and cross-section are investigated with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rate of W/G-H/C contents. As the result of the bulk specific gravity graphs, we can found out the inflection point at content of W/G 60 wt%. From the microstructure images, we considered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content of W/ G over 60wt% are distributed numerous micro-pores by organic oxidation without Black Core and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of W/G below 60 wt% are distributed macro-pores with Black Core.

점토광물(粘土鑛物)이 정수(淨水)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 of clay Minerals on Clarification of Water)

  • 박병윤;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93-97
    • /
    • 1988
  • 경수(硬水)나 오수(汚水)로부터 청정(淸淨)하고 안전(安全)한 음용수(飮用水)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할 목적으로 한국산 점토광물(粘土鑛物)(Kaolinite, Montmorillonite)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이들에 의한 각종 양이온들의 경쟁흡착(競爭吸着)을 조사(調査)하였다. 양이온들간의 흡착력(吸着力)의 세기는 Kaolinite나 Montmorillonite의 두 점토광물(粘土鑛物) 공(共)히 $Ca^{{+}{+}}$ > $Mg^{{+}{+}}$ > $K^+$ > $Na^+$의 순(順)이었으며 Kerr의 공식에 의한 Montmorillonite에서의 양(陽)이온 선택성계수(選擇性系數)(K)는 $^KCa^{{+}{+}}/K$ > $^KMg^{{+}{+}}/K$, $^KCa^{{+}{+}}/Mg$ > $^KK^+/Mg$의 순(順)이었다. 한편 $Na^+$으로 포화(飽和)된 Montmorillonite의 경우 양(陽)이온의 흡착량(吸着量)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경수(硬水)나 오수(汚水) 중의 각종 양(陽)이온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除去)하기 위해서는 Montmorillonite에 $Na^+$을 포화(飽和)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PDF

보물 제1752호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1): 소조불상 주요 구성재료 분석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of Seonunsa Temple, Gochang)

  • 이화수;이한형;한규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2-577
    • /
    • 2020
  • 보물 제1752호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존을 위해 불상을 구성하는 주요 재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조불상을 구성하는 토양층 분석결과 중립사 이상의 모래와 세립사 이하의 토양이 3:7의 비율로 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닥나무의 인피섬유도 함께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조토는 모래와 풍화토를 혼합하고 분산방지를 위해 닥지를 섬유질로 첨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종분석 결과, 아미타여래, 비로자나불, 약사여래의 좌대 및 팔 부위를 구성하는 목재는 모두 경송류(Hard pines)로 식별되었으며, 개금층 분석 결과, 시료 단면에서 3개의 층위가 확인되었다. 불상의 나발은 석영, 조장석, 미사장석, 운모, 자철석 등 토양성 물질로 구성되었으며, 나발의 표면은 자철석이 함유된 흑색물질을 이용하여 표면을 채색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불간척지 충적점토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Alluvial clay in the Daebul Reclaimed Tideland)

  • 김홍일;진병익;유기송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7
    • /
    • 1984
  • This study was made to find several significant relations among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cone penetration resistance. The alluvial clay samples were taken at the Daebul Reclaimed Tideland in Samhomyeon, Yeongamgun, Jeonra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Most samples belong to medium or high plastic, inorganic, silty clay(clay contents;32-64%, silt contents; 36-68%, sand contents; 0-3%). The specific gravities range from 2.70 to 2.73, the unit weights from 1.45 to 1. 75g/cm$^3$, the natural moisture contents from 45 to 77%, the liquid limits from 32 to 56%. It is certain that the foundation is weak because the natural moisture contents are much higher than the liquid limits. 2.It is known from the shear tests that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hs vary from 0.09 to 0. 38kg/cm2, the cohesions from 0.05 to 0. 21kg/cm2, the internal friction angles from 0 to 3˚. 3.The consolidation tests show that the initial void ratios range from 1.25 to 2.28, the compression indeices from 0.43 to 0.84, the preconsolidation loads from 0.21 to 0.74kg/cm$^2$. 4.Cone penetration resistances are usually less than 5kg/cm$^2$ from ground surface to the depth of about 8m, and from S to l0kg/cm$^2$ in the layer below about 8m to hard layer. 5.The cohesion and cone penetration resistance are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soil layer. 6.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cone penetration resistance for the alluvial clay samples are as follows; a) Wn=0.944C+ l2.733 (r=0.829) b) LL=0. 728Cy+6. 991 (r=0. 873) c) PI=0.659Cy-8.168 (r=0.860) d) rt=0. 0077(272-Wn) =2.092-0. 0077Wn (r=0. 859) e) 60=0. 035wn-0 447 (r=0. 893) f) C=0.380qw+0.031 (r=0.816) g) qu=0.0707qc+0.029 (r=0.810) h) C=0.018Z+0.055 (r=O.802) I) qc=0. 415Z+1, 438 (r=0. 943)

  • PDF

Shearing Properties of Hard Metal Powder and Iron Powder in the Low Density Range

  • Jonsen, P.;Haggblad, H.A.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2
    • /
    • pp.1296-1297
    • /
    • 2006
  • Both plastic and elastic properties change dramatical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compaction phase. Previous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powder transfer and high powder flow during initial compaction at low density affects the strength of the final component significantly. Investigated here are shear failure and elastic shear modulus in the low density range for hard metal powder and for pre-alloyed water atomized iron powder. Direct shear test equipment for sand and clay has been modified to measure the shearing properties of powder for an axial loading between 1 kPa and 500 kPa.

  • PDF

연탄재를 충전제(充塡劑)로한 고무배합(配合)에 있어서의 특성변화(特性變化) 및 그 응용(應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in rubber compounds which is used the ash of holed briquette coal as fillers)

  • 김병국;김종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18권1호
    • /
    • pp.8-12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in various fields of products economically and practically using the characteristic of ash of holed briquette coal in maximum.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cure rate of ash of holed briquette coal is comparatively late. But it has shown nearly same level of physical properities compared with other fillers except hard clay and grey carbon.

  • PDF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Joseon (the 15th to 17th Century) Potteries from Ssangyongdong Yongam Site in Cheonan, Korea)

  • 김란희;이찬희;윤정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2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15~17세기) 토기에 대한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토기가마 폐기장과 공방지에서 수습한 토기시료는 회색 및 적색계열로 다양한 형태와 소성온도에 따른 굳기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유사한 기질특성을 보인다. 또한 모든 토기와 공방지 토양은 산출상태,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상당히 유사하나, 유적지 주변에서 수습한 토양은 이들과 상이한 재료학적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식질의 공방지 토양은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제작에 실제 이용된 원료점토로 판단된다. 이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 중 연질토기는 운모의 상전이 온도인 $900^{\circ}C$ 전후, 경질토기는 뮬라이트와 사장석의 생성과 소멸온도를 기준으로 $1,000{\sim}1,100^{\circ}C$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해석된다.

포장재료의 심리적 특성 분석 (Psychological Character Analysis of Pavement Materials)

  • 김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51
    • /
    • 2004
  • Recently, the importance of choosing correct pavement materials has been increasing in urban spaces and streets. Much research regarding the pavement theory and construction method have been conducted, but analysis in terms of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 has not yet been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to 12 pavement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 for each pavement materi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to each pavement material were as follows: ① Clay embodies a natural, traditional, soft and intimate psychological character; ② Pebble stone has a natural, hard, cool and intimate psychological character; ③ Turf grass incorporates an intimate and soft psychological character; ④ Ceramic brick has an artificial and hard psychological character; ⑤ Tile pavement has a modern, artificial, hard and cool psychological character; ⑥ Water permeable concrete has a modern and artificial psychological character; ⑦ Flag stone has a natural psychological character; ⑧ Granite has a modern and artificial psychological character; ⑨ Portland concrete has an artificial and hard psychological character; ⑩ Small compacted brick has an artificial, dynamic and modern psychological character; ⑪ Wood block pavement has a natural and traditional psychological character; ⑫ Asphalt concrete pavement has a modern, hard and artificial character. 2. On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regarding psychological indexes for 12 pavement materials, pavement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 3 clusters. Among them, one cluster was mainly used as the most popular pavement material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From this point of view, psychological character for pavement material in our urban spaces and streets was not as various as we expected. 3. 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pavement materials was very importa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urban spaces and streets.

우리나라에 분포(分布)된 반층토(盤層土)의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연용통(延谷統)에 관(關)하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lanosols in korea -Part I Yeongog series)

  • 엄기태;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5-51
    • /
    • 1975
  • 농업개발(農業開發)이 가능(可能)한 구릉지(丘陵地)의 하부(下部)와 대지(臺地)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반층토(盤層土)인 연곡통(延谷統)에 대(對)하여 형태적(形態的), 화학적(化學的) 그리고 점토광물학적(粘土鑛物學的) 특성(特性)을 조사연구(調査硏究)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저특성(形態的特性)으로 보아 표토(表土)는 갈색(褐色) 내지(乃至) 암갈색(暗褐色)의 양토(壤土)로서 푸슬푸슬하나 심토(心土)인 반층(盤層)은 색갈(色褐)이 다양(多樣)하여 암갈(暗褐), 담황갈(淡黃褐), 진갈색(眞褐色)이 주(主)이고 투수성(透水性)이 나빠 담회갈(淡灰褐), 담갈색등(淡褐色等)의 반문(斑紋)이 있고 토성(土性)은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이며 발달도(發達度)가 보통(普通) 내지(乃室) 강(强)한 판상구조(板狀構造)로서 점토피막(粘土皮膜)이 구조표면(構造表面)을 덮고있다. 한편 이층(層)은 매우 치밀(緻密)하고 단단하며 습(濕)할때 점착성(粘着性) 및 가소성(可塑性)이 강(强)하다. 기층(基層)은 토색(土色)이 다양(多樣)하며 양토(壤土) 내지(乃至) 식양토(埴壤土)이다. 2. 물리적특성(物理的特性)으로 토양입자(土壤粒子)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표토(表土)에서 심토(心土)로 갈수록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며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1.2부이상(倍以上)) 기층(基層)으로 내려갈수록 감소(減少)되고 있다. 보수력(保水力) 및 가비중(假比重)은 일반토양(一般土壤)에 비(比)하여 높다. 3.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으로서 유기질(有機質) 함량(含量)은 적고 토양(土壤) 반응(反應)은 강산성(强酸性)에 속(屬)하며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보통(普通)이고 염기포화도(鹽基胞和度)는 높다. 활성철(活性鐵),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강 및 유효규산(有效珪酸)은 일반토양(一般土壤)에 비(比)하여 높다. 4. 점토(粘土)의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은 규반비(珪礬比)가 높고 $Fe_2O_3$, $K_2O$ 및 MgO의 함량(含量)이 높으며 점토(粘土_의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매우 높다. X-선(線) 회절분석결과(回折分析結果) 주요점토광물(主要粘土鑛物)은 Kaoline, Vermiculite with Al-interlayers, Illite이며 그 외(外) 석영(石英)이 혼입(混入)되여 있다. 5. 본연구결과(本硏究結果) 연곡통(延谷統)은 점토(粘士)의 집적(集積)으로 인(因)한 점토반(粘土盤)의 반층토(盤層土)이며 미국(美國)의 7차분류시안(次分類試案)에 의(依)하면 반층(盤層)과 Argillic층(層)이 있고 염기포화도(鹽基胞和度)가 35% 이상(以上)이므로 Fragiudalfs로 분류(分類)할 수 있으며 한편 FAO/UNESCO의 분류(分類)로는 Eutric Planosols에 속(屬)한다.

  • PDF

연직 매트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지지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of Soft Ground Reinforced by Vertical Mat)

  • 신은철;이길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83-90
    • /
    • 2012
  • 일반적으로 심층혼합공법에 의한 점토지반의 개량효과는 물리적 개량효과에 비해서 훨씬 크며 조기에 큰 개량 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국내 시공실적이 부족하고 시멘트-점토의 혼합방법에 따른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래, 점토의 배합비에 따른 강도특성과 연직MAT의 형태에 따른 연약지반의 개량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성점토를 이용하여 일축압축 강도시험과 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를 기준으로하여 모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고, 시멘트는 점토중량대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고 대상지반토의 함수비는 40%, 60%, 80%로 조정하여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습윤방법을 이용하여 7일, 14일, 28일간 양생하여 양생기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지력시험은 모형토조를 제작하고 Mat식으로 개량한 지반을 형성한 다음 개량률에 따른 지지력을 비교하고 연직MAT 장벽 상호간의 간섭효과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