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ul Input System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4초

Efficient Mobile Writing System with Korean Input Interface Based on Face Recognition

  • Kim,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9-56
    • /
    • 2020
  • 가상 키보드방식의 문자 입력 시스템은 고정된 버튼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은 입력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고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RGB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자판 입력과 필기 기능이 가능한 효율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얼굴인식을 활용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컨트롤 좌표를 계산하고, 이 좌표 값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 조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개발한다.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계산된 컨트롤 위치는 자판의 글자를 선택하고 전달하는 포인터 역할을 하며, 마지막으로 전달된 글자들을 조합하여 한글 자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필기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일반인 뿐 만 아니라 신체가 불편한 지체장애인의 의사소통 및 특수교육 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Pocket PC기반의 효율적인 한글 정합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Pocket PC- based Hangul Matching System)

  • 박종민;조범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546-1552
    • /
    • 2004
  • 전자 잉크 데이터는 펜 기반 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둥에서 자연스럽고 편리한 데이터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펜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온라인 문자 인식기를 이용하여 아스키 문자로 변환하지 않고 스크립트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전자 잉크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전자 잉크 데이터의 검색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 잉크 데이터를 획 특징 벡터 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서 잉크 데이터를 검색하는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정합 알고리즘은 입력된 데이터를 곡률을 이용하여 기본획으로 분리하고 기본획의 종류를 결정한 다음 획 특징 벡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에 의해 획 특징 벡터의 거리값을 계산한다.

인쇄체 한글문자 인식을 위한 계층적 신경망 (A Hierarchical Neural Network for Printed Hangul Character Recognition)

  • 조성배;김진형
    • 인지과학
    • /
    • 제2권1호
    • /
    • pp.33-50
    • /
    • 1990
  • 기존의 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간늬 두뇌 구조를 모델링한 신경망이 새로운 방법으로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가지 지각 심리학적 연구에 근거를 두고 신경망을 통한 인쇄체 한글인 식 시스템을 구축한 후, 몇가지 실험을 통하여 신경망 기법이 인간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냄을 살펴보았다. 상용하는 990자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오인식 된 문자의 혼동패턴이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으며, 학습하지 않은 문자도 어느정도 인식해 내는 일반화 능력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 학습이 잘되지 않는 문자를 좀더 반복하여 경우 학습속도가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훔쳐보기 방지를 위한 한글 패스워드 시스템 (Hangul Password System for Preventing Shoulder-Surfing)

  • 김종우;김성환;박선영;조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3-41
    • /
    • 2011
  • 전통적인 텍스트 기반 패스워드들은 가장 일반적인 인증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측, 사전공격, 키 로거, 훔쳐보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그래피컬 패스워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래피컬 패스워드는 전통적인 텍스트 기반 패스워드에 비해 오히려 훔쳐보기 공격에 더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훔쳐보기 방지를 위한 한글 기반의 새로운 패스워드 입력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패스워드로 한글을 사용하고,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회전하는 그리드 상에 패스워드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제안 방법은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유인 문자와 함께 보여줌으로써 공격자가 패스워드를 훔쳐보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방법에 대한 무작위 공격, 사전공격 및 훔쳐보기 공격에 대한 안전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이들 공격에 대해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각장애자용 촉각식 한글판독장치(1) (Tactile Type Hangul Identification System the Blind(1))

  • 김홍오;민홍기;허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2
    • /
    • 1991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page level input system of the character reading aid for the blind. Input toys)ems arse consisted with 512 pixels line image sensor, optical lento, digital interface for the computer and its control software. Input buffer size of the computer memory that for the single scanning of printed matters Image is 64kB. Image patterns of the reading characters which stored in system memory are converted to tactile character patterns that would be output to the bimorph tactile sensor by software control.

  • PDF

내장형 ARM 보드를 이용한 전광판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the Electric Sign Board System using Embedded ARM Board)

  • 최재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41-246
    • /
    • 2004
  • 본 논문은 ARM7TDMI 칩을 사용하여 모듈단위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전광판 시스템을 설계하고 자체적인 한글 입출력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전광판 시스템에 사용자가 원하는 표출문구의 입력, 편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입력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PC와 PDA에 의한 유/무선 문구입력이 가능하게 하였고 한글오토마타를 구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표출문구 입력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LINUX OS가 포팅 된 PXA255프로세서 기반의 내장형 보드에서 그래픽 라이브러리 툴인 QT/Embedded 2.3.7을 터치패널사용이 가능하도록 포팅하여 원격지의 전광판에 문구를 이더넷 통신방법에 의해 쉽게 바꿀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시스템은 한글에 대한 코드 값만 저장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전광판 시스템보다 많은 양의 사용자 정의 문구를 시스템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시선 입력 장치에 의한 한글 입력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gul Input Methodology for Eye-gaze Interface)

  • 서한석;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39-244
    • /
    • 2004
  • 정보사회의 발전에 있어 정보의 수집, 전달 둥을 위해 수많은 IT기기가 개발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IT기기를 장애자나 고령자를 포함, 누구나가 쉽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상체부자유자의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시선 입력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서 본 연구에서는 Eye-gaze Interface를 이용한 시선 입력만으로 컴퓨터상에서 한글입력이 가능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기존의 키보드 마우스에 의한 입력 장치와 Eye-gaze Interface를 이용한 입력 장치와의 정점과 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정보사회에 있어서의 장애자와 고령자들의 Barrier Free에 관한 연구를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Eye-gaze Interface는 Eye Tech Digital System회사의 Quick Glance System를 사용한다. 장애자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 평가 실험에 의해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한글의 음운규칙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일본어가 입력 가능한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것은 컴퓨터 조작이 곤란한 장애자와 고령자가 일반인과의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 PDF

한글 입력 시스템을 위한 기본 모음 집합의 구성 (Basic Vowel Set for Hangul Input System)

  • 강승식;한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784-786
    • /
    • 2004
  • 정보통신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는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만 을 이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 하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본 모음 집합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모음 조합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 8개의 기본 모음 'ㅏㅓ ㅗ ㅜ ㅡ ㅣ ㅐ ㅔ' 로부터 모음의 조합 원리 및 가획 원리에 의해 입력키가 할당되지 않은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유사 모음간의 전환이 가능한 오류 수정 방식과 다중 입력 방식을 도입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추구하였다.

  • PDF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한글 모음 입력 시스템 (Hangul Vowel Input System for Hand-held Devices)

  • 강승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907-909
    • /
    • 2004
  • 정보화 시대가 진전됨에 따라 휴대폰과 리모콘 등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식은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제한된 버튼만을 이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 하에서 한글 모음을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으로 'ㅏ/ㅓ/ㅗ/ㅜ/ㅡ/ㅣ/ㅐ/ㅔ'를 기본 요소로 하여 조합되는 모음의 입력 방식을 다양화하였으며, 기존의 천지인, 나랏글 방식과 비교했을 때 사용자 편의성과 입력의 신속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한글인식 후처리용 단어사전의 기억구조 (A Word Dictionary Structure for the Postprocessing of Hangul Recognition)

  • 김상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02-1709
    • /
    • 1994
  • 한글인식 후처리에서 문맥정보의 저장구조는 인식율 및 인식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단어사전의 형태로 문맥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트라이(trie)를 주로 이용하지만, 기억공간 이용효율이 저조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트라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공간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억구조를 제안한다. 한글은 조합문자이기 때문에 자모나 문자별로 기억시킬 수 있다. 그런데 자모단위로 기억시키면(P-모드) 검색시간은 빠르지만 공간효율이 나쁘고, 또한 문자단위로 기억시키면(C-모드) 공간효율은 좋지만 검색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노드이용율과 분산율로 최적레벨을 선정한 다음, 입력단어의 시작자모부터 최적레벨까지는 자모 단위의 트라이로 기억시키고, 그 이상은 문자단위의 순차연결구조로 저장시켰다. (H-모드). 6가지 단어집합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H-모드에서의 검색시간은 P-모드만큼 빠르면서, 공간효율은 C-모드와 같게 되어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