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over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2초

콩나물의 Asparagine이 숙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sprout Asparagine on Hangover)

  • 정연신;;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53-58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as well as its effect on the regulation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body. Asparagine content and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were analyzed using the amino-acid analyzer and alcohol tester, respectively.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was high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out soups sampled from different restaurants, although the boiling time and amount of sprout used were different among the samples. Significantly higher asparagine content was observed in soups with higher amounts of sprouts (2.81% in 500 grams of sprout) and 10 minutes after boiling with other solid ingredients in the soup. Lower concentration of alcohol in blood was recorded in persons with higher body weight. The asparagine+soybean extract (eaten immediately after drink) lowered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followed by only asparagine and control.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fter drinking become zero earlier (by 30 minutes), when asparagine+soybean extract or only asparagine was consumed as compared to control.

  • PDF

지구자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알코올 분해효과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Effect of Alcohol Decomposition on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 차배천;이은희;이은;박행호
    • 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3-217
    • /
    • 2004
  • For the determin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a new method was established by using HPLC system. Moreover, amount of enzyme for a optimum reaction was determined by a comparative study with a variety concentration of enzyme. Using a established method,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that is alcohol metabolizing enzyme was investigated on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As the result of experiment, EtOH and $H_2O$ extracts of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showed visible a synergistic effect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On a continuous experiment, EtOH and $H_2O$ extracts of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showed alcohol decomposition activity on the in vivo test using r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uit of Hovenia dulcis Thunb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hangover.

감마선을 이용한 고기능성 히알루론산/연어추출물 제형개발 (Development of High-Functional Hyaluronic Acid/Salmon Extract Formulation Using Gamma-Ray)

  • 권동건;심재구;하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6
    • /
    • 2018
  • 음주 후 숙취는 사람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상이 하지만 일반적으로 갈증,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위장장애,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알코올에 함유되어 있는 발효 부산물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전구물질들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로 연어 추출물 중 정액 또는 정소 추출물인 핵산-당-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이며 다당체인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동일한 Origin, 동일 구조를 가지며 PDRN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용성 연어 추출물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D-Glucuronic acid와 N-Acetyl glucosamine으로 구성된 고분자 다당체로 뛰어난 생체 적합성,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대한 부분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체내 에탄올, 아세트알데히드 감소량,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를 측정하여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수분 증발량과 피부 수분량을 조사하여 피부개선을 평가하고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에 에탄올은 연어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가 무첨가에 비해 5배에서 7배의 감소량을 보였고 아세트알데히드 3배에서 5배 이상의 감소량을 보였다. 또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의 변화에서는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급격한 저하 변화를 보여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히알루론산 원료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함유량이 높았으며,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고분자 다당체인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을 주원료로 하는 조성물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현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staxanthin과 Astaxanthin-Cyclodextrin 포접화합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Astaxanthin and its Inclusion Complex with Cyclodextrin)

  • 김소영;조은아;유귀재;유지민;손석민;인만진;김동청;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70-578
    • /
    • 2009
  • 헤마토코커스로부터 아스타잔틴의 추출과 제형화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헤마토코커스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포접화합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헤마토코커스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 대해 in vitro 실험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헤마토코커스 추출물은 대조군인 kojic acid에 비해 동일한 농도에서 2배 이상의 미백활성을 나타냈고, 자궁암 세포주 (HeLa)에 대해 대조항암물질인 5-fluorouracil (5-FU)과 비슷한 항암활성을 나타냈다. 아스타잔틴은 또한 숙취해소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대조군인 지구자 추출물에 비해 1.5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스타잔틴과 싸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화합물 As-$\beta$-CD와 헤마토코커스 추출물과 싸이클로 덱스트린의 포접화합물인 H.p.-$\beta$-CD의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As-$\beta$-CD는 대조군인 지구자추출물보다 높은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냈고, H.p.-$\beta$-CD는 대조군인 kojic acid와 비슷한 수준의 미백효과를 나타냈다.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Ethanol Induced Hangover in Rats)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숙취용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흑마늘 추출물 130 mg/kg과 260 mg/kg을 각각 40% 알코올(5 g/kg, B.W.) 투여 30 분 전과 30 분 후에 경구 섭취시키고 1, 3 및 5 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혈액 중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간조직 중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과 간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전에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 섭취시켰을 때 혈 중 알코올의 농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후 5 시간 경과 시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28.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매우 감소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후 흑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것은 알코올 투여 30 분 전의 실험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중의 ADH 활성은 정상군과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 모두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대조군과 흑마늘 추출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흑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간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보아 안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발효한약추출물 HP-1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 정용준;한동오;최보희;박철;이혜정;김성훈;함대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87-391
    • /
    • 2007
  •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developing various kinds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a new typ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is intended to exert a favorable influence on digestability, bioavailavility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herbal extract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t also produces a number of fermentation products that intensify the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f the medicinal herbs. In order to develop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ftereffects of the previous drinks, the extracts (HP-1) of fermented herbal mixture,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Thunb., Lonicera japonica Thunberg, and Hovenia dulcis Thunb., were prepared and the medicinal effect as a hangover cure was evaluated in ethanol-loaded rats. The enzym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2 (ALDH2)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2 was also investigated through RT-PCR analysis. In the HP-1-treated group, the concentration of blood ethanol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one hour after loading of ethanol, as compared to that in the saline-treated group. The reduced ethanol was converted to acetaldehyde, which resulted in rapid increase in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an hour. Acetaldehyde was started to decrease at 5 hours after ethanol loading. It implies that HP-1 is highly effective to stimulate the activities of ADH and ALDH2. The HP-1 treatment also activated the mRNA expression of ADH and ALDH.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herbal extract, HP-1 can be used as a functional beverage of alleviating the alcohol-induced hangover symptoms by stimulating th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of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s.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알코올 분해 효능 (Effect of a Soy-Sprout Beverage Prepared with High-Concentrated Oxygen Water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성혜미;정현정;윤수경;김태용;김기명;위지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16-621
    • /
    • 2014
  • 본 연구는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을 당침하여 제조한 콩나물 추출 음료의 숙취해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콩나물 자체의 asparagine 함량 및 ADH와 ALDH 효소활성을 확인하고 알코올과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을 투여한 쥐의 혈중 알코올 농도,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ALT, AST 및 ALP를 측정하였다. 고농도 산소수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판중인 콩나물에 비해 asparagine 함량이 높게 나타나 숙취해소 효능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알코올을 경구 투여한 쥐에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을 투여한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1시간, 5시간 경과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또한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 고농도 투여군(SEH)에서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고농도의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은 시판중인 숙취해소 음료 분말 양성대조군(PC)보다 더 뛰어난 알코올 분해능을 보였으며 ALT, AST 및 ALP 측정 결과에서도 콩나물 추출 음료 분말 고농도 투여군(SEH)의 ALT 농도가 알코올투여군(AC) 및 시판숙취해소 음료 분말 양성대조군(PC)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콩나물 당침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 추출 음료는 숙취해소에 기여하고 간세포의 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음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알코올모델용액을 이용한 여러 종류 활성탄의 휘발성화합물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 Adsorption from Alcoholic Model Solution onto Various Activated Carbons)

  • 박승국;이명수;김병호;김대옥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249-255
    • /
    • 2010
  • 4가지 서로 다른 소재(대나무, 목재, 피탄, 석탄)로 제조된 10가지 활성탄에 대해서, 30% 알코올모델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6가지 휘발성화합물(isoamyl alcohol, hexanal, furfural, ethyl lactate, ethyl octanoate, 2-phenyl ethanol)의 흡착효율을 평가하였다. 이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은 알코올음료에서 종종 발견되며,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숙취의 원인이 될 뿐만이 아니라 위스키나 보드카와 같은 술에서 이취의 원인물질이 되기도 한다. 6가지 휘발성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30% 알코올모델용액 200 mL에 0.2 g의 활성탄을 넣고 16시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한 후에 처리된 용액을 2가지 시료처리방법(direct liquid injection and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 GC분석을 수행하여 활성탄의 제거효율을 구하였다. 활성탄의 제거효율은 휘발성화합물의 종류와 활성탄제조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ethy octanoate, 2-phenyl ethanol, hexanal에 대한 제거율은 34-100%로 높은 편이나, isoamyl alcohol, ethyl lactate, furfural의 제거율은 5-13%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활성탄의 종류에 따른 제거율은 대나무활성탄인 A가 isoamly alcohol, hexanal, ethyl lactate, furfural 등 대부분의 휘발성화합물에 대해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 < 0.05), 특히 알코올음료에서 숙취와 이취물질이며 fusel oil의 주성분인 isoamyl alcohol, aldehydes(hexanal, furfural), 2-phenyl ethanol에 대한 흡착효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obile IPv6의 빠른 핸드오버 기법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Fast Handovers in Mobile IPv6)

  • 조경산;엄희용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2
  • IETF proposed Fast Handover mechanism tn reduce the latency during which the mobile node is effectively dusconnected from the Internet. In this paper, we propose three buffering strategies and a bicasting strategy to resolve packet loss and packet disordering problems in Fast Hangover mechanism. Through Java-based simulation we show thats, packet loss and disordering problems have been resolved by our proposal. As the result the buffering and bicasting strategies can reduce the handover delay caused by packet loss and packet disordering, in addition.

  • PDF

Five compounds from leaves of Hovenia dulcis T.

  • Chon, In-Ju;Cho, Hyoung-Kwon;Ham, In-Hye;Kim, Ho-Hyun;Whang, Wan-K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68.2-368.2
    • /
    • 2002
  • Fruits of Hovenia dulcis T. (Rhamnaceae) was called ′jiguja ′ in oriental medicine which has been used for diuresis, remove of hangover and leaves has been used for detoxified the alcohol. From the MeOH Extraction.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elucidated as quercetin quercetin-3-O-rhamnose. quercetin-3-O-gal(6"1") rha, quercetin-3-O-glc(6"${\rightarrow}$1")glc, and kaemferol through specroscopic methods.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