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writing skil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5초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글씨쓰기와 실행능력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Handwriting Skills and Praxis in the Low Grades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 유승복;김진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writing skills and praxis. Method : Participants consisted of 50 normal children who were the second-grade students at an A elementary school in Kim-hae. They didn't have a visual dysfunction, an auditory dysfunction, and a disease or an injury in arms and hands. They could follow examiners' directions properly. They were administered the Postural Praxis and the Praxis on Verbal Command of the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SIPT)(Ayres, 2000) and the handwriting skill test which was made with reference to foreign literatures. It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 2004 to December 17, 2004. The data were analyzed with non-paired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1. Total handwriting score and praxis according to gender of children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2. Total handwriting score correlated with praxis(p<0.05) and handwriting speed did not correlate with praxis. 3. Postural Praxis and Praxis on Verbal Command according to handwriting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4. Among the standards of the handwriting skill test, accuracy of letter form, identity of letter size, spacing between letters and words, placing text on lines, error existence, and letter out of regular square correlated with the Postural Praxis(p<0.05), and accuracy of letter form, identity of letter size, and placing text on lines correlated with the Praxis on Verbal Command(p<0.05). Conclusions : The correlation between handwriting skills and praxis will help occupational therapists to provide fundamental and various treatment programs for children who are referred for the poor handwriting. But more studies in handwriting skills and praxis are necessary to decide which component of handwriting skills is related to praxis.

  • PDF

학령 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 김윤경;한수상;장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handwriting legibility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handwriting speed and perceptual-motor skills. And identified the predictors that most affect the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Twenty-three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 aged children (mean age: 68.61 months, SD=2.04) were selected through the Korean-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2(K-DDST-2). The children were tested with regard to handwriting legibility, visual percep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fine-motor coordination. Results: Firs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not found among handwriting legibility, visual percep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fine-motor coordination. Seco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handwriting speed, visual perception and fine-motor coordination. Thir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general visual percep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handwriting speed. Conclusion: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evaluate children's visual perception levels utilizing a standardized test, and focus on general visual 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handwriting skill(speed). Also,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s handwriting skills.

비장애 아동의 한글쓰기 숙련도와 시선고정 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Handwriting Skill and Visual Fixation)

  • 홍미영;이초희;김은빈;이언석;김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쓰기 숙련도가 시선고정에 반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 7-9세 비장애 아동 2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Tobii Pro Glasses 2를 착용하고 10개 단어로 구성된 한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글자 크기 변이계수로 글씨쓰기 숙련도를 측정하였고, 시선추적장치에서 기록된 시선 위치 자료로부터 시선고정 빈도를 추출하였다. 글자 크기 변이계수와 시선고정 빈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세로크기 변이계수는 초당 시선고정 빈도와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r = .459, p < .05). 이는, 글자 세로크기를 일관되게 쓰는 아동은 시선을 적은 위치에 고정함을 의미한다. 결론 : 본 연구는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쓰기 수행과 시선고정 간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쓰기 수행 동안 시선 움직임을 측정한 첫 시도로 향후 한글쓰기 발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oud Reading on handwriting Legibility in Low-level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강희주;김희진;염지원;이유라;최은진;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23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가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DTVP 검사 결과 선별된 4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25일까지 기초선 1회, 중재 4회, 중재 후 평가 1회로 총 6회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후 평가 기간에는 글씨쓰기 명료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와 속도를 측정하였다. 중재기간에는 소리내어 읽기를 하며 글씨쓰기를 하는 실험군, 글씨쓰기만을 하는 대조군1, 아무런 중재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중재 후 글씨쓰기 명료도 검사를 실시하여 글씨쓰기 명료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글씨쓰기 중재 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글씨쓰기 명료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첫 번째 단어카드에서 대조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2는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글씨쓰기 명료도 점수는 하락하였다. 두 번째 단어카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1은 집단 내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과 대조군2, 대조군1과 대조군2는 집단 간 글씨쓰기 명료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글씨쓰기 연습을 통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글씨쓰기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ndwriting of Preschool Children)

  • 김원진;왕군철;김두리;최인영;허진아;최유정;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31
    • /
    • 2011
  • 목적 : 학령전기 아동의 글씨 쓰기 명료도 및 속도와 지각-운동 기술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글씨 쓰기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덴버 발달 선별 검사를 통하여 정상 발달로 선별된 23명의 학령 전기 아동(평균 연령=68.61개월, SD=2.04)을 대상으로 글씨 쓰기 명료도 및 속도 측정을 위하여 한글 자모 쓰기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쓰도록 하였다.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수행 능력 측정을 위하여 시지각 발달 검사를 사용하였고, 소운동 협응 수행 능력 측정을 위하여 Grooved pegboard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글씨 쓰기 명료도와 전반적인 시지각, 비운동성 시지각, 시각-운동 통합, 우세손 소동작 협응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글씨 쓰기의 속도는 전반적 시지각과 우세손 소동작 협응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 분석 결과 글씨 쓰기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반적 시지각 항목이었다. 결론 : 만 5~6세 학령 전기 아동의 전반적 시지각 능력의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글씨 쓰기의 속도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시운동기술에 관한 아동 작업치료의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Strategies for Visual Motor Skills of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1-72
    • /
    • 2010
  • 목적 :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시운동기술 평가를 위해 사용된 도구, 치료접근방법,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 아동의 시운동 기술에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과 평가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2001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visual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visuo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 perception and motor and occupational therapy"이었고, 161개의 논문 중 총 13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시운동기술 치료가 필요한 대상 진단군은 발달장애아동이 20.00%로 가장 많았고, 글씨쓰기에 문제가 있는 아동이 13.33%이었다. 결과 : 2. 시운동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는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DTVP)을 사용한 논문이 33.33%로 가장 많았고,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Motor Integration(VMI)을 사용한 논문이 26.67%이었다. 결과 : 3.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 치료접근방법은 발달적 기술기반 프로그램으로 58.82%를 차지 하였고, 감각통합과 감각기반 치료는 23.53%를 보였다. 결과 : 4. 시운동기술과 관련하여 작업치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는 72.73%이었고, 유의하지 않는 경우가 9.09%이었다. 부모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근과 집중행동 치료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 아동 작업치료에서 시운동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DTVP와 VMI가 60%를 차지하였고, 70%이 상에서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작업수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작업치료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학교기반 작업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Effect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 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8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기반 작업치료 중재 및 평가에 관한 근거마련을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이후부터 2014년 6월까지 PubMed와 Ovid의 데이터베이스에서 school or children and occupational therapy의 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여 총 14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본문을 통해 대상연구의 근거수준,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영역 및 방법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정상아동(64.3%)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자폐(14.4%)이었다. 연령은 6~8세(35.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7세와 5~12세(14.4%)이었다. 중재영역은 글쓰기 및 소근육과 시운동 통합(68.8%)이 가장 많았고, 중재방법은 직접치료(71.4%)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 분석결과, Beery-Buktenica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14.9%)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1.1%)이었다.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시운동 통합, 학습 기술, 참여 수준, 소근육 운동, 놀이, 행동적 문제에서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 대상자, 평가도구 및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학교 기반 작업치료 임상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