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over

검색결과 778건 처리시간 0.029초

BcN 환경에서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A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Service Support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over BcN)

  • 양옥식;최성곤;최준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799-808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Mobile-Assisted 및 Server-Initiated 핸드오버 방법을 이용하는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WLAN에서 RA 선수신을 이용한 mSCTP 핸드오버 성능 향상 (Performance Enhancement of Handover in mSCTP using Pre-acquisition RA in WLAN)

  • 최순원;김광렬;민성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2호
    • /
    • pp.156-164
    • /
    • 2006
  • mSCTP(Mobile SCTP)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와 DAR (Dynamic Address Reconfiguration) 확장을 이용해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된 프로토콜이다. 현재 mSCTP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핸드오버 지연시간(Handover Latency Time)이 길어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 못하며 핸드오버 시점을 결정(Handover Decision)하는 명시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A (Router Advertisement)를 미리 수신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RA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RA 캐시(Cache)를 이용한 방법, FMIPv6(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와 연동을 통한 방법, 듀얼 인터페이스(Dual Interface)를 이용한 방법 등 세가지를 소개 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안의 성능 향상을 확인 하기 위해 세가지 방식 중 FMIPv6와의 연동 방식을 리눅스 기반의 실제 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핸드오버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한 결과 전체 핸드오버 지연시간의 대부분이 RA를 받는데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를 줄임으로써 전체 핸드오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무선환경에서 끊김없는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고속의 핸드오버 기법 연구 (A Study on Fast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Multimedi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 송민호;박병주;박길철;김용태;이동철;장병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01-108
    • /
    • 2009
  • 무선 통신기기의 보급화로 인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방지 않고 정보를 끊김없이 제공 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호스트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 Mobile IP Working Group에서는 MIPv6 (Mobile IPv6) 프로트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MIPv6에서는 Handover시 모바일 노드가 일시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받지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Hnadove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Pv6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Handvoer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Access Point의 Dual Buffer 사용 및 효율적인 Registration 방법을 제안하며, MIPv6와 제안한 방법에 대해 Handover 지연시간을 비교 분석한다. 비교 분석 결과로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들보다 Handover 지연시간 단축 됐음을 알 수 있다.

  • PDF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 절차 (A Handover Procedure for Seamless Service Support between Wired and Wireless Networks)

  • 양옥식;최성곤;최준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45-5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간의 끊김없는 연결과 QoS 지원을 위해 네트웍 기반의 Low Latency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주 기능은 서버와 단말로 구성되며, 서버는 네트웍의 상황과 사용자의 선호도들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최선의 타겟 네트웍을 미리 평가하고 결정하여 두며, 단말은 서버에 의해 결정된 무선망과 링크 연결 뿐만 아니라 CoA로 사용할 IP 주소를 미리 받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유선망에서 예고없이 연결이 해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핸드오버가 요구되면 서버는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층의 핸드오버 트리거를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받은 서버는 직접 게이트웨이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준 의사 결정에 의한 모바일 트래킹을 이용한 향상된 핸드오버 (An Improved Handover Method Using Mobile Tracking by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 강일고;신성윤;이종찬;표성배;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0
    • /
    • 2006
  •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려면 마이크로-와 피코-셀과 같은 작은 셀로 크기를 더욱 줄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수용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는 빈번한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허용 가능한 핸드오버 처리 지연 시간을 감소시켜 결국 패킷 손실과 핸드오버 실패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패킷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재전송이 필요하게 되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제시한다.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핸드오버 셀을 예측함으로서, 핸드오버 설정 절차가 핸드오버 요청 전에 선행된다. 시뮬레이션은 핸드오버 실패율과 패킷 손실율에 초점을 두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시된 방안이 기존의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한다.

  • PDF

드론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확률적 핸드오버 기법 (A Probabilistic Handover Scheme for Enhancing Spectral Efficiency in Dr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장환원;우동혁;황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220-122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드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효율 성능 향상을 위한 확률적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이동하는 드론 기지국이 지상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드론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 거리 및 소규모 페이딩을 고려하여 드론기지국들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은 빈번한 핸드오버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완화하기 위해 드론 기지국들 간 핸드오버를 수행할 확률을 고려한다. 드론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 및 기존 핸드오버 기법의 주파수 효율 성능 및 핸드오버 확률을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드론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만을 고려한 기존의 핸드오버 기법보다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에서 더 높은 평균 주파수 효율 성능이 나타남을 보인다.

EPON의 무선네트워크 적용 및 핸드오버 알고리즘 (Application of EPON to Wireless Network and Handover Algorithm)

  • 조원국;정준회;박재욱;최병철;박영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A호
    • /
    • pp.666-671
    • /
    • 2007
  • 차세대 무선망의 인프라 구조로써 현재 광가입자망에 적용되고 있는 EPON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광파이버 설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그룹 셀 개념을 도입하여 핸드오버 지연시간의 주 발생원인 3계층 핸드오버의 발생 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ON의 특성을 활용한 2계층 Fast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이 때 핸드오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어신호의 지연시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였다.

A Study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the Macro Handover in HMIP According to Protocol Layers

  • Woo, Jong-Jung;Ahn, Chi-Hyu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2호
    • /
    • pp.168-172
    • /
    • 2010
  • The Network-based handover still has problems such as the transmission delays and the packet losses in the case of macro mobility, though technological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For end-to-end handover, the link bandwidth has been reduced in the wireless network due to its burst errors and congestion control. To overcome such problems, we propose a new scheme of the macro handover according to the protocol layer. The proposed macro handover is implemented on the network layer to partially substitute wired signaling for wireless signaling, to flexibly employ buffers, and on the transport layer to postpone its retransmission time. We have performed extensive simulation using ns-2 and the result shows that our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other existing schemes in terms of transmission delay, packet loss, and data transfer rate during the handovers.

A Mobility Control Architecture Suppor ting Fast Handover for Future Internet Networks

  • Nguyen, Khanh-Huy;Hwang, Won-J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485-1491
    • /
    • 2012
  •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problem of fast handover support for future internet networks. The current mobility support protocols, for example Proxy Mobile IPv6, follow a centralized architecture in which a mobility controller is used to manage intra-network handovers that gives rise to high handover latency. To handle this problem, we propose a novel distributed mobility control architecture in which gateways in the network can exchange user information with neighbour gateways to support intra-network handovers, the mobility controller is only needed in case of inter-network handover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rchitecture reduce approximately 20% intra-network handover latency than Proxy Mobile IPv6.

Cross-layer Optimized Vertical Handover Schemes between Mobile WiMAX and 3G Networks

  • Jo, Jae-Ho;Cho, Jin-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2권4호
    • /
    • pp.171-183
    • /
    • 2008
  • Nowadays,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are provided over Wireless MAN (WMAN) at a high data service rate, while 3G cellular networks provide wide-area coverage at a low data service rate. The integration of mobile WiMAX and 3G networks is essential, to serve users requiring both high-speed wireless access as well as wide-area connectiv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ross-layer optimization scheme for a vertical handover between mobile WiMAX and 3G cellular networks. More specifically, L2 (layer 2) and L3 (layer 3) signaling messages for a vertical handover are analyzed and reordered/combined, to optimize the handover procedure. Extensive simulations using ns-2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enhances the performance of a vertical handover between mobile WiMAX and 3G networks: low handover latency, high TCP throughput, and low UDP packet loss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