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 Feature Extrac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6초

비젼을 이용한 손 영역 특징 점 추출 (Feature Point Extraction of Hand Region Using Vision)

  • 정현석;주영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10호
    • /
    • pp.2041-204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eature points extraction method of hand region using vision. To do this, first, we find the HCbCr color model by using HSI and YCbCr color model. Second, we extract the hand region by using the HCbCr color model and the fuzzy color filter. Third, we extract the exact hand region by applying labeling algorithm to extracted hand region. Fourth, after finding the center of gravity of extracted hand region, we obtain the first feature points by using Canny edge, chain code, and DP method. And then, we obtain the feature points of hand region by applying the convex hull method to the extracted first feature points. Finally,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some experiments.

보로노이-테셀레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한 NUI를 위한 비주얼 터치 인식 (Visual Touch Recognition for NUI Using Voronoi-Tessellation Algorithm)

  • 김성관;주영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3호
    • /
    • pp.465-472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visual touch recognition for NUI(Natural User Interface) using Voronoi-tessellation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s are three parts as follows: hand region extraction, hand feature point extraction, visual-touch recognition.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hand region extraction, we propose RGB/HSI color model, Canny edge detection algorithm, and use of spatial frequency information. In addi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cognition of hand feature point extraction, we propose the use of Douglas Peucker algorithm, Also, to recognize the visual touch, we propose the use of the Voronoi-tessellation algorithm. Finally,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s through some experiments.

3차원 손 특징을 이용한 손 동작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3D hand feature)

  • 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74-67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손 특징 데이터를 이용한 동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3차원 센서에 의해 조밀한 범위의 영상을 생성하여 손 동작에 대한 3차원 특징을 추출하여 손 동작을 분류한다. 또한 다양한 조명과 배경하에서의 손을 견실하게 분할하고 색상 정보와 상관이 없어 수화와 같은 복잡한 손 동작에 대해서도 견실한 인식능력을 나타낼 수가 있다. 제안된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는 3차원 영상 획득, 팔 분할, 손과 팔목 분할, 손 자세 추정, 3차원 특징 추출, 그리고 동작 분류로 구성되어 있고, 수화 자세에 대한 인식 실험으로 제안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Feature Extraction and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for Image Data using Wavelet Decomposition

  • Kim, Min-Soo;Baek, Jang-S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6권3호
    • /
    • pp.831-842
    • /
    • 1999
  • We propose a wavelet decomposition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Comparing the recognition rates of which methods with original image features and with selected features by the wavelet decomposition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ethod.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QDA(Quadratic Discriminant Analysis) RDA(Regularized Discriminant Analysis) and NN(Neural network) are used for the calculation of recognition rates. 6000 hand-written numerals from CENPARMI at Concordia University are used for the experiment. We found that the set of significantly selected wavelet decomposed features generates higher recognition rate than the original image features.

  • PDF

Hand-crafted 특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은하 이미지 분류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Galaxy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Hand-crafted Features and Machine Learning)

  • 오윤주;정희철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27
    • /
    • 2021
  • In this paper, we develop a galaxy imag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hand-crafted feature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dditionally, we provide an empirical analysis to reveal which combination of the techniques is effective for galaxy image classification.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 framework which consists of four modules such as 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feature post-processing, and classification. Finally, we found that the best technique for galaxy image classification is a method to use a median filter, ORB vector features and a voting classifier based on RBF SVM, random for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final method is efficient so we believe that it is applicable to embedded environments.

CNN 모델과 FMM 신경망을 이용한 동적 수신호 인식 기법 (Dynamic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CNN Model and FMM Neural Networks)

  • 김호준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95-1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으로부터 동적 수신호 패턴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복합형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특징추출 모듈과 패턴분류 모듈로 구성되는데, 이들 각각을 위하여 수정된 구조의 CNN 모델과, WFMM 모델을 도입한다. 또한 목표물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시공간적 템플릿 구조의 데이터표현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수신호 패턴 데이터에서 특징점의 시간적 변이 및 공간적 변이에 의한 영향을 보완하기 위하여 3차원 수용영역 구조로 확장된 CNN 모델을 제시한다. 이어서 패턴분류 단계를 위하여 가중치를 갖는 구조의 FMM 신경망 모델을 소개하고, 신경망의 구조와 동작특성에 관해 기술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이 기존의 FMM 신경망에서 중첩 하이퍼박스의 축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효과의 왜곡현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응용으로 가전제품 원격제어 문제를 전제하여 간략화된 수신호패턴 인식 문제에 적용한 실험결과로부터 제안된 이론의 타당성을 고찰한다.

HMM을 이용한 수기숫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written Number Recognition by HMM(Hidden Markov Model))

  • 조민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1-125
    • /
    • 2004
  • 대부분의 수기 숫자 인식 시스템에서는 자모 형태를 이용한 특징 점 추출과, 형태소 적 분석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인코드를 사용하고, 생성된 체인코드를 미분하여 최소 값이 되는 미분코드를 만들었다. 이 미분코드는 대부분의 수기 숫자에 적용해 본 결과 숫자 변별력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처리 순서는 몇 개의 수기숫자를 전 처리하고, 체인코드와 미분코드를 생성 한 후, HMM 인식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숫자 인식하였다. 처리 결과 96.1%의 수기숫자를 인식하였으며, 매우 심하게 왜곡된 숫자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Surface Model and Feature Extraction by Integrating Laser Scanner and CCD sensor

  • Nagai, Masahiko;Shibasaki, Ryosuke;Zhao, Huijing;Manandhar, Dines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59-861
    • /
    • 2003
  • In order to present a space in details, it is indispensable to acquire 3D shape and texture simultaneously from the same platform. 3D shape is acquired by Laser Scanner as point cloud data, and texture is acquired by CCD sensor. Positioning data is acquired by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All the sensors and equipments are assembled on a hand-trolley. In this research, a method of integrating the 3D shape and texture for automated construction of Digital Surface Model is developed. This Digital Surface Model is applied for efficient feature extraction. More detailed extraction is possible , because 3D Digital Surface Model has both 3D shape and texture information.

  • PDF

컨볼루션 신경망의 특징맵을 사용한 객체 추적 (Object Tracking using Feature Map fro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임수창;김도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26-133
    • /
    • 2017
  • The conventional hand-crafted features used to track objects have limitations in object representa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hich show good performance results in various areas of computer vision, are emerging as new ways to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feature extraction. CNN extracts the features of the image through layers of multiple layers, and learns the kernel used for feature extraction by itself. In this paper, we use the feature map extracted from the convolution layer of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to create an outline model of the object and use it for tracking. We propose a method to adaptively update the outline model to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 change factors affecting the tracking performance. The proposed algorithm evaluated the validity test based on the 11 environmental change attributes of the CVPR2013 tracking benchmark and showed excellent results in six attributes.

다양한 손 제스처 인식을 위한 곡률 분석 기반의 손 특징 추출 알고리즘 (Han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Using Curvature Analysis For Recognition of Various Hand Gestures)

  • 윤홍찬;조진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3-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손 제스처 인식에 필요한 특징 추출을 위하여 손가락의 개수뿐만 아니라 붙어있는 손가락 판별까지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컬러모델 기반의 피부색 범위 필터와 레이블링을 통하여 입력 영상에서 손 영역을 검출하고, 외곽선 및 특징점과 이들로부터 추출한 곡률 정보를 이용해 펴진 손가락의 개수 및 붙어있는 손가락 판별을 통한 특징을 추출하여 다양한 손 제스쳐를 인식한다. 실험결과 인식률과 처리 가능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는 기존 알고리즘과 유사하였지만, 추출된 특징을 가지고 정의할 수 있는 제스처의 경우의 수는 기존 알고리즘보다 약 4배 정도 많아 훨씬 더 다양한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