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bacterium s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고도 호염성 Halobacterium sp.에 의한 protease의 생산 (Production of protease by the extreme halophile, Halobacterium sp.)

  • 안영석;김찬조;최성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3호
    • /
    • pp.247-251
    • /
    • 1990
  • 오징어 젓갈로 부터 분리한 protease를 생산하는 H5-2 균주는 Halobacterium 속 균으로 동정되었으며 NaCl 2.0M 이하의 배지에서는 생육하지 못하는 고도 호염성균이었고, 이 균의 protease 생산은 Nan 4.5M, yeast extract 0.4%, gelatin 1.5%를 첨가한 pH7.0의 Norberg & Hofsten 배지에서 $38^{\circ}C$$4{\sim}5$일간 배양했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 PDF

Halobacterium sp. EH10 NADH dehydrogenase의 $Na^+$ 요구성 ($Na^+$ Requirement of NADH dehydrogenase from an Extreme halophile, Halobacterium sp. EH10 Isolated from a Saltern in Korea)

  • 배무;이정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57
    • /
    • 1991
  • Intracellular enzymes of an extreme halophilic bacterium, Halobacterium sp. HE10, isolated from a saltern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membrane-bound enzyme, NADH dehydrogenase, involved in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stimulated by the addition of 2.0 M NaCl. The respiratory enzyme activities such as NADH oxidase and NADH dehydrogenase was decreased on removal of $Na^+$ ion and restored when replaced with cations like $K^+$, $Li^+$and $NH_{4}^{+}$ ions. Furthermore, their activities were affected by the anions such like carbonate, acetate, sulfate, chloride and nitrate at the presence of $Na^+$ion.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highest at the asturated solution of NaCl and isocitrate dehydrogenase activity was a maximum level at 1.0 M NaC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nzyme activites of the respiratory chain in Halobacterium sp. EH10 was stimulated by the presence of $Na^+$ ion.

  • PDF

고도 호염성 Halobacterium sp.가 생산하는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tease from the extreme halophile, Halobacterium sp.)

  • 안영석;김찬조;최성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4호
    • /
    • pp.337-342
    • /
    • 1990
  • Halobacterium sp.가 생산하는 protease를 ethanol 침전, S데hadexG-100 및 G-75로 겔 여과하여 비활성이 364units/mg protein 수율이 14%로 정제할 수 있었다. 정제호소의 casein에 대한 Km값은 $4.2{\times}10^{-4}M$이었다. 이 효소의 반응 최적온도 및 pH는 $35^{\circ}C$와 pH 8.0이었고,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은 $50^{\circ}C$까지와 pH $5.0{\sim}11.0$범위이었다. $Ca^{2+}$$Mg^{2+}$ 이온은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고 $Fe^{3+},\;Zn^{2+},\;Cu^{2+},\;Hg^{2+},\;Cd^{2+}$ 이온은 저해하였다. 정제호소는 기질용액중에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소활성이 감소하고 2M NaCl 농도 이하에서 투석하면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증류수로 2시간 투석으로 완전히 실활되었다. 그러나 0.1M $CaCl_2$용액으로는 6시간 투석하여도 활성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PDF

한국 염전으로 부터 분리한 고도 호염성 세균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treme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a Saltern in Korea)

  • 배무;이정임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6-62
    • /
    • 1991
  • Extremely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salterns at Mado, Kyunggido, Korea,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on their salt requirement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ix strains were identified to be belonged to the genus Halobacterium and three strains identified as the fenus Halococcus. Among them, the optimal NaCl concentration for growth of Halobacterium sp. EH10 was at 4.2M and no growth occurs below 2.0M NaCl. The strain, EH10, is nonmotile and showed acid production from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while H. salinarum is motile and does not produce acid from any carbohydrates. On the other hand, the strain EH10 does not utilize readily glucose while a number of sugars are readily utilized for growth with acid production by H. saccharovorum. Thus, the isolate, EH10, was classified into the genus Halobacterium and could be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by its mai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features including G+C content. The optimal temperature for growth of the isolate, EH10, was 50.deg.C. But this strain did not grow when NaCl was replaced with KCl.

  • PDF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3.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Low Salted Sardine)

  • 차용준;정수열;하재호;정인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5
    • /
    • 1983
  • 식염 $8\%$$10\%$에 에틸알코올 $6\%$, sorbitol $6\%$, 젖산 $0.5\%$를 첨가하여 담근 저염정어리젓의 숙성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기간중의 수분함량은 식염을 $20\%$ 첨가한 대조시료의 경우, 숙성 20일 경에 $57.2\%$에서 숙성 80일경에 $62.8\%$로 증가하였으며, 식염을 $8\%$$10\%$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63\%$ 내의로 큰 변화는 없었고 pH는 전시료 모두 다 6.0 부근이었다. 2. 식염농도 $8\%$$10\%$ 정어리젓의 경우, 숙성기간중 식염농도 $20\%$의 정어리젓 보다 생균수가 적은 이유는 알코올, sorbitol, 젖산첨가에 의한 미생물생육억제효과라 생각된다. 3. 정어리젓 숙성중에 분리동정된 균은 Bevibacterium marinopiscosum,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sp., Halobacterium sp., Pseudomonas sp., Flavobacterium marinovirosum, Pediococcus cerevisiae의 7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인 Torulopsis sp.으로 추정되었으며, 숙성초기에 Brevibacterium,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ilus 속의 균이 분리되었으나 숙성후기에는 대조시료에서는 Halo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 및 Torulopsis 속의 균이 분리되었고, 식염을 $10\%$$8\%$를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Brevi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의 균이 분리되었다.

  • PDF

진균성 식물병해 방제를 위한 항생물질 생산 길항미생물의 복합제제화 (A Multi-microbial Biofungicid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Several Important Plant Pathogenic Fungi)

  • 정희경;류재천;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40-47
    • /
    • 2005
  • 진균성식물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의 개발을 위하여 경북 지역의 저병해 경작지 토양에서 고추역병균 Phytophthota capsici과 시들음병균 Fusarium oxysporum에 강력한 길항능을 가지며 균주 상호간에 공생이 가능한 AY1, AY6, AB1, BB2, F4, 5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의 P. capsici에 대한 길항기작은 모두 내열성 저분자의 항균성 항생물질 생산에 의한 것이었으며, 이 중 BB2균주는 항생물질 생산능뿐만 아니라 고추역병균의 세포의벽 가수분해효소인 cellulase도 생산하여 다기능 길항기작을 보유하고 있었다. 선발된 5종 균주는 Halobacterium sp. AB1, Xenorhadus sp. AY1, Bacillus sp. AY6, Bacillus sp. BB2, Zymomonas sp. F4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0.1% galactose, 0.1% $NaNO_2$, 5 mM $Na_2HPO_4$가 포함된 배지에서 pH 5.5의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했을 때 길항물질 생산능이 매우 우수하였고, 이 배양액을 1톤 규모의 발효탱크에 접종하고 대량배양 후 복합 미생물제제로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의 액상 미생물제제는 경북 영천지역의 농가의 시험포장에서 3일 간격으로 3회 처리 해 본 포장시험에서 오이덩굴쪼김병, 방울토마토시드름병의 방제와 시금치잘록병의 방제 및 생육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 허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85-891
    • /
    • 1996
  • 전통발효 식품인 멸치 젓갈은 영양적 특성과 우수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한국적인 식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미식품 중의 하나이다. 멸치젓갈은 원료와 제조 기법상에 있어서 위생학적인 안정성과 함께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멸치 젓갈의 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상과 미생물의 분리 방법 그리고 최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추진해야 할 연구 방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멸치젓갈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세균속에서는 Bacillus sp., Pseudomonas sp., Pediococus sp. 및 Micrococcus sp. 등의 균속이 우세하며, 그 외 Vibrio sp., Clostridium sp., Serratia sp., Achromobacter sp., Streptococcus sp., Brevibacterium sp., Halobacterrium sp., Flavobacterium sp., Corynebacterium sp., Acinetobacter sp., Sarcina sp.와 Staphylococcus sp. 등이, 효모균속에서는 Torulopsis sp. 및 Saccharomyces sp. 등이 분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젓갈 제조 공정의 과학화와 제품의 균일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복합 미생물 중 우수균주를 유전자 조작으로 개량시켜 발효 및 숙성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최종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품질표준화를 위해서는 유용미 생물을 탐색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과 아울러 최종제품의 상품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위생학적인 관리로써 유통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호염성 세균의 생리적 특성

  • 송경숙;이정임;배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7.3-518
    • /
    • 1986
  • 국내 염장식품 및 염전으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호염성 세균의 NaCl 농도에 따른 성장범위, 생리적 및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했다. 염전으로부터 NaCl 20%배지에서 14주와 총 16종류의 젓갈류에서 NaCl 10% 배지로 56균주의 호염성 세균을 분리하여 0, 5, 10, 15, 20, 25% NaCl농도에서 성장률을 조사하고 최적온도 및 배지조성과 함께 동정에 필요한 생리실험을 하였다. 또한 세포의 효소로서 Lactate dehydrogenase, Glucokin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lanine dehydrogenase, Isocitrate dehydrogenase 등의 특성도 조사하였다. 선별한 균주중 Acinetobacter sp, 등이 관찰 조사되었으며 최적 성장 NaCl농도는 10%이고, 최적온도는 3$0^{\circ}C$이며, 25% NaCl, 45$^{\circ}C$에서 자란 Halobacterium sp. 등이 분리되었다. 그중 Acinetobacter strain H6는 단백분해효소와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생성능이 15>10>20% NaCl순이며, 특히 Lactate dehydrogenase 활성은 2>3>1>OM NaCl 순으로 나타났고, NaCl 대신 KCl을 사용했을 때는 3>2>1> OM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 PDF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에 의한 Halobacteria gvp 유전자의 역전사 및 증폭 (Reverse Transcription and Amplification of Halobacterial gvp Genes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 윤병수;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56-459
    • /
    • 1992
  • Halobacteria 의 gvpD. gvpE 유전자는 가스포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이들은 그 transcripts 의 분석에 있어 특유의 연약성 때문에 많은 실험상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본 실험은 연약한 mRNA 를 reverse transcriptase 를 사용, DNA 로 바꾸고 이를 다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증폭시킴으로써, 유전자의 연약한 mRNA 를 다시 상보적인 안정한 DNA 로 대치케 하여 RNA 상의 cloning, RNA sequencing 을 용이하게 하였다. 결과는 유전자 gvpD 에서 거의 전 ORF(Open Reading Frame) 의 범위에서 northern hybridization 에서 발견치 못한 transcipts 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