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lyu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자아일치성이 애착과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congruity with Hallyu Human Brand on Attachment and Brand Equity)

  • 김은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37-550
    • /
    • 2023
  • 본 연구는 한류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한류 휴먼브랜드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를 중심으로 한 학술적인 논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을 자아일치성, 휴먼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자산 요인으로 검증하였다. 한류 소비가 많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403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류 휴먼브랜드와의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은 한류 휴먼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간접적 한류체험의 국가이미지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angible attribute of Hallyu in China on Korean National Image)

  • 이지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3-98
    • /
    • 2020
  • 연구는 '콘텐츠 소비'의 관점과 '한국의 것에 대한 인식'관점에서 중국시장에서 간접적 한류 체험이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지역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7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간접적 한류체험에 대한 인식은 한국 국가 이미지와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가이미지는 후광효과로 제품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관심도는 한류의 전파에 의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단기간 내에 한국에 대한 네임 밸류(name value)를 높이는 결정적 계기될 수 있다. 한류의 주소비자로 부상하고 있는 링링허우(00後)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그들의 사회, 문화적 심리 요소와 특성을 잘 파악해서 세대별 차별화된 콘텐츠를 개발하고, 현지 마케팅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20대 이란 여성 소비자의 한류 상품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뷰티 제품과 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Hallyu Product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of Iranian Women in their 20s -Based on Beauty Products and Fashion Products-)

  • 신은정;이소영;김은경;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50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Iranian women in their twenties who purchased Hallyu beauty and fashion products. We conducted ten in-depth interviews of Hallyu enthusiasts who previously purchased Hallyu products. Interviewees were recruited using a snowball sampling technique based on nonprobability sampl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1:1 in-depth interview format for one hour of each interview from April 11, 2017, to May 14, 2017,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recorded with consent. Ou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women used seven steps of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used interviews to analyze the following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decision process for Iranian women's consumer products purchase?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ach stage of Iranian women's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was limited to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however,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future Hallyu and Iranian consumer analysis. A follow-up study should examine the purchasing decisions of women in additional age group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한류 이미지 활용에 대한 컬러링 게임 미적요소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oring Game Aesthetic by the Application of Hallyu Korean Wave Image)

  • 이준희;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65-570
    • /
    • 2020
  • 본 논문은 세계적으로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인 한류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콘텐츠와 한국브랜드의 상품들이 세계적으로 파생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디지털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선화 이미지들에 채색하는 기능성 컬러링 게임에 접목시키는 방향을 제안한다. 이용자들의 여가시간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한국형 디지털 융복합 기능성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해 상용화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컬러링 게임들에서 제공되는 선화 이미지 컷들을 비교, 분석하고 기존 컬러링 게임들에서 제공되지 않는 한류콘텐츠 이미지 활용 발전방향을 찾고자 한다. 기능성 컬러링 게임 안에 사용되어지는 이미지 컷들 속에서 차별화된 한류콘텐츠 이미지 컷 활용에 대한 요소들을 찾아 컬러링 게임의 미적요소 발전방향을 연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만의 미적요소를 살린 한류콘텐츠 연구들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며, 한국 게임 산업에서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를 이용한 기능성 게임과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 콘텐츠 요소들은 한국 대중문화 확산과 디지털 한류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The Digital & Glocal Strategy of CJ E&M for the Growth of Hallyu)

  • 권상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8-90
    • /
    • 2016
  • 문화콘텐츠 산업은 일반적으로 영화, 음악, 드라마, 디지털 사업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CJ E&M은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한류 콘텐츠의 확산을 위해 실험적인 시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실행해왔다.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사례 연구를 진행, 한류 확산을 위해 CJ E&M이 추진하고 있는 전략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CJ E&M의 전략적 방향성은 크게 두 가지, 디지털 사업과 현지 제작을 기반으로 한 글로컬 콘텐츠 제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CJ E&M은 디지털 플랫폼 사업과 현지 제작을 바탕으로 한 글로컬 콘텐츠 전략을 토대로 한류 확산과 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먼저, CJ E&M은 디지털 플랫폼 확장과 디지털 콘텐츠의 구축, 그리고 1인 콘텐츠 창작자에 대한 지원 등 디지털 사업 분야에서 실험적인 움직임을 선도적으로 실행해 왔다. 아울러, 해외 진출 시에는 각국의 현지 제작 인력들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공동 제작을 바탕으로 한류확산과 CJ E&M의 성장을 추구해왔다. 본 연구는 CJ E&M에 관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사업 전략과 글로컬 문화콘텐츠 제작의 우수한 성과가 한류 콘텐츠 증진과 기업의 지속적인 성과에 긍정적인 관계를 지닌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류문화 확산에 따른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수출확대방안 연구 (A Study of a Scheme on the Export Promotion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with the Spread of Hallyu Culture)

  • 이충배;이정민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2호
    • /
    • pp.79-98
    • /
    • 2006
  • With shifting the paradigm to digital economy, the digital industry becomes one of the national strategic industries. The digital industry has not only significant effects on forward and backward related industries but is also creating its own value. Furthermore, the effects of conversion with diverse product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adding value. Since the early 2000s, Korea's culture so called 'Hallyu' (Korean wave) has been spreading to neighboring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Hong Kong, Therefore we have a good opportunity to increase our competitivenes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using various base resources in conjunction with the spread of Hallyu culture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suggest several schemes to promote our exports of digital contents while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digital industry and addressing some problems and barriers to the export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There are several schemes to be proposed in order to promote Korean exports of digital contents, as follows: 1) to foster global digital contents, 2) to establish a supporting system, 3) to build a marketing and R&D center, 4) to operate a test-bed of digital contents and 5) to fund expenses such as marketing.

  • PDF

The Effect of Korean Wave (Hallyu) on the Music Industry

  • Woo-Jun JANG;Min-Ho, CHA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1호
    • /
    • pp.11-1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spond to essential queries regarding significant impacts the Korean Wave had on the music business especially in light of K-pop's explosive growth on the international scene and how to transform Hallyu into the global dynamics of the music business. Also, the study investigates what degree of cultural bridging through Music's universal language has Kpop achieved beyond its status as a purely musical gen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or the process of data collecting, the current investigators used a combination of keywords and controlled vocabulary terms to conduct in-depth searches across reputable academ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Keywords are significant in searching databases such that the desired articles can be sought out wiith the keywords "Korean Wave," "Hallyu," and "music industry,". Results: The investigators found the globalization of K-pop, diverse audience engagement, digital transformation, and cultural exchange through Music as four critical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the music business. Conclusion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As we end our investigation into Hallyu's effects on the music business, it is clear that Korean Music's cultural impact and international appeal have created new opportunities and particular difficulties for both professionals and artists.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Wave(Hallyu) : Impacts of the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 황인석;김봉;안성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0-150
    • /
    • 2008
  • 본 연구는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관점에서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한국 문화상품이란 한국 대중음악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한국 관광, 한국어, 한국 태권도를 의미한다. 결과에는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는 한류 호감도, 한국 호감도,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호감도는 한국 호감도의 매개를 거쳐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호감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 영향은 한계적으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Causes and implications of increased export of frozen dumplings

  • Hye-Jung Kang;Seyoon Oh;Chanho Sohn;Hanpil Moon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539-549
    • /
    • 2023
  • Domestic processed food exports might increase due to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spread of the Korean Wave, Hallyu. However, the share of the domestic raw materials in the domestic processed food industry is very low at 31.4%, which limits the spillover effect on domestic agriculture. Therefore, we selected frozen dumplings as a representative processed food whose exports are growing rapidly and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llyu and FTA variables on the frozen dumpling exports. We tried to link them to an increase in agricultural income through the expansion of demand for the domestic raw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ariff indicator as the FTA variable, cosmetics export value indicator as the Hallyu Wave variable, and other variables expected to change the trade environment such as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the relative exchange rate by country as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changes in the trade environ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re hypothesis, the Hallyu variable and the FTA variable, have a positive impact on frozen dumpling exports. Frozen dumpling exports are expected to increase as the FTAs and the spread of Hallyu are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foreseeable future. Therefore,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domestically produced ingredients in the frozen dumplings to spread the economic impact to domestic agriculture.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determined, the price-related factors play a major role in the use of imported ingredients, and that price stability and competitiveness are essential to increase the share of the domestically produced ingredients.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food industry-related policies and determined measures needed to expand the use of domestically produced ingredients.

한류의 확대에 관한 문화산업적 분석 -일본에서의 한류를 중심으로- (Dynamics of Cultural Industries in the Spread of Korean Wave: The Case of Korean Wave in Japan)

  • 장원호;김익기;김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95-707
    • /
    • 2012
  • 이 연구는 한류확산에 관한 기존의 내용분석적인 접근에 더하여 문화산업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한 사례로는 일본에서의 한류확산을 분석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한류의 제도화 측면에서 일본이 가장 두드러진 국가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류가 동아시아의 많은 국가에서 유행하고 있지만, 그것은 주로 특정 사회인구학적 집단, 대표적으로 젊은 여성 사이에서의 인기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일본은, 모든 연령과 성별에 있어 한류가 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한류가 가장 제도화된 국가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일본에서 한류가 정착하고 확산될 수 있었던 중요한 배경요인으로 한국에서의 일본대중문화개방을 비롯한 한일 간의 활발한 문화산업 교류를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과 일본의 문화산업적 배출요인과 흡입요인을 분석하였는데, 한국의 배출요인으로는 한국의 음반시장 축소와 방송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과정을 논의하였고, 일본의 흡입요인으로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음반시장과 위성방송출범과 관련된 방송산업의 재편을 분석하였다. 논문에서는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두 국가의 문화산업과 관련한 거시적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제시한 자료들이 문화산업적 모델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히 포괄적이지 못하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자료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향후 이러한 거시적 자료중심의 분석에 더하여 실제 문화산업 종사자들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미시적 분석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