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lasan National park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한라산 흑오미자의 자생환경 및 삽목증식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Environment and Cutting Propagation for the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Siebold & Zucc.) Radlk] in Halla Mountain)

  • 부재윤;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359
    • /
    • 2020
  • Background: The recent, decline in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BMV) native to Jeju Island, Korea,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causes of this decline. We investigated the native environment of S. repanda and evaluated its propagation through cutting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ts restoration in Jeju Island. Methods and Results: The native environment of the BMV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and the climatic variable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ex of the donor plant (male/female) type of cutting (softwood/hardwood), and treatment with a plant growth regulator (indole-3-butylic acid/rootone) on the rooting of BMV were investigated. Additinallly, the rooting rate, root count, and root length, as well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in the vinyl moist chambers. BMV was observed in 63 plants distributed from 567 m to 1,364 m above sea level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In the cutting experiment, the rooting rate was 71.9%, and it was higer in female plants (75.0%) than in male plants (68.8%). Conclusions: The mass propagation of BMV through cuttings valuable for its restoration as without such safeguard measures, the population could face extinction within a few decades.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영실탐방로의 해설표지판 분석 (An Analysis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along Eorimok-Yeongsil Trail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 고지희;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23-140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of interpretive signs along Eorimok-Yeongsil Trail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focusing on factors of distracting visitor's attention from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igns. Eorimok-Yeongsil Trail has a total of 86 signs, an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content, they are classified into thirteen general signs, sixteen location signs, nine safety signs and forty-eight interpretive signs. Interpretive signs provide visitors with information and explanations about the nature and human resources of Mt. Hallasan as well as enhancing the opportunity for self-guided interpretation. The contents of interpretive signs of Eorimok-Yeongsil Trail are composed of landscapes, flora and fauna, topography, geology, history and culture, of which 70.8% of the total are related to plants and animals. Interpretive signs on the Eorimok-Yeongsil Trail do not attract visitors' attention because of the low readability, inappropriate locations and frequent errors in translation from Korean into other languages. The causes of low readability of interpretive signs include thirty-six physically damaged and faded signs, twenty-two improper font sizes and misuse of color schemes and five unclear description signs. The reasons for the incorrect locations include twenty-two long distances from the trails, twenty-one inadequate heights and fifteen inconsistencies in descriptions and locations. Problems with English use include eight grammar and spelling errors, twenty-one incorrect translations, and twenty-six English names missing.

주목(Taxus cuspidata)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Taxus cuspidata Populations)

  • 전영문;홍문표;이나연;서은경;이승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3-131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 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 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VERP 모델을 이용한 한라산국립공원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arrying Capacity Indicator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VERP model in Hallasan National Park)

  • 권헌교;신원섭;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08-516
    • /
    • 2010
  •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적정 이용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의 적정 수용력 관리에 필요한 영향지표 및 평가기준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8개의 영향지표(계곡수질, 탐방객 수, 탐방로 훼손정도, 혼잡 등)를 선정하였으며, 각 영향지표별 현지 조사를 통해 실험적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VERP 모델을 이용한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은 자원 및 탐방행태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국립공원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통합 데이터 관리 및 활용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업무수행을 지원한다.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현황과 관리방안 (The Current Number of Its Individuals and Management Plan of Roe Deer(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Inhabiting Mt. 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병수;오장근;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6-373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km^2$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km^2$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산국립공원에서의 탐방객 이용행태와 이용.관리속성에 대한 태도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 the Use and Managerial Attribute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박재봉;김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6-133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국립공원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탐방객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탐방객 관련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한라산국립공원의 주 이용거점인 어리목과 영실에서 공원탐방을 마치고 귀가하는 237명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의 전체적인 만족도 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의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범위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을 둘러싼 다양한 관리환경요소로부터 추출한 속성들에 대한 응답 경향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나 한라산국립공원의 관리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생시설 부족과 청결 상태, 자연자원과 문화자원의 훼손문제, 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부담 등의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탐방객 서비스 개선 차원에서 특히 공원 관리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분야로 판단된다.

제주도 한라산 나비군집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Butterfly Communities inhabited of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도성;박성준;김동순;조영복;이영돈;안능호;김기경;서홍렬;차진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7-704
    • /
    • 2014
  • 제주도 한라산은 나비 학자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지로 남방계와 북방계의 나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선조사법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구간별 나비군집과 유사도를 분석하고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도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5과 26종 3,397개체의 나비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상위 4종(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먹그늘나비, 조흰뱀눈나비)가 2,578개체(7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한라산의 나비는 초지대에서 서식하는 특정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나비 유사도는 교목층의 수관부와 열린 초지대와 같은 단일경관지역보다는 수관부와 열린 초지 공간이 함께 있는 지역에서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도별 나비분포는 해발 1,665~1,700m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관찰되어 한라산 백록담 아래에 형성된 열린 초지공간이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다. 또한 아고산대에 서식하던 종들은 고도가 좀 더 높은 쪽으로 이동하고 낮은 지역에 서식하던 종들이 새롭게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