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la mountain reg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한라산 지역 용천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Halla Mountain Region, Cheju Island)

  • 윤정수;박상운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92
    • /
    • 2000
  • 본 연구는 한라산 지역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9개 용천수에 대한 고도별 수질특성과 그 진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조사 지역 9개 용천수의 수질분석결과 관음사용천수는 수소이온 농도에서 비정상적인 수질특성을 보였다. 해발고도 1000m 이하에 위치하는 영실, 남국선원, 성판악, 어리목 및 관음사용천수에서는 염소이온, 황산이온, 질산성질소 및 나트륨이온 함량이 높아 주변 육상오염원들에 의해 오염이 진행 중인 용천수로 분류된다. 중탄산이온, 황산이온 및 수소이온 농도는 강수량이 많았을 때 그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염소이온, 칼슘이온 및 질산성질소 농도는 강수량이 많았을 때 그 농도가 감소하였고, 마그네슘이온, 나트륨이온 및 전기비전도도 농도는 강수량의 영향이 미미하였다. 한라산 용천수는 백록담 담수와 윗세오름용천수를 제외한 전 용천수가 나트륨 또는 칼륨형(sodium or potassium type)과 중탄산형(bicarbonate type)의 용천수군으로 구분된다.

  • PDF

제주도 용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Cheju Island)

  • 윤정수;박상운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6-79
    • /
    • 1998
  • 본 연구는 제주도 백록담 담수호에서 해안변 용천수에 이르는 고도별로 대표적인 55개 용천수에 대한 지역적 수질특성과 그 진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조사지역 55개 용천수의 수질분석 결과 관음사물은 수소이온농도에서, 유수암천, 장수물, 덕지샘물, 신촌큰물, 영천사, 운량천, 하원통물, 동해물, 색달생수, 안덕계곡, 화순곤물, 돗물, 화강물, 정금물은 주변 육상오염원들에 의해서, 삼양제3수원, 신촌큰물, 명법사, 서느렁물, 토산물, 정금물, 곽지물, 애월하물, 고내물, 녹고물은 해수침입에 의해 오염이 진행중인 용천수들로 분류되었다. 용천수내의 전기전도도, pH, 질산성질소, 중탄산이온은 강수량이 많았을 때 그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나트륨, 염소이온, 황산이온은 강수량이 많았을 때 그 농도가 감소하였고, 칼륨과 마그네슘, 칼슘은 영향이 미미하였다. Piper의 삼각다이어그램을 통한 조사지역 용천수의 수질특성을 보면 고산지역은 Sodium or Potassium type과 bicarbonate type의 군을 이루었고, 중산간지 역은 Sodium or Potassium type과 No dominant type의 군을 형성하였으며, 저지대지역은 No dominant type과 Sulfate or Nitrate type의 군을, 해안지역은 Sodium or Potassium type과 Chloride type 및 No dominant type의 복잡한 용천수군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제주도 용천수는 해발고도가 높은 고산 및 중산간지역에서는 bicarbonate type이 우세한 수질조성에서 저지대 및 해안지역으로 유동되면서 non-bicarbonate type 형태의 수질로 변질되어가고 있었다.

  • PDF

제주도 한라산조면암의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athering Characteristic of Baeknokdam Trachyte in Jeju Island)

  • 이창섭;조태진;이상배;원경식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235-251
    • /
    • 2007
  • 한라산 정상부의 백록담 암체는 백록담조면현무암이 분포하는 동측구역과 한라산조면암이 분포하는 서측구역으로 구분된다. 백록담에서 진행되는 풍화, 암벽붕괴, 낙반은 전반적으로 백록담 서측구역에 분포하는 한라산 조면암의 풍화작용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동측구역에서는 개별 암석 블록들의 국지적 붕락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조 면암 분포지역의 지질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풍화단계별로 조면암 시료를 채취하여 편광현미경분석, X-선 회절분석, 전자현미경관찰, 지화학분석, 공학적 물성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의거하여 한라산조면암의 광물 암석학적 특성변화, 화학적 특성변화와 물리적 특성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백록담을 구성하는 조면암체의 풍화특성과 원인을 조사하여 풍화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제주도 지역별 대용량 태양광발전소들의 여름 피크타임 기여도 연구 (Contribution of Large-Scale PV Plants in the Respective Region of the Jeju Island to Electric Power during Summer Peak Times)

  • ;고석영;사공준;권훈;이개명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2호
    • /
    • pp.1873-1878
    • /
    • 2017
  • Both the introduc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RPS) system into the electric energy market in 2012 and a decrease in the cost of constructing photovoltaic (PV) power plants have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MW PV plants in South Korea. Jeju Isl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ree nation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provincial government declared in 2012 that the island will be a clean region where greenhouse gases are not emitted by 2030.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is now doing its best to install PV plants and wind farms to realize a carbon-free isla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ontribution of MW PV plants to the power of the electric grid during summer peak times on Jeju Island. Mt. Halla the highest mountain in South Korea, is located at the center of Jeju Island, and we divided the island into four regions and carried out analyses of a total of 24 PV plants. The average contribution of the PV plants in the respective region to electric power of Jeju Island during summer peak tim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regions. The best average contribution during the 12.5% maximum load period was obtained from the PV plants in the western region, and the value was 33% during 2015 and 2016.

GIS 기반 하천경사 산정 및 하천망에 따른 표출 방식 개발 (Development of GIS-based Method for Estimating and Representing Stream Slopes Along the River Network)

  • 유호준;김동수;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5-738
    • /
    • 2012
  • Recently, a variety of GIS-based tools enabling to generate topographic parameters for hydrologic and hydraulic research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of GIS-based tools are usually insufficient to estimate and visualize river channel slopes especially along the river network, which can be possibly utilized for many hydraulic equations such as Manning's formula. Many existing GIS-based tools have simply averaged cell-based slopes for the other advanced level of hydrologic units as likely as the mean watershed slope, thus that the river channel slope from the simple approach resulted in the inaccurate channel slope particularly for the mountain region where the slope varies significantly along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paper aims to provide several more advanced GIS-based methodologies to assess the river channel slopes along the given river network. The developed algorithms were integrated with a newly developed tool named RiverSlope, which adapted theoretical formulas of river hydraulics to calculate channel slopes. For the study area, Han stream in the Jeju island was selected, where the channel slopes have a tendency to rapidly change the upstream near the Halla mountain and sustain the mild slope adjacent to watershed outlet heading for the ocean. The paper compared the simple slope method from the Arc Hydro, with other more complicated methods. The results are discussed to decide better approaches based on the given conditions.

Effects of Sasa borealis silage on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fresh meat of Korean native goat fed with total mixed ration

  • Young-Jin Choi;Sang Uk Chung;Na Yeon Kim;Mirae Oh;Se Young Jang;Young Sik Yun;Sang Ho Mo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7
    • /
    • 2023
  • Jeju Sasa borealis (S. borealis) is indigenous to the Halla Mountain area of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However, its dominance has retarded the development of other plant species and lowered biodiversity in this reg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 borealis silage (SS) supplementation affect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fresh meat of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coreana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2 Korean native goats at the finisher stage. The feeding groups were the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and the Treatment (80% TMR + 20% SS). The animals were adapted for two weeks and then subjected to a six-month breeding experiment. Meat samples were excised from the neck, loin, rib, front leg, and hind leg of the slaughtered animals. The meat derived from the treatment group contained more taurine and anserine than that derived from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erms of ω-6/ω-3 fatty acid ratio. The loin and front leg of the treatment group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vitamin E level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PPH, ABTS, and FRAP analyses disclosed that the loin and front leg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p<0.05) than the other parts. Moreover, the loin and front leg cuts of the treatment group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 borealis supplementation could effectively improve Korean native goat meat quality.

산악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유형과 요인 (Typology of Deteriorated Hiking Trails in Mountain National Parks of Korea)

  • 김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6-431
    • /
    • 2011
  • 지리산과 한라산을 대상으로 산악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유형을 요인별로 조사하였다. 등산로 훼손은 침식프로세스가 진행되는 장소에 따라 노면 저하, 측벽 후퇴, 노면 확대 및 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노면 저하와 측벽 후퇴가 주로 자연적인 침식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훼손 유형인 반면 노면 확대 및 분기는 인위적인 답압으로 발생하는 훼손 유형이다. 노면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탁월한 프로세스는 우세이며, 측벽 후퇴는 등산로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우세, 서릿발작용, 취식, 도목, 동물작용 등 탁월한 프로세스가 달라진다. 노면 확대 및 분기는 탑압을 일으키는 원인에 의해 유형화할 수 있다. 지표류에 의해 등산로 노면이 낮아지는 과정에서 드러난 나무뿌리, 자갈 및 암반과 국지적인 세굴로 인하여 노변에 만들어진 높낮이차 등 우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훼손 사례가 많다. 또한 평탄면 등산로에서는 물웅덩이, 산림지대의 등산로에서는 천근성 수목인 구상나무의 도목이 노면 확대 빛 분기의 주요 원인이 된다. 돌깔기 공법처럼 노변 보호공법이 오히려 등산객의 등산로 이탈을 조장하기도 하며, 보행에 불편을 주는 요소가 없더라도 등산객이 지름길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면 확대 및 분기가 발생할 수 있다.

  • PDF

제주도 지하수 수질의 광역적 추세 특성 분석 - 염소 및 질산성질소를 대상으로 - (Regional Trend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in Jeju Island - Focusing on Chloride and Nitrate Concentrations -)

  • 김규범;김지욱;원종호;고기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469-483
    • /
    • 2007
  • 질산성질소와 염소이온은 지하수에서 흔히 나타나는 항목으로서 농약의 사용이나 도시화 등에 의하여 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지점의 지하수 수질 자료는 관측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샘플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추세 평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수계의 분포 특성, 저지대의 낮은 지형 경사, 수리적 특성 및 다공질 지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500m{\times}500m$ 간격의 격자를 작성하고 격자내에 포함된 수질검사 자료를 모두 취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형성한 후 Sen의 방법을 활용한 수질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염소이온 농도의 경우에는 추세평가 대상 격자의 10.6%, 질산성질소의 경우에는 22.4%가 1990년대 상반기에서 2000년대 초까지 상향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산성 질소의 상향 추세는 서부 및 남부의 하부 중산간 지역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간은 원인은 1990년대 이후의 중산간 인근 지역의 개발에 따른 도시화 등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도 지역의 지하수 관리 정책은 중산간 지역의 수질 변화와 토지이용 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