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ichondria okada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산 해면류중의 항균, 항곰팡이 물질에 관한 연구 (Studied on the Antibacterial, Antifungal Components in Some Korean Marine Sponges)

  • LEE Jong-Soo;KIM In-Soo;MOON Soo-Kyung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3-202
    • /
    • 1991
  • 4종류의 남해안 해면 Galichondria sp., H. okadai, H. japonica 및 Haliclona permollis 중의 항균, 항곰팡이 물질을 paper disk plate법으로 검색하였다. 항균물질은 4종류의 해면에 모두 존재하였으나 항곰팡이 물질은 Halichondria sp.와 H. okadai의 $CH_2Cl_2$와 BuOH구에만 나타났다 이들 두 종류의 해면(184kg)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각종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 후 핵자기공명 및 질량분석 등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benzoic acid, okadaic acid(OA), dinophysistoxin-1(DTX1)의 3성분을 항균, 항곰광이 물질로 동정하였다. 한천 배지상에서의 OA및 DTX1의 미생물 생육저지능력은 비슷하였으며 특히 곰팡이에 대하여 저지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9-Anthryldiazomethane(ADAM)을 이용한 형광 HPLC법을 개발하여 해면중의 OA 및 DTX1을 분석한 결과 이들 성분은 H. okadai 및 Halichondria sp. 에만 존재하였다. 또한, 이들 두 종류의 해면중의 함량은 습중양 1kg당 OA가 $550{\~}600{\mu}g,\;DTX1$$400{\~}490{\mu}g$이었다.

  • PDF

南韓의 海産 海綿動物의 分類 (I) (Marine Sponges in South Korea (I))

  • Kim, Hoon-Soo;Park, Boon-Jo;Sim, Chong-J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7-47
    • /
    • 1968
  • 著者들이 1956年부터 1967年까지의 其間에 南韓의 海岸一帶에서 採集한 海綿動物을 同定分類한 結果 다음과 같이 10科 14屬 17種을 얻었다. 17種中 Halichondria japonica Kadota 以外의 16種은 韓國未記錄種이다. Family Haliclonidae: 1. Haliclona permollis; Family Callyspongiidae: 2. Callyspongia elegans, 3. C. ramosa, 4. Ceraochalina differentiata; Family halichondriidae: 5. Halichondria japonica, 6. H. okadai, 7. H. oshoro, 8. H. panicea; Family Suberitidae: 9. Suberites ficus; Family Myxillidae: 10. Myxilla setoensis, 11. Lissodendoryx isodictyalis; Family Ophlitaspondiidae: 12. Ophlitaspongia noto, 13. Mycale plumosa; Family Ancorinidae: 14. Penares incrustans; Family Tethyidae: 15. Tethya japonica; Family Grantiidae: 16. Leucandra tuba; Family Heteropiidae: 17. Vosmaeropsis japonica.

  • PDF

검정해면으로부터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의 분리 동정 및 항균물질의 구조 (Identification of an Actinomycetes Strain, MSA-1, Originated from Sponge, Halichondria okadai, and its Antimicrobial Component)

  • 이종수;최종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6-522
    • /
    • 1998
  • 검정해면 (Halichondlia okadai)에 공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항균성을 가진 방선균주를 분리하여 SEM, 형태학적, 화학 분류학적 방법에 의하여 균주를 동정하였으며, 이 균주를 marin broth 2216 배지에서 대량 b배양하여 균사체로부터 항균물질을 각종 HPLC에 의하여 분리하고 X선 결정 구조 해석. MS, NMR spectrum에 의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ISP 2 배지에서 $30^{\circ}C$, 7일간 배양 결과, 기질균사는 갈색을 띄었고 그 위로 ivory색의 기중균사를 형성하였다. spore chain은 flexibilis로서 10개 이상의 oval 형의 포자가 사슬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표면은 smooth하였다. 한편. 화학적 특성으로는 L-form의 DAP를 가지며 특징적인 당이 없는 cell wall type I 이었고. 인지질은 PII형 이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iso-14 : 0, anteiso-15 : 0, iso-16 : 0, 16 : 0 및 iso-17:0 이었다. 이들 결과와 Bergey's Manual에 의해 이 균주는 Strptomyces sp.로 동정하였다. 대량 배양한 동결 건조 균체 70g으로 부터 10mg의 연한 노란색의 항균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질량 분석에서 이 물질의 분자량은 466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benzene-acetone 용매중에서 결정화하여 X선 결정 구조 해석을 행한 결과 indolo[2,3-a]carbazole alkaloid의 staurosporine 으로 판명되었으며 proton 및 carbon NMR data도 이와 잘 일치하였다.

  • PDF

Sponge-Specific Unknown Bacterial Groups Detected in Marine Sponges Collected from Korea Through Barcoded Pyrosequencing

  • Jeong, Jong-Bin;Kim, Kyoung-Ho;Park, Jin-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5
  • The bacterial diversity of 10 marine sponges belonging to the species Cliona celata, an unidentified Cliona species, Haliclona cinerea, Halichondria okadai, Hymeniacidon sinapium, Lissodendoryx isodictyalis, Penares incrustan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collected from Jeju Island and Chuja Island was investigated using amplicon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s. The microbial diversity of these sponges has as of yet rarely or never been investigated. All sponges, except Cliona celata, Lissodendoryx isodictyalis, and Penares incrustans, showed simple bacterial diversity, in which one or two bacterial OTUs occupied more than 50% of the pyrosequencing reads and their OTU rank abundance curves saturated quickly. Most of the predominant OTUs belonged to Alpha-, Beta-, or Gammaproteobacteria. Some of the OTUs from the sponges with low diversity were distantly (88%~89%) or moderately (93%~97%) related to known sequences in the GenBank nucleotide database.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many of the representative sequences of the OTUs were related to the sequences originating from sponges and corals, and formed sponge-specific or -related clades. The marine sponges investigated herein harbored unexplored bacterial diversity,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to understand the microbes present in spo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