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segment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자동 임계점 탐색 알고리즘과 통계적 투영 분석을 이용한 얼굴 분할 (Face seqmentation using automatic searching algorithm of thresholding value and statistical projection analysis)

  • 김장원;이흥복;김창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874-1884
    • /
    • 1996
  • In this paper, we proposed automatic searching algorithm of thresholding value using multilevel thresholding for face segmentation from input bust image effectively.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ed the thresholding value of brightness that is formed background region, face region and hair region without illumination, background and face size from input image. The statistical projection analysis project the brightness of multilevel thresholding image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nd decide the thresholding value of face. And the algorithm extracted elliptical type block of face from input image in order to reduce the back ground region and hair region efficiently.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duce searching area of feature extraction and processing time for face recognication.

  • PDF

Improved STGAN for Facial Attribute Editing by Utilizing Mask Information

  • Yang, Hyeon Seok;Han, Jeong Hoon;Moon, Young Sh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머리카락과 모자 영역의 마스크 정보를 활용하여 더 자연스러운 얼굴 속성 편집(facial attribute editing)을 수행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최신 얼굴 속성 편집 연구인 STGAN은 다중 얼굴 속성을 자연스럽게 편집하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머리카락과 관련된 속성을 편집할 때 부자연스러운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의 핵심 아이디어는 기존 모델에서 부족했던 얼굴 영역의 정보를 모델에 추가로 반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아이디어를 적용한다. 첫째로 마스크를 통해 머리카락 면적 속성을 추가하여 머리카락 정보를 보완한다. 둘째로 순환 일관성 손실(cycle consistency loss)을 추가하여 영상의 불필요한 변화를 억제한다. 셋째로 모자 분할 신경망을 추가하여 모자 영역 왜곡을 방지한다. 정성적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 적용 여부에 따른 유효성을 평가 및 분석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머리카락 및 얼굴 영역을 더 자연스럽게 생성하고, 모자 영역의 왜곡을 성공적으로 방지했다.

패션잡지 마케팅 전략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동연구 (A Study on Consumer Behaviors by Types of Lifestyle for Fashion Marketing Strategy)

  • 김칠순;이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00-150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aged 15-25. Also it was to measure brand awareness, to determine purchase criteria in fashion magazine, and to determine promotion pre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segmentation variables. We distributed 600 questionnaires and 475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statical analysi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program on the frequency mean value, Chi-square test,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 classified four clusters such as individual style seekers, trend seekers, promotion/good appearance seekers, and low fashion interest group, based on lifestyl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awareness in Vogue Girl, Cosmo Girl, Elle, Figaro, Ecole magazine among four clust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purchase criteria as favorable cover models, good "burok" which is a magazine supplement, brand names, and price among four clust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OVA represen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types of promotion such as discount price, clothing gifts, fashion accessary gifts and hair tool gifts. However, the first ranked preferred one was a cosmetic gift in all the magazines, which favored more by trend seeker group.

단안 영상에서 인간 오브젝트의 고품질 깊이 정보 생성 방법 (High-Quality Depth Map Generation of Humans in Monocular Videos)

  • 이정진;이상우;박종진;노준용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14
  • 단안 영상에서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변환한 결과물의 품질은장면의 물체들에게 부여한 깊이 정보의 정확도에 의존적이다. 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장면의 물체들의 깊이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노동집약적인 작업이다. 특히, 높은 자유도를 가진 관절형 물체인 인간의 몸은 고품질 입체변환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물체 중에 하나이다. 다양한 스타일의 옷, 액세서리, 머리카락들이 만드는 매우 복잡한 실루엣은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안 영상에 나타난 인간 오브젝트의 고품질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적은 수의 사용자입력을 기반으로 3 원 템플릿 모델을 순차 관절 각도 제약을 가진 자세 추정 방법을 통해서 영상에 등장하는 2차원 인간 오브젝트에 정합한다. 정합된 3차원 모델로부터 초기 깊이 정보를 획득한 뒤, 컬러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기반으로 한 부분 깊이 전파 방법을 통해 세밀한 표현을 보장하며 누락된 영역을 포함하는 최종 깊이 정보를 생성한다. 숙련된 아티스트들의 수작업 결과물과 제안된 방법의 결과물을 비교한 검증 실험은 제안된 방법이 단안 영상에서 동등한 수준의 깊이 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