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Loss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3초

Ginsenoside Re prevents 3-methyladenine-induced catagen phase acceleration by regulating Wnt/β-catenin signaling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 Gyusang Jeong;Seung Hyun Shin;Su Na Kim;Yongjoo Na;Byung Cheol Park;Jeong Hun Cho;Won-Seok Park;Hyoung-June Ki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440-447
    • /
    • 2023
  • Background: The human hair follicle undergoes cyclic phases-anagen, catagen, and telogen-throughout its lifetime. This cyclic transition has been studied as a target for treating hair loss. Recently, correlation between the inhibition of autophagy and acceleration of the catagen phase in human hair follicles was investigated. However, the role of autophagy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 which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hair follicles, is not known. We hypothesized that acceleration of hair catagen phase upon inhibition of autophagy is due to the downregul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in hDPCs, and that components of Panax ginseng extract can increase the autophagic flux in hDPCs. Methods: We generated an autophagy-inhibited condition using 3-methyladenine (3-MA), a specific autophagy inhibitor, and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Wnt/β-catenin signaling using the luciferase reporter assay, q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cells were cotreated with ginsenoside Re and 3-MA and their roles in inhibiting autophagosome forma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We found that the unstimulated anagen phase dermal papilla region expressed the autophagy marker, LC3. Transcription of Wnt-related genes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β-catenin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of hDPCs with 3-MA.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combination of ginsenoside Re and 3-MA changed the Wnt activity and hair cycle by restoring autophag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autophagy inhibition in hDPCs accelerates the catagen phase by downregulating Wnt/β-catenin signaling. Furthermore, ginsenoside Re, which increased autophagy in hDPCs, could be useful for reducing hair loss caused by abnormal inhibition of autophagy.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모발 및 두피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Changes of Hair and Scalp Characteristics by Keratin Peptide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3-3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를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두피 및 모발에 관련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모유두 세포주에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 독성 및 증식을 살펴본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증식에도 효과가 없었다.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 샴푸, 헤어 에센스를 제조하여 인체 첩포 시험을 거쳐 무자극을 확인하였다. 30 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샴푸 및 에센스를 2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한 결과, 육안평가에서 윤기, 탈모, 두피 트러블, 푸석거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피 수분량은 샴푸와 에센스 사용 전 대비 2,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두피에 대한 경피수분손실양은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두피 피지량 역시,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 손상 모발을 이용한 헤어 샴푸와 에센스의 사용 전후의 빗질에 의한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 사용 전 대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증가하였고, 손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케라틴 펩타이드는 모발 및 두피 관련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하였다.

탈모 환자에서 동규자(冬葵子)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앰플의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Hair Ampoules Containing Malva Verticillata Seed Extract in Subject with Alopecia)

  • 송영채;박빛으로;김태준;김용민;이상준;안수현;이춘몽;이광식;이정노;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7-57
    • /
    • 202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hair Ampoules with Malva Verticillata Seed Extract in alopecia patients. Methods : This 24-week clinical study enrolled 70 patients with Alopecia. A series of clinical examinations, subjects were evaluated at 0, 8, 16 and 24-week, counting of the number of hairs on the crown, and subject survey after using the Ampoules. Results : The clinical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p<0.05) after 24 weeks of product use compared to the baseline in the change in hair count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in and between groups. It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hair count, hair thickness, and hair loss symptoms in the top of the head and forehead. No severe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during the clinical trial. Counclusions : This suggests that this hair ampoules containing Malva Verticillata Seed Extract could help prevent hair loss in alopecia patients without inducing side effects.

콜라겐을 첨가한 퍼머넌트웨이브제의 개발 (The Study of Development of permanent wave for Additives of Collagen)

  • 이하나;조희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277-32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의 처방이 퍼머넌트웨이브 시술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모에 콜라겐을 농도별 처방한 퍼머넌트웨이브제로 퍼머넌트웨이브를 시술한 후 모발에 컬의 형성력, 굵기 관찰, 인장 강도, 메틸렌블루 흡광도, 수분 감소량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퍼머넌트웨이브제의 콜라겐 처방 여부에 따라 모발의 굵기, 모발의 인장강도, 모발의 수분 감소량, 흡광도가 처방하지 않은 환원제에 대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처방된 콜라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발의 손상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콜라겐의 농도의 크기가 커질수록 퍼머넌트웨이브 시술시 컬의 형성력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퍼머넌트웨이브 시술시 모발의 손상도를 줄이기 위한 콜라겐 처방 농도는 2%가 적당하였다.

Regulatory Effect of Cannabidiol (CBD) on Decreased β-Catenin Expression in Alopecia Models by Testosterone and PMA Treatment in Dermal Papilla Cells

  • Park, Yoon-Jong;Ryu, Jae-Min;Na, Han-Heom;Jung, Hyun-Suk;Kim, Bokhye;Park, Jin-Sung;Ahn, Byung-Soo;Kim, Keun-Cheo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8-75
    • /
    • 2021
  • Objectives: The hair follicle is composed of more than 20 kinds of cells, and mesoderm derived dermal papilla cells and keratinocytes cooperatively contribute hair growth via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We are to investigate β-catenin expression and regulatory mechanism by CBD in alopecia hair tissues and dermal papilla cells. Methods: We performed structural and anatomical analyses on alopecia patients derived hair tissues using microscopes. Pharmacological effect of CBD was evaluated by β-catenin expression using RT-PCR and immunostaining experiment. Results: Morphological deformation and loss of cell numbers in hair shaft were observed in alopecia hair tissues. IHC experiment showed that loss of β-catenin expression was shown in inner shaft of the alopecia hair tissues, indicating that β-catenin expression is a key regulatory function during alopecia progression. Consistently, β-catenin expression was decreased in testosterone or PMA treated dermal papilla cells, suggesting that those treatments are referred as a model on molecular mechanism of alopecia using dermal papilla cells. RT-PCR and immunostaining experiments showed that β-catenin expression was decreased in RNA level, as well as decreased β-catenin protein might be resulted from ubiquitination. However, CBD treatment has no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cluding β-catenin, but the decreased β-catenin expression by testosterone or PMA was restored by CBD pretreatment, suggesting that potential regulatory effect on alopecia induction of testosterone and PMA. Conclusion: CBD might have a modulating function on alopecia caused by hormonal or excess of signaling pathway, and be a promising application for on alopecia treatment.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탈모 환자 사례 보고 (A Case Study on the Use of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in Patients with Alopecia)

  • 박정미
    • 셀메드
    • /
    • 제13권3호
    • /
    • pp.10.1-10.3
    • /
    • 2023
  • Objective: A case report on alopecia improvement using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Methods: A 78-year-old Korean female, in which her quality of life has deteriorated due to severe longterm hair loss on the crown and forelocks. Results: Symptoms of alopecia improved after nutritional therapy Conclusion: Nutritional therapy can help to promote hair growth and increase hair thickness for patients who exhibit symptoms of alopecia.

Biological Assessment of Blasting Noise and Vibration in Residential Area: I. Damage of Residents and Dogs

  • Choi, Won-Chul;Seo, Seok-Jin;Son, Joo-Young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2호
    • /
    • pp.123-133
    • /
    • 1998
  •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the noise level was between 60 dB and 80 dB in the area of explosion. The residents living within 1 Km would feel uncomfortable. However, hearing loss is not happened by this range. The maximum range that the human can hear is 20,000 Hz and the maximum range that the dog can hear is between 20 Hz and 40,000 Hz. The auditory range for humans to be uncomfortable toward noise is between 1,000 Hz and 2,000 Hz.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auditory range of dog is more wide than of a human. The change of hair cells in the Corti's organ occurred when the dog was exposed to 1,000 Hz at 100 dB for 1 month. Therefore, the structure change of the ear could happen by hearing loss because of noise, but the structure change of hair cells is the worst symptom by hearing loss because of noise.

  • PDF

경구용 생약 복합 조성물과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복합 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Oral Herbal Composition and Topical Hair Tonic on Hair Growth in C57BL6 Mice)

  • 전희영;김승훈;신현정;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57-2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경구용과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병용 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C57BL/6 model을 이용하여 검은콩을 포함한 경구용 생약 복합 조성물과 탈모 방지 의약외품의 주요 효능 조성물로 구성된 경피용 육모 조성물의 복합사용에 따른 육모 상승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경구용 생약복합물을 섭취하거나 경피용 외용제외 도포하였을 때 성장기 모낭을 유도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상승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승 효과는 외용제에서 나타나지 않은 경구제의 혈액 지표 개선 효과가 두 방법을 복합 사용할 경우 더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경구제와 외용제의 병용에 따른 상승 효과를 확신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5{\alpha}$-reductase를 비롯하여 탈모의 원인이 되는 다른 지표들의 변화를 평가하고, 이러한 효과가 인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도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특이적인 효과가 아님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질을 이용한 평가가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간 막연하게 사용하였던 경구제와 외용제의 복합적인 사용이 기전적으로 구분되어 상승 효과를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모 치료법의 적절한 병용을 통하여 보다 나은 탈모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기판을 이용한 대역통과필터 비교 (Comparison of Band Pass Filter Performance Using Liquid Crystal Polymer Substrate in Millimeter-Wave Band)

  • 오연정;이재영;최세환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9-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헤어핀 타입과 인터디지털 타입 두 종류의 대역통과필터(BPF)를 LCP(Liquid Crystal Polymer)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두 종류의 기판을 이용하여 설계 하고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BPF의 통과 대역은 26.5 GHz~27.3 GHz 대역이며, 필터의 차수는 3차로 선택하였다. 제안된 BPF의 성능 비교는 기판 종류와 타입에 따른 대역폭(Bandwidth)과 통과 대역 내 삽입손실(Insertion Loss)과 평탄도(in-band Flatness) 등을 비교하였다. S21이 -3 dB가 되는 대역폭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된 4 개의 BPF 중 PTFE 기판에 설계된 인터디지털 타입이 7.8 GHz로 가장 넓게 설계되었으며, LCP 기판에 설계된 헤어핀 타입 BPF가 4.2 GHz로 가장 협소한 대역폭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과 대역 내 삽입손실은 PTFE 기판에 설계된 헤어핀 타입 BPF가 -0.667 dB 이상으로 가장 우수하고 LCP 기판에 설계된 헤어핀 타입 BPF가 -0.937 dB 이상으로 가장 낮았으나, 0.27 dB의 근소한 차이임을 확인했다. 통과 대역 내 평탄도의 경우 PTFE 기판에 설계된 인터디지털 타입 BPF가 0.017 dB로 가장 우수하였고, LCP 기판에 제작된 헤어핀 타입이 0.07 dB로 가장 낮았으나 0.053 dB의 근소한 차이였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LCP 기판을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는 PTFE 기판을 이용한 대역통과필터와 비슷한 성능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