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eundae Beach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단면천이특성(斷面遷移特性)에 관한 해석적(解析的) 연구(硏究)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eformation of HAEUNDE Beach Profiles)

  • 양윤모;함계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9-18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Sackin, M.J. 와 Merriam, D.F. (1969) 등(等)이 암석(岩石) 및 광물(鑛物)의 구성상태변화(構成狀態變化)를 파악(把握)하기 위해 사용(使用)한 Transition Matrices의 해석방법(解析方法)을 이용(利用)하여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천이특성(遷移特性)을 파악(把握)할 목적(目的)으로 현장실측자료(現場實測資料)를 토대로 확정(確定)된 천이(遷移)모델의 천이특성(遷移特性)인 특정사빈(特定砂濱)의 출현빈도(出現頻度) 및 그 기여율(寄與率)을 구(求)하였다. 또 실제(實際)의 사빈변화(砂濱變化)가 계절적(季節的)인 순환특성(循環特性)을 보이면서 파랑(波浪)에 응답(應答)하는 시문(時問)과 공간(空間)의 복합적(複合的)인 요소(要素)들을 분리(分離)하여 선형함수(線型函數)의 조합(組合)으로 분석(分析)하고자 Winant, Inmann 그리고 Nordstorm(1975) 등(等)에 의해 제시(提示)된 Empirical Eigenfunction을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변형해석(變形解析)에 적용(適用)하여 변형원인(變形原因)에 관한 인자(因子)의 규명(糾明)을 시도(試圖)하였으며 분석결과(分析結果) 요지(要旨)는 다음과 같다. (1)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의 천이특성파악(遷移特性把握)이 Transition Matrices 전개해석방법(展開解析方法)으로 가능(可能)하였다. (2) 적용(適用)된 경험적(經驗的) 고유함수(固有函數)의 전개결과(展開結果)에 의하여 해운대사빈(海雲臺砂濱) 전체(全體)의 시간(時間) 및 공간적(空間的) 변형(變形)에 대한 설명(說明)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표층퇴적물 및 표사수지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계절별 표사 이동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ediment Transport in Haeundae Beach)

  • 이종섭;탁대호;윤은찬;김석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7-556
    • /
    • 2007
  • 해운대 연안에서 파랑, 해빈류 및 조석류에 의한 표사이동을 TRANSPOR-2004를 이용해서 계절별 표사수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년간의 표사수지를 계산하고 표사의 유출입경로를 유추하였다. 해수욕장의 동쪽 해안을 따라 해수욕장으로 유입된 표사는 중앙부에서 일부는 20% 정도는 외해로 유출하고 80% 정도는 해안을 따라 동백섬 쪽으로 이동하는 패턴을 나타냈다. 또한 동백섬의 남쪽에선 해안을 따라 해수욕장으로 유입되는 표사이동 패턴도 나타났다. 이 결과는 Gao 모델을 이용하여 봄과 가을의 퇴적물 이동 패턴을 계산한 결과와도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LiDAR 측량을 이용한 해운대 해안의 해안선 변화 분석 (Shoreline Change Analysis of Haeundae Beach Using Airborne LiDAR Survey)

  • 이재원;김용석;위광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561-56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선 길이 변화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RTK-GPS 측량방법과 최신 항공 LiDAR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해안선 길이를 추출하기 위하여 RTK-GPS 관측을 실시하고 관측시간대별 조위관측 자료를 비교하여 조석보정을 실시하였으며, 보정된 GPS자료에 대하여 Autocad Civil3D 프로그램으로 횡단면도를 작성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2차에 걸쳐 RTK-GPS측량(1차 2007년 8월 29일, 2차 2007년 10월 6일)을 실시한후 해안선을 비교한 결과 2차 측량시의 해안선 길이는 1차 측량시 보다 약 21m 감소하였다. 또한, 항공 LiDAR 측량(2006년 12월 24일)의 결과와 비교한 1차 RTK-GPS 측량에 의한 해안선 길이가 약 15m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침식과 퇴적에 대해서는 우측상단(선착장) 부분이 침식되고, 좌측하단(조선비치) 부분이 퇴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해수욕장의 개장에 따른 모래의 양빈과 태풍, 조류, 풍향 등 자연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침식과 퇴적에 대한 면적이 변화하고 그에따라 해안선의 길이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정보를 이용한 광안리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oastline Change on Gwangalli Using Spatial Information)

  • 최철웅;오치영;이창헌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9
    • /
    • 2009
  • 광안리 해수욕장은 해운대 해수욕장과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로 2003년 광안대로 완공 이후 관광객이 꾸준히 늘어 2006년에는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관할구청에서는 광안리 해수욕장 관리를 위해 해마다 양빈사업과 자갈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침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0년간 항공사진, 조석자료, GPS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광안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의 변화를 분석하고, 광안리 해상에 건설된 광안대교가 해안선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난 60년간 광안리 해변의 면적은 40% 증가하였으며, 광안대교가 해안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기 바람 관측 통계치에 의한 수영만의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 Based on Long Term Wind Statistics in Suyeong Bay)

  • Kang, Hyo-Ji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6
    • /
    • 1994
  • 연안 퇴적물 이동에 의한 수영만의 광안리와 해운대 지역의 해안선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동쪽과 남쪽 사이에서 부는 바람의 15년간 풍향별 발생 빈도를 이용한 월별 평균 풍향과 풍속을 계산하여 JONSWAP법에 의한 심해 유의파를 추정하고, 굴절 및 천수효과에 의한 쇄파고와 쇄파각을 계산하였으며, 그에 의한 연안 퇴적물 이동량을 계산하고 퇴적물 이동량의 수급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광안리 지역에서는 주된 연안 퇴적물 이용이 남서에서 북동방향으로, 해운대 지역에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안리 지역의 해안선은 북동쪽이 전진, 남서쪽이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고, 해운대 지역은 동쪽이 후퇴, 서쪽이 전진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

이안류 예보를 위한 이안류 발생정도 분포 함수의 적용 (Application of rip current likelihood distributions on rip current forecast system)

  • 최준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8호
    • /
    • pp.521-528
    • /
    • 2023
  • FUNWAVE 이안류 수치모의를 통해 얻은 이안류 발생정도 분포(파고-주기, 파고-조위, 파고-파향, 파고-주파수 스펙트럼 광협도, 파고-파향 스펙트럼 광협도)를 이용한 이안류 위험지수 생산 기법을 이안류 예보체계에 적용하였다. 이 기법은 관측 기반의 실시간 이안류 경보체계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관측정보를 대신하여 파랑예보 정보를 사용하므로 예보체계에 활용하였다. 2021년 해운대 해수욕장에 대하여 관측 기반으로 생산된 이안류 위험지수와 파랑예보 기반의 지수를 비교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Estimation of Inundation Damages of Urban area Around Haeundae Beach Induced by Super Storm Surge Using Airborne LiDAR Data)

  • 한종규;김성필;장동호;장태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41-350
    • /
    • 2009
  •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해 태풍의 강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전에 침수예상지역 및 예상피해규모를 파악하고, 대비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3년 부산과 경남지역 연안을 강타한 태풍 Maemi(매미)의 이동경로에 태풍 매미를 비롯하여 Vera(베라)(일본 이세만, 1959), Durian(두리안)(필리핀, 2006) 그리고 2005년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Katrina(카트리나)의 특성을 갖는 슈퍼태풍의 내습을 가정하여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의 침수피해규모를 추정하였다. 태풍별 해수면 상승고는 기존 연구자들의 수치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육상표고와 해저수심의 서로 다른 기준면을 통일시킨 후 계산하였고, 항공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GIS 공간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침수고, 침수면적 및 건물피해액을 추정하였다. 태풍의 강도와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근년에 Katrina(카트리나)급의 슈퍼태풍이 내습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는 연안 도심지역에 대한 해안침수예상도와 범람피난지도를 제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