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eju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 후기 해주의 경관과 세태 이미지 (Images of the Landscape and Society of Haeju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박정애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81-94
    • /
    • 2023
  • Haeju was home to the Hwanghae-do Provincial Office and a hub for supporting the northwestern regions of Korea. Local commerce expanded in Ha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its abundant resources and regional products, leading it to evolve into a large city. King Seonjo temporarily resided in Haeju while seeking refuge from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Yi Yi (sobriquet: Yulgok) secluded himself in Seokdam in Haeju in his later years. King Seonjo's residence in Haeju and Yi Yi's retirement there boosted interest in the city among the literati and influenced its places of scenic beauty. The development of its local history and literary achievements were documented in a wide variety of historical records and visual materials. Eight scenic views in Haeju became famous through a poem written by Seong Su-ik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round the mid-eighteenth century, eight new scenic views became popular. Local officials and travelers from other regions produced a vast body of prose and poetry focusing on the landscape and society of Haeju, playing a crucial role in raising awareness of its scenic attractions. Most surviving visual materials related to Haeju were created in and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Many of them illustrate both landscapes and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Among them, paintings of scenic spots created by Jeong Seon (sobriquet: Gyeomjae), who never actually visited Haeju in person, raises some of the issues posed by relying on indirect materials. In contrast, Eight Scenic Views of Haeju,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local painter, appears to have accurately highligh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enic spot. Moreover, Haejudo, a folding screen presenting a panoramic view of Haeju, incorporates content from paintings depicting eight scenic views, in this case Eight Scenic views of Haeju. This practice can be observed in visual materials of other provincial cities.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에 표현된 조선 후기 해주의 풍경과 풍물 (Expressions of the , Owned by the Onyang Folk Museum Haeju's Scenery and Custom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노재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36-59
    • /
    • 2021
  •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해주팔경도(海州八景圖)>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해주팔경의 기원과 제작 시기를 유추하고, 팔경도에 담긴 경물과 풍물을 비정(批正)함으로써 해주팔경의 경관상과 집경(集景) 의의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알려진 해주 집경의 원전(原典)은 구사맹(1531~1604)의 「해주팔영」으로 확인된다. 1782년에 쓰인 유만주의 『흠영』에서는 이를 고팔경(古八景)으로 지칭하고 해주팔경을 금팔경(今八景)으로 규정했는데, 이는 문헌으로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 해주의 읍치팔경이다. <해주팔경도>는 '남강에서의 뱃놀이(南江泛舟)', '부용당에서의 연꽃 구경(芙蓉賞蓮)', '광석천에서의 발 씻기(廣石濯足)', '해운교에서의 석별(泣川送客)', '해운정에서의 낚시(東亭釣魚)', '남산에서의 바다 구경(南山望海)'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본된 2폭은 '영해루에서의 달 구경(瀛海玩月)'과 '백림정에서의 백일장과 활쏘기(栢林觀德)'를 담은 것으로 추정된다. 해주팔경에서 배제된 고팔경의 수양채미, 신광제설, 지성폭포는 모두 수양산을 대상장으로 펼쳐진 풍경이다. 이렇듯 <해주팔경도>는 수양산 권역에서 벗어나 읍치(邑治) 중심의 승경 재편(再編) 결과로 부용당, 영해루, 백림정과 읍성 주변의 탁열정, 해운정 등의 누(樓)·정(亭)·당(堂)의 읍치 내외 누정이 명실상부한 해주의 승경으로 부상되었을 뿐 아니라 완사석, 비류담, 석빙고, 봉대, 탁마지, 읍수, 부용당, 해운정의 지당과 중도의 형태, 다양한 형상의 선박, 특산주 등 해주를 대표하는 세부 경물을 담고자 한 치밀함이 드러난다. <해주팔경도>에 묘사된 풍경은 해주목의 유서 깊고 탁월한 명소가 대부분이지만 일상 생활과 관련된 생활경(生活景)의 모습도 적절히 안배되었다. 또한 탁족(濯足), 조어(釣魚), 표모(漂母), 상련(賞蓮), 송객(送客), 주유(舟遊), 음주(飮酒), 망해(望海), 완월(玩月), 사예(射藝), 시작(詩作), 음다(飮茶), 가무(歌舞) 등 다채로운 풍류 행위를 담고 있다. 고팔경과 비교해볼 때 해주팔경은 4계절 경관 배분을 고려치 않았을 뿐 아니라 소상전형(瀟湘典型)의 결속성 또한 와해(瓦解)되었다. 해운정의 건립과 영해루의 퇴락(頹落) 시기에 착안할 때 <해주팔경도>는 18세기 초·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된다. <해주팔경도>는 관념적 이상향에서 벗어나 명승고적과 풍물 등 해주의 대표적 풍광을 골라 보여줌으로써 지역민에게 친밀감을 강화시키고 해주인(海州人)으로서의 긍지를 진작(振作)시키는 데 이바지한 그림으로 판단된다.

Genetic Differences and Variation in Two Purple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Populations from South and North Korea

  • Yoon, Jong-Man;Park, Su-Yo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7-108
    • /
    • 2006
  • Genomic DNA samples isolated from geographical purple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wer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regions in Korean Peninsula: Gunsan (Gunsan population; GSP), and Haeju (Haeju population; HJP), a collection area in the vicinity of the West Sea. The seven arbitrarily primers, OPA-07, OPA-09, OPA-18, OPA-20, OPC-03, OPC-06 and OPC-09 were shown to generate the total loci, loci observed per primer, shared loci by each population, specific, and polymorphic loci which could be clearly scored. We also generated the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and shared loci by the two populations in purple Washington clam. The size of the DNA fragments also varied wildly, from 50 to 2,400 bp. Here, 304 total loci were identified in the GSP purple Washington clam population, and 282 in the HJP: 91 polymorphic loci (29.9%) in the GSP and 47 (16.7) in the HJP. 198 shared loci, with an average of 28.3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GSP population. The decamer primer OPA-07 generated the shared loci by the two populations, approximately 1,000 bp, between the two Saxidomus populations. The oligonucleotide primer OPC-03 also generated the shared loci by the two populations, approximately 500 bp and 1,000 bp, in GSP population from Gunsan and HJP population from Haeju. The other primer, OPC-06 generated the shared loci by two Gomphina populations (approximately 400 bp). The dendrogram, generated by seven reliable primers, indicates three genetic clusters.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primers indicates three genetic clusters: cluster 1 (GUNSAN 01-GUNSAN 02), cluster 2 (GUNSAN 03-GUNSAN 11), and cluster 3 (HAEJU 12-HAEJU 22).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two geographical populations ranged from 0.043 to 0.506. Especially,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0.506, was found to exist between individuals GUNSAN no. 11 of Gunsan and HAEJU no. 17 of Haeju.

  • PDF

18C말(末) 황해감사 서매수(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시설의 이용 -"해영일기(海營日記)"서매수(徐邁修)를 중심으로- (The Late 18C Hwanghae-Gamsa's Utilization of Governing and Ritual Institutions in Haeju-Mok -Focused on "Haeyeong Ilgi"(Mae-Su Seo)-)

  • 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244-4252
    • /
    • 2012
  • 본 논문은 황해도의 감영처인 해주목의 관영시설이 황해감사의 직무와 행례를 중심으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18C말에 작성된 서매수의 "해영일기"을 통해 분석한 것이다. 황해도의 도계처는 금천이며 신구 감사의 교귀는 금천 또는 배천에서 하였다. 황해감사가 해주에 도임시에 이루어지는 도임 의례는 상당히 화려하고 타 도와 차별점인 점이 존재한다. 해주성 밖의 해운정은 오리정의 용도로 활용되며, 선화당 주변의 백림정과 부용당 및 징청각은 서로 다른 감사의 업무에 대응한다. 그 밖에 비정기적 행례의 구체적인 장소와 내용을 일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북한 해주산 세척사 특성 (Properties of Haeju Sea Sand in North Korea)

  • 김정빈;홍지훈;박세종;이성연;조재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419-422
    • /
    • 2005
  • This paper is examined the properties of Haeju sea sand for concrete. As result, the water absorbtion ratio and the contents of shell and microfines of Haeju sea sand was high. We would expected to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basic data for quality control of Ready Mixed Concrete.

  • PDF

복수가 동반된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치험 3례 (Alcoholic liver disease complicated with ascites in three patients using a herbal medicine(Cheung-Gan-Haeju tang) - 3 case report)

  • 고흥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273
    • /
    • 1999
  • Cheung-Gan-Haeju tang has been used on 3 cases of alcoholic liver disease patients complicated with ascites, clinical symptom(fatigue. jaundice, urine dark, indigestion, anorexia. ascites etc), liver function (AST, ALT, ${\gamma}$-GT, ALP, total bilirubin), and index of nutritional state (total protein, albumin, cholesterol) were improved after the adminstration.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involved in the effects of Cheung-Gan-haeju tang on these disease is still unknown, it is possibly suspected that Cheung-Gan-Haeju tang is non-toxic to liver and has beneficial effects on treating alcoholic liver disease complicated ascites. Further reports with many case, however, will be needed.

  • PDF

19세기 원주감영, 함흥감영, 해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복원 (Restoration of 19th-century Chugugi Rainfall Data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Korea)

  • 김상원;박준상;김진아;홍윤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129-135
    • /
    • 2012
  • This study restores rainfall measurements taken with the Chugugi (rain gauge) at Wonju, Hamheung, and Haeju from the Deungnok (government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We restored rainfall data corresponding to a total of 9, 13, and 18 years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tored data, we reconstructed monthly rainfall data. Restoration was most successful for the rainy season months of June, July and August. The restored rainfal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summer rainfall data for Seoul as recorded by the Seungjeongwon (Royal Secretariat). In June, the variation in the restored rainfall data was similar to that of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In July and August, however, the variations in the reconstructed data were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eoul data (Seungjeongwon). In the case of the worst drought in the summer of 1888, a substantial shortage of rainfall was found in both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and the restored data for the three regional locations.

갈화 및 초두구를 주재로 하는 알코올 해독제 (Ethanol Detoxicant Composed of Pueraria thunbergiana and Alpinia katsumadai)

  • 박정숙;김기영;한건
    • 약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08-312
    • /
    • 2006
  • Alpinia katsumadai is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n antiemetic and for treatment of stomach disorder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50% methanol extract of Alpinia katsumadai and Puerariae thunbergiana on ethanol metabolism in rat. The administration of 50% methanol extract of Alpinia katsumadai significantly decrease the ethanol concentration in rat. The AUC and Cmax of Alpinia katsumadai was 3.1 and 2.4 times less tha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t was more effective than Pueraria thunbergiana is known to as ethanol detoxicant. Furthermore, we tested on its ethanol metabolizing effect with the preparation containing this herb (Haeju pill) in beagle. The AUC of Haeju pill was about 1.9 times less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estimated that the extract of Alpinia katsumadai had feasibility as a ethanol detoxication agent.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 이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8-37
    • /
    • 2013
  •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 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 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Study for Selection of Replica Stone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Yeoju Godalsa Temple Site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 이명성;전유근;김지영
    • 암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10
    • /
    • 2016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는 과거 도괴되어 현재 귀부와 이수는 여주 고달사지에 남아있고 비신은 파손된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비를 구성하는 암석은 두 종류로, 귀부와 이수는 조립질 흑운모화강암, 비신은 부분적으로 각섬석 집합체와 2~3 cm 크기의 장석반정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이다. 귀부와 이수의 조립질 흑운모화강암은 여주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과 전암대자율 및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반면 비신의 암석은 이 지역 내에서 산출되는 암석과 다소 차이가 있어 국내 화강암의 전암대자율, 암석학적 특징, 탑비의 금석문과 고려시대 고문헌 기록을 토대로 유사한 암석의 산출지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 북한 해주 지역의 화강암이 색상, 각섬석 집합체, 광물조성, 전암대자율 분포 등에 있어 비신의 세립질 흑운모화강암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해주 화강암이 탑비 암석의 산지암석으로서 가능성이 가장 크며, 원종대사탑비 비신을 복제하기 위한 석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