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king Attack Cas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Debug Port Protection Mechanism for Secure Embedded Devices

  • Park, Keun-Young;Yoo, Sang-Guun;Kim, Ju-Ho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40-253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tection mechanism for the debug port. While debug ports are useful tools for embedded devic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they can also become potential attack tools for device hacking in case their usage is permitted to hackers with malicious intentions. The proposed approach prevents illicit use of debug ports by controlling access through user authentication, where the device generates and issues authentication token only to the server-authenticated users. An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user access information which represents the user's permitted level of access and the maximum number of authentications allowed using the token. The device authenticates the user with the token and grants limited access based on the user's access level. The proposed approach improves the degree of overall security by removing the need to expose the device's secret key. Availability is also enhanced by not requiring server connection after the initial token generation and further by supporting flexible token transfer among predefined device groups. Low implementation cost is another benefit of the proposed approach, enabling it to be adopted to a wide range of environments in demand of debug port protection.

S/W 개발 보안의 필요성에 따른 법 제도 및 규정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Legal System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S/W Development Security)

  • 신성윤;정길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17-124
    • /
    • 2014
  • S/W 개발 보안이란 안전한 SW 개발을 위해 잠재적인 보안취약점을 제거하고,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을 설계 구현하는 등 SW 개발 과정에서 일련의 보안활동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에게 정신적, 금전적으로 상당한 피해를 주는 국내외 해킹 사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웹 사이트 공격의 약 75%가 응용프로그램 즉, S/W의 취약점을 악용한 것임을 상기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취약점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S/W 개발 보안의 주요 이슈들을 알아보도록 한다. 그리고 보안관련 법 제도 및 규정을 공공부분과 민간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보안관련 법 제도 및 규정의 세부 내역들을 예를 들어 나타내 보도록 한다.

SIEM과 OWASP-ZAP및ANGRY-IP취약점분석모듈과 연동구현 (SIEM OWASP-ZAP and ANGRY-IP Vulnerability Analysis Module and Interlocking)

  • 윤종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19
  • 정보보안 컴플라이언스 및 보안규정에 의거 분기 및 정기적 형태의 네트웍 시스템 대상 취약점 점검은 사이버침해공격대응을 위해 상시 실시간 개념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대두 된다. 이를 위해 상시 운용 관리 체계인 ESM/SIEM을 기반으로 공개된 취약점분석 점검TOOL과의 연동구현 으로 개념 검증 시 새로운 해킹공격대응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취약점점검모듈은 표준화된 이벤트 속성 관리와 운용의 편이성 취약점데이터의 글로벌 공유측면에서 공개SW Module인 owasp zap/Angry ip등을 SIEM 체계에 해당취약점모듈과의 연동 설계 구현방식으로 연구 검토 결과 web 및 network 대상 해당 취약점 모듈에 의해 점검이벤트가 SIEM 콘솔로 전송 모니터 되는 것으로 입증 되었다. 현재 사이버 관제실에서 운용중인 ESM 및 SIEM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당 개념을 최적화 적용 운용할시 상용 취약점 툴 구매 비용문제와 패턴 및 버전관리에 대한 한계성 등을 고려할시 본연구가 효율적 측면으로 검토됨과 동시에 현 정보보안 컨설턴트에 의한 취약점분석결과 와 본 연구 사안으로 결과 등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 운용할시 사이버 침해공격에 대한 발전적인 개념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관련 사안에 대해 논고하고자 한다.

오프라인 대리사용자 및 해커로부터 특정 컴퓨터 보호를 위한 실시간 대응방안 (Real-time Responses Scheme to Protect a Computer from Offline Surrogate Users and Hackers)

  • 송태기;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13-320
    • /
    • 2019
  • 현재 발생하고 있는 많은 해킹 피해 사례들의 요인들 중 하나는 사회 공학적 공격이다. 이러한 공격을 수행하는 주체는 악의적인 배신자 혹은 무지한 내부자인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조직 내 직원의 보안교육과 같은 관리적 보안의 강화를 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업에서는 불가피하게 컴퓨터를 공유하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경우 컴퓨터의 소유자는 공유를 받는 특정 대리인이 언제 접근했고 어떤 행위를 하는지에 대한 실시간 추적 및 대응이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킹된 인증수단 혹은 공유를 받은 인증수단을 통해 대리인이 오프라인으로 컴퓨터에 접근했을 때 컴퓨터의 소유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대리인들이 언제 컴퓨터에 접근하는 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비정상 접근 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PC의 중요 파일을 암호화 및 백업함으로써 중요 정보 유출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해커의 공격에 대한 실시간 보안공조시스템 연구 (A Study of Real Tim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Regarding Hacker's Attack)

  • 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5-288
    • /
    • 2010
  • 중국의 해커가 제3국으로 한국IP를 우회 접속하여 전자상거래사이트를 해킹하여, 대포계좌로 금융피해를 입히는 한 침해사고가 났었다. 7.7 DDoS공격은 국가의 주요사이트를 마비시킨 해커의 공격사건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해커의 침해사고와 DDoS공격에 취약점 분석을 한다. 해커의 공격에 대한 전조 증상 및 공격 연관성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Red, Orange, Yellow, Green에 속하는 위험등급을 나눈다. 해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작성하여 실시간으로 공격을 차단 방어하는 보안공조시스템을 연구한다. 침해사고 후 패킷에 대한 역추적과 탐지를 통해 포렌식 자료를 생성하고 법정에서 책임소재의 증거로 확정하는 연구를 하여 국가 침해사고 대응과 포렌식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 PDF

커넥티드 의료기기 해킹 및 랜섬웨어 대응기술 동향 (Security Technology Trends to Prevent Medical Device Hacking and Ransomware)

  • 권혁찬;정병호;문대성;김익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5호
    • /
    • pp.21-31
    • /
    • 2021
  • Ransomware attacks, such as Conti, Ryuk, Petya, and Sodinokibi, that target medic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rapidly. In 2020, in the United States., ransomware attacks affected over 600 separate clinics, hospitals, and organizations, and more than 18 million patient records. The cost of these attacks is estimated to be almost $21 billion USD. The first death associated with a ransomware attack was reported in 2020 by the University Hospital of Düesseldorf in Germany. In the case of medical institutions, as introduced in the Medjack report issued by TrapX Labs, in many cases, attackers target medical devices that are relatively insecure and then penetrate deep into more critical network infrastructure, such as EMR servers. This paper introduces security vulnerabilities of hospital medical devices, considerations for ransomware response by medical institutions, and related technology trend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안전한 QR-Login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의 설계 및 중요 정보의 안전성 보증을 위한 방법 (A Design Secure QR-Login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and Assurance Methods for the Safety of Critical Data Using Smart Device)

  • 이재식;유한나;조창현;전문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49-964
    • /
    • 2012
  • 최근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 등으로 사용자 PC가 위협받고 있다. 특히, 제로데이 공격 등 알려지지 않은 공격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어, 사용자 PC는 더 이상 안전하다고 확신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PC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존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경우, 인증 정보의 도난 및 중간자 공격 등 다양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해킹등과 같은 공격을 당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PC가 감염되었는지 인지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QR-Code와 통신기능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안전한 QR-Login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인터넷 서비스 이용 시 중요정보의 안전성 보증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알려지지 않은 공격으로부터 PC가 위협받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중요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금융거래와 같은 민감한 거래 시에도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주요 위협국의 사회공학 공격특징과 대응전략 (Social Engineering Attack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 Strategies of Major Threat Countries)

  • 김지원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65-172
    • /
    • 2023
  • 국가간에 이루어지는 사회공학 공격은 주로 비밀정보, 외교의 협상 또는 미래의 정책 변경에 대해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매우 효율적인 공격이므로 꾸준히 실시되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장기화함에 따라 글로벌 해킹 조직의 활동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기반시설 또는 글로벌 기업 대상의 대규모 사이버공격 시도가 지속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회공학 공격 모델 중 물리적인 접촉을 배제한 사회공학 사이클이 가장 적합한 모델이라 판단하여 주요 위협국이 선호하는 사회공학 공격 방법을 사례분석을 통해 지정학적 전술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인해전술과 같은 질보다 양을 선호하는 피싱공격을 러시아는 마치 첩보전을 연상하는 은밀하고 복잡한 스피어 피싱을 선호하며, 북한은 미국과 한국에 대한 공격은 스피어 피싱과 워터링홀로 지정학적 전술을 응용하여 활용하였고 그 외 국가들은 대부분 랜섬웨어로 자금확보를 목표로 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에는 클린패스 정책, 러시아에는 주기적인 의무교육, 북한에는 국제적인 제재 등을 대응전략으로 제시하였다.

하이브리드 허니팟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Hybrid Honeypot Systems)

  • 이문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127-133
    • /
    • 2014
  • 다양한 악성코드로부터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허니팟 시스템을 구축한다. 허니팟 시스템은 내부 시스템이 공격받지 않도록 공격을 유인하는 목적으로 설계되거나, 악성코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기존의 하니팟은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위장서버 혹은 위장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축하거나 위장 콘텐츠를 제공하여 공격자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위장서버구축의 경우는 빈번한 디스크 입출력으로 약 1년 주기로 하드웨어를 재설치하여야 하고, 위장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축하는 경우는 획득한 정보 분석의 자동화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문 인력 확보와 같은 운영상의 문제가 있다. 이처럼 기존 허니팟의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운영상의 문제들을 해결 및 보완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허니팟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하이브리드 허니팟은 허니월, 분석서버, 통합콘솔을 두고 공격유형을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처리한다. 유형1인 고수준 상호작용서버와 유형2인 저수준 상호작용서버를 동작하도록 하여 위장(유인용)과 거짓응답(에뮬레이션)이 공통스위치 영역에 연계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허니팟은 허니월의 저수준 허니팟과 고수준 허니팟을 동작하도록 한다. 분석서버는 해킹유형을 해쉬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상관분석 알고리즘으로 분리하여 허니월에 전송한다. 통합모니터링 콘솔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므로 최신 해킹기법과 공격 툴에 대한 정보 분석뿐만 아니라 악성코드에 대한 선제적인 보안대응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yber Insurance and Distribution Channels

  • Kwak, Young-Arm;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5호
    • /
    • pp.61-70
    • /
    • 2018
  • Purpose - These days, an individual user, private entity, hears everyday news of hac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 the era of a most-connected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cyber attack, cyber insurance and distribution channels for insurance good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cyber attacks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dopted various study cases instead of the one large case for deep quality analysis, and focused on various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cyber attacks with insurance. Result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that were hacked, types of massive losses and damages arising out of internet blackout due to cyber risks are paralyzation of public and private website and portal, electronic administrative system, public infrastructure, and consequently a normal operation of nation is impossible. These losses and damages however can be coverable under cyber insurance. Conclusions - This paper suggests insurance carriers, as suppliers, should provide multiple channels to sell to the customer and should expand the strategy of advertisement and promotion in order for them to change their mind and compare the price and value of the information of individual users and private entity in view of cost sav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