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bitat Suitability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habitat of Manchurian trout(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 the Geybangcheon stream (계방천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개체군 특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과의 상관관계)

  • Ko, Min Seop;Choi, Jun Kil;Lee, Hwang G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1
    • /
    • pp.108-1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ecological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churian trout habita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growth status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CA) betwee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and the use of the land around Gyebangcheon stream. Sampling was conducted twice in July, September, and October 2018. During the July and September surveys, 882 individuals belonging to 13 species from six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The total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collected was 99. The results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were analyz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b value of 3.1272 and a condition factor (k) value of 0.0006. Therefore, the growth condition of B. lenok tsinlingensis was regarded as fairly good. The QHEI(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habitat was 119.5(±0.5)-153.5(±0.5), indicating optimal-suboptim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HIS (Habitat suitability index)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habitat for B. lenok tsinlingensis was 0.45-0.55m and >1 m in water depth, 0.55-0.65 m s-1 in water velocity, and boulder in the substrate. The ratio of the land use in this study site was analyzed as 66.26-96.31% for forest and grassland areas, 0.00-23.79% for agricultural areas, 0.00-4.19% for urbanized areas, and 3.69-8.87% for other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and various factor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QHEI and forest and grassland areas, agricultural areas, and urbanized areas.

Proje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bies koreana in Korea Under the Climate Change Based on RCP Scenarios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구상나무 잠재 분포 변화 예측)

  • Koo, Kyung Ah;Kim, Jaeuk;Kong, Woo-seok;Jung, Huicheul;Kim, Geun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9 no.6
    • /
    • pp.19-30
    • /
    • 2016
  • The projection of climate-related range shift is critical information for conservation planning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 H. Wilson). We first modeled the distribution of Korean fir under current climate condition using five single-model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and the pre-evaluation weighted ensemble method and then predicted the distributions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projected with HadGEM2-AO under four $CO_2$ emission scenario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2.6, 4.5, 6.0 and 8.5. We also investigated the predictive uncertainty stemming from five individual algorithms and four $CO_2$ emission scenarios for better interpretation of SDM projections. Five individual algorithms were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MARS), Generalized boosted model (GBM) and Random forest (RF). The results showed high variations of model performances among individual SDMs and the wide range of diverging predictions of future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response to RCPs. The ensemble model presented the highest predictive accuracy (TSS = 0.97, AUC = 0.99) and predicted that the climate habitat suitability of Korean fir would increase under climate changes. Accordingly, the fir distribution could expand under future climate conditions. Increasing precipitation may account for increases in the distribution of Korean fir. Increasing precipitation compensates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temperature. However, the future distribution of Korean fir is also affected by other ecological processes, such as interactions with co-existing species, adaptation and dispersal limit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treme weather events and land-use changes. Therefore, we need further ecological research and to develop mechanistic and process-based distribution models for improving the predictive accuracy.

Economic Impacts of Invasive Pests under Climate Change: A Case of Lycorma delicatula (기후변화에 따른 미발생 병해충 피해 경제적 영향 분석: Lycorma delicatula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Hyunjin;Cho, Sung Ju;Oh, Saera;Jung, Jae-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7
    • /
    • pp.415-422
    • /
    • 2018
  • Lycorma delicatula, known as spotted lanternfly, is a planthopper native to Southeast Asia, including Vietnam, India and South China. This species damages local fruit trees and has spread rapidly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estimation results pertaining to the risk of invasive species like Lycorma delicatula. We used a partial budget (PB) method to assess direct income reduction of farm households and a partial equilibrium (PE) model to examine social welfare change from the outbreak of Lycorma delicatula. We also estimated the future economic impacts of Lycorma delicatula under various climate scenarios considering habitat suitability. As climate change progresses, domestic ecosystems are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vulnerable to pest outbreaks leading to further economic damage. We believe that this study can be a base to evaluate efficiency of the national pest control and quarantine system.

A Study on the Trail Mangement in National Park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 Case Study of Yellow-throated Marten Habitats in Mt. Mudeung National Park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통한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 방안 연구 - 무등산 국립공원 내 담비 서식지를 중심으로 -)

  • Lim, Chi-Hong;Lee, Chang-Seok;Jung, Song-Hie;Park, Yo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0 no.4
    • /
    • pp.63-75
    • /
    • 2017
  • This study carried out for establishing the synthetic restoration plan to improve ecological quality of Mt. Mudeung National Park based on the results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for yellow-throated marten habitats. Yellow-throated marten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umbrella species for the wildlife habitats conservation, therefore, this species could be used to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the damaged forest ecosystem in Mt. Mudeung National Park. In this study, we diagnosed the quality of yellow-throated marten habitats in Mt. Mudeung National Park based on five natural and two artificial facto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ntegrity of each zone divided by trails quantitatively based on land use intensity. As a result, forest landscape quality in Mt. Mudeung National Park was influenced greatly by human activity and the degree was depended on the intensity of trai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losing of trails composed of the illegal and 36 legal trails. And then, we modeled the changes of habitats quality of Yellow-throated marten for each closing step. As a result the area of core habitats increased by two times and wildlife habitats quality improved in the whole area of the Mt. Mudeung National Park.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n-made linear landscape elements play a key role in the quality of habitats for predators, which require large habitats area like the Yellow-throated marte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 ecological restoration plan in the mountainous area, we recommend the concept of the linear landscape should be applied with the concept of area landscape.

Development of grid-based hydraulc model for ecohydraulic connectivity assessment (수리생태적 연결성 평가를 위한 격자기반 수리해석 모형 개발)

  • Kim, Chang Wan;Chegal, Sun Dong;Cho, Gil Je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5
    • /
    • pp.461-470
    • /
    • 2018
  • Beyond river restoration focused on the inside region of main streams up to now, the river restoration including the outside region of streams has been started recently. As a part of this attempt, the restoration of abandoned rivers has been tried, but the development of a suitable model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improvement of hydraulic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s not still satisfying. In this study, a grid - based hydraulic analysis model to evaluate the recovery of ecological connectiv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abandoned river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the ecohydaulic connectivity of the Cheongmi River Project area in Notap region was evaluated. This model can promptly and simply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hydraul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used as a appropriate tool to assess the hydraulic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n the future.

New Method of Estimat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to Decide Environmental Flow (확률분포모형을 적용한 물리적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방법의 제안)

  • Kim, Hyun-Jung;Lim, Sung-Min;Yoon, Jung-Soo;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79-779
    • /
    • 2012
  • 수자원의 개발은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하천은 그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치수에 집중된 개발을 해왔기 때문에, 하천의 환경 생태적 기능은 중요시되지 않아왔다. 최근에서야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제고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천생태계의 서식공간을 가능한 한 자연상태로 보전하고자 하는 노력이 늘어나면서,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생태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위와 같이 생태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유지유량증분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각 어종별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는 수생 서식처 모델링에 사용되는 물리적 인자에 대한 정량적 지수이다. 국내의 경우도, 수계별 어류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출현어종분류 및 출현율 등에 국한되어 있어 물리적 인자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장기간 실측자료의 부족으로 대부분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객관적인 서식처 적합도지수의 부재는 생태유량 산정에 있어 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부족한 국내의 서식처 적합도지수에 객관성을 부여하고, 좀 더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장기간의 현장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된 추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이용해 적절한 생태유량을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07-2010년, 'Ecoriver21사업단'의 '생태유량 산정 및 확보기술개발' 과제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수행한 현장모니터링 자료이다. 자료 수집 대상지역은 한강과 금강 수계이며 41개 어종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그 중 다른 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현장 데이터가 존재하고, 본 모니터링에서도 한강과 금강 두 수계에서 모두 우점종으로 나타난 피라미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식처 적합도 지수 산정 방법의 제안 및 기존 방법에 의한 지수와 비교하였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Biological Disturbance by River Structures-Focused on the Wonju Stream (하천구조물에 의한 물리적 교란과 생물학적 교란의 관계-원주천을 대상으로)

  • Choi, Heung Sik;Lee, Wo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9-5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하천구조물의 개선 재배치 철거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생물학적 교란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구조물의 최적 배치 방안을 도출하였다. 대상구간은 20개 구간으로 나누었으며, Engelund-Hansen 공식을 이용하여 안정하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천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21개의 구조물 배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1차원 HEC-RAS 수치모의를 통해 시나리오별 5년 후의 수리특성과 하상변동 결과에 따른 안정하도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재의 원주천에서는 총 20개 구간 중 17개 구간에서 안정하도로 나타났으며, 3개 구간에서 불안정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평균 120.1점으로 나타났다. 현 상태를 제외한 20개 시나리오에 따른 구조물의 재배치 후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수행한 결과 제시한 최적의 구조물 배치 결과는 총 20개 구간 중 19개 구간에서 안정, 1개 구간에서 불안정 평가가 나타났으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125.28점으로 구조물의 재배치 후 안정하도 구간과 교란개선 평가 결과가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교란 평가는 PHABIM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원주천의 대표어종인 갈겨니의 서식적합도(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분석하였다. 현 상태의 경우 HS는 0.21, WUA는 $508m^2$으로 나타났으며, 현 상태에서 5년경과 후의 HS는 0.19, WUA는 $403m^2$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최적 구조물 배치 시나리오의 평가 결과는 HS가 0.19, WUA가 $382m^2$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물 재배치 후 HS와 WUA가 현 상태보다 다소 감소하였으나 현 상태에서의 5년경과 후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원주천에서의 어류 서식적합도와 안정하도 설계 및 물리적 교란개선을 향상할 수 있는 최적 구조물 배치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omestic Research Trends (2001-2020) of Forest Ecology Using 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산림생태 분야 연구동향(2001-2020) 분석)

  • Lee, Jinkyu;Lee, Chang-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3
    • /
    • pp.308-32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20 years and future direction of forest ecology using text mining. A total of 1,015 academic papers and keywords data related to forest ecology were collected by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Section" and analyzed using big data analysis programs, such as Textom and UCINET. From the results of word frequency and N-gram analyses, we found domestic studies on forest ecology rapidly increased since 2011.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 was "species diversity" over the past 20 years and "climate change" became a major topic since 2011. Based on CONCOR analysis, study subjects were grouped intoeight categories, such as "species diversity," "environmental policy," "climate change," "management," "plant taxonomy," "habitat suitability index," "vascular plants," and "recreation and welfare." Consequently, species diversity and climate change will remain important topics in the future and diversifying and expanding domestic research topics following global research trendsis necessary.

Changes in physical habitat distribution of Gobiobotia naktongensis according to bed material size : focused on the downstream of the Naeseongcheon Stream in Korea (하상입경에 따른 흰수마자 물리서식처 변동양상 : 내성천 하류를 대상으로)

  • Dong Yeol Lee;Jae Hyun Park;Kyong Oh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2-512
    • /
    • 2023
  • 내성천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흰수마자(Gobiobotia naktongensis)의 최적 서식처로 알려져 있다. 흰수마자는 낙동강에서 채집되어 새로운 종으로 보고된 한국 고유종이지만 최근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담수어류로 지정되었다. 흰수마자는 입자가 1 mm 이하의 가는 모래로 90% 이상 구성된 모래하상과 수질이 양호한 곳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4). 특히 낙동강 중류의 감천과 상류의 내성천 수계에서 비교적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Na et al., 2015). 그러나 영주댐 건설 이후, 댐 하류 내성천에서 흰수마자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2021년 내성천 유역 자연성생태계모니터링 보고서(환경부, 2022)에 따르면 내성천에서 흰수마자가 2016년에 492개체가 채집된 이후 2019년 7월엔 1개체만이 채집되었으며 이후 2022년 8월까지 채집되지 않았다. 반면 망둥어과 어류 중 입자가 굵은 하상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는 밀어의 개체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내성천 유역의 하상환경변화가 어류서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물리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내성천 석탑교(No. 46) 에서 회룡교(No. 4)까지 약 40 km 구간을 대상으로 2010년 하상 입자와 2020년 하상 입자 크기에 따른 흰수마자의 서식처 적합도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River2D 모형을 통해 계산되는 어류 서식처 적합도는 물리서식처 모의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WUA는 대성어종의 특정 성장단계별, 서식처 특성별로 주어진 구간을 이용할 수 있는 순수적합도(net suitability)에 대한 하나의 지표이다. WUA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대상어종의 서식처 및 활동 영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WUA는 각 절점에서 평가되어지는 복합서식처 적합도 지수에 의해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곱셈방법을 적용한 복합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산정하여 하상입자에 따른 흰수마자의 서식처 적합도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Water Quality of Z acco platypus by Region (권역단위 피라미 수질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 Hong, Rok Gi;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8-458
    • /
    • 2021
  • 하천의 환경기능과 생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생태를 고려한 하천 유지 유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문 특성의 물리적 서식처에 관한 연구는 PHABSIM, River2D 등의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유지유량증분법(IFIM), 수문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HSI)를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하천의 수질을 고려한 서식처 연구는 각 수질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 자료의 부족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에 반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수질·생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수온, DO 등의 수질 인자에 대한 피라미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권역 단위로 산정했다. 수질 및 어류조사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최근 10년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조사자료를 이용해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수질별 서식 적합도는 일반화가법모형(GAM)을 적용하여 수질 인자별 어류 개체 밀도 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수화하였다. 특히, 어류의 서식 특성은 수계별로 상이할 수 있어 가용 데이터의 범위를 고려하여 권역별 수질 인자에 따른 피라미의 서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권역단위 피라미의 수질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생태를 고려한 하천사업의 계획,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라미 외 각 하천의 주요 생태 어종 평가를 위한 수질 서식처 적합도지수 산정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