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검색결과 3,306건 처리시간 0.041초

돌콩 ( Glycine soja Sieb and Zucc ) 의 사료작물화에 관한 연구 I. 돌콩의 Esterase isozyme 변이와 사료적 가치 평가 (Studies on the Domestication of of Field Bean ( Glycine soja Sieb and Zucc ) for Forage Crop I. Esterase isozyme variation and nutritive value of field bean)

  • 이성규;이은;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6-92
    • /
    • 1993
  • The variation of the esterase isozym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of field bean(G1ycine soja S. and Z.) were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nding patterns of the esterase isozyme in field bean were varied with the tissue and habitat. 2. The enzyme activity of the Est-I, Est-2, Est-3 and Est-4 in field bean showed a high value compared with the other enzyme. 3. The range of germination temperature in field bean was 10-40C and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 38^{\circ}C.$. 4. The crude protein(CP) contents was 19.9% in the whole plant, 27.8% in the leaf and 45.9% in the seed, the cellulose contents was 29.5% in the whole plant, 23.0% in the leaf and 13.8% in the seed, the neutral detergent fiber(NDF) was 62.6% in the whole plant, 47.9% in the leaf and 47.9% in the seed and the acid detergent fiber(ADF) was 44.5% in the whole plant, 28.4% in the leaf and 28.4% in the seed, respectively. 5. The digestibility of the field bean was 44.1% in the whole plant, 49.6% in the leaf and 75.1% in the seed, NDF was 26.2% in the whole plant 46.2% in the leaf, ADF was 29.0% in the whole plant, 47.7% in the leaf and 58.0% in the seed and Cellulose was 48.7% in the whole plant, 58.0% in the leaf and 70.2% in the seed, respectively. 6.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of the field bean was 47.4% in the whole plant, 51.5% in the leaf and 70.2% in the seed, respectively. The digestible energy(DE) value was 2.1 kcal/g in the whole plant, 2.27 kcal/g in the leaf and 3.10 kcal/g in the seed and the metabolizable energy(ME) value was 1.72 kcal/g in the whole plant, 1.86 kcal/g in the leaf and 3.23 kcal/g in the seed, respectively.

  • PDF

해안지대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한계 및 RAW 264.7 세포와 HL-60세포의 생리활성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 김지훈;박선순;송창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4-50
    • /
    • 2008
  • 한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 한계지역과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1. 순비기나무, 갯방풍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태안반도이며,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강원도 지역으로 확인되었고, 번행초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전라남도이고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경상북도 울릉군 지역이었다. 2. 자생지가 해안 200 m 이내 모래점토와 점토흙이 혼합된 지역에서 직사광선은 받는 우점식생이 없는 것을 볼 때 재배 지역은 해안지역과 인접한 지역은 재배 가능지역으로 판단된다. 3. 생리활성효능을 RAW 264.7 세포와 HL-60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유효한 항염효능은 확인하지 못하였고,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 순비기나무, 번행초는 억제활성이 없었고, 갯방풍은 $100{\mu}g/m{\ell}$에서 60%, $200{\mu}g/m{\ell}$에서 72%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광릉숲에서의 장수하늘소(딱정벌레목; 하늘소과) 서식실태 조사결과 및 보전을 위한 제언 (Occurrence of Callipogon relictus Semenov (Coleoptera: Cerambycidae) in the Gwangneung Forest, Korea with Suggestions for the Conservation)

  • 변봉규;권태성;원갑재;조동광;이봉우;이유미;최혁재;김철학;이승환;배양섭;안승락;홍기정;박신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9-25
    • /
    • 2007
  • 본 연구는 광릉숲에서의 장수하늘소의 실제 서식현황을 재확인하고, 서식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6년 성충 발생기를 전후하여 조사한 결과 암컷 1개체가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암컷의 방사과정에서 산란행동이 관찰되었는데, 나무 상부로 이동하면서 서어나무의 수피 틈에 낱개로 산란하였으며 산란회수는 20회 이상임이 확인되었다. 금번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들을 종합하고 이들의 보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범서식지 포유류종의 도로 횡단에 미치는 영향 분석 (How Do Landscape and Road Barriers Affect Road Crossing of Multihabitat Mammals)

  • 변예슬;권진오;김정환;신문현;이상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9-1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로드킬 GIS 데이터와 네이버 거리뷰를 이용하여 토지피복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포유류 로드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웃 경관과 도로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야행성이며 다중 서식지를 이용하는 일반종인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의 로드킬은 섭식, 번식을 위해 선호하는 서식지를 중심으로 영동과 중부 고속도로 인근 나지, 초지, 습지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된 지 오래된 노선인 영동에서는 종 간 토지피복의 차이가 없던 것(p=0.165)으로, 신규 개통 후 지속적인 연장공사가 이루어졌던 중부는 차이가 유의했던 것(p=0.001)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악지대인 영동선과 도심화 지대인 중부선 간 경관유형의 차이 혹은 개통일과 야생동물의 주변 서식지 적응도 및 연장공사 빈도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추정된다. 야생동물 도로 횡단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난 펜스 및 가드레일과 달리, 절 성토면의 방지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움닫기를 위한 경사면으로 연출될 경우 병치된 펜스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로 인근에서 고속도로와 병치되는 국도 혹은 지방도의 경우 펜스 및 성토면이 부재한 사례가 많아 로드킬 발생의 취약 지점으로 나타나며, 특히 교차로의 초지 패치는 고속도로 양 옆 경관 패치와 이어지는 시각적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도로를 건너려는 동물들에게 시각적 은폐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교차로 인근에서의 높은 로드킬 발생율로 설명되어진다.

전북 동진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Dongjin-river Estuary in Jeonbuk)

  • 김창환;이경보;김재덕;조태동;김문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9호
    • /
    • pp.817-8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bout salt marsh flora and vegetation in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ere has a project for Sea Man Geum Reclaimed Land so that we can foster foundation on restoration of an ecological habitat, development of applicable plant and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olicy after deceloping the reclaimed land for salt marsh vegetation which has great value ecologically. In conclusion, we was distributed that there are 7 families 21 genera, 25 species, 2 varieties of vascular plant at the Dongjin-river estuary area which have 27 taxa in total and are $0.64\%$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 There are also 2 family, 2 genus, 2 species of a naturalized plant which are $1.1\%$ of indicator of a naturalized plant salt marsh vegetation of the downstream are very much affected by the time of inundation, tidal water so that a low degree of salt marsh has frequent flooding by sea water and has a pure group of Suaeda japonica. 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re distributed mainly around a waterway of salt marsh and Zoysia sinica, Atriplex subcordata,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in stock as forming into patch around medium salt marsh. Suaeda asparagoides, Phacelurus latifolius are living around a little high ground and a Phragmites communis is a behind vegetation of Phacelurus latifolius and a part of the Phragmites communis are living along with waterway in a salt marsh as a community. By the 2-M method twelve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 Suaeda japonica. Carex scabrifolia, Zoysia sinica, Artemisia scoparia, Phacelurus latifolius, Phragmites communis,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Atriplex gmelini, Phragmites communis-Suaeda japonica, Suaeda japonica-Salicornia herbacea, Salicornia herbacea-Suaeda aspar-agoides and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

Variability in group size and daily activity budget of family groups of the gelada baboon (Theropithecus gelada)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Central Ethiopia

  • Mamo, Mandefero;Wube, Tilay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63-270
    • /
    • 2019
  • Background: The gelada baboon, Theropithecus gelada Ruppell, 1835, is an endemic primate of the central and western highlands of Ethiopia occurring between altitudes of 1800-4400 m. Variability in activity time budget between the two gelada social units, i.e., one-male units (OMUs) and all-male units (AMUs),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Thus, the present study was an effort to understand intra- and inter-variations in group size and daily activity time budget in gelada baboon OMUs and AMUs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Central Ethiopia. The instantaneous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data collection. Results: Both OMU and AMU groups allocated more time for feeding (OMUs = 36.96%; AMUs = 35%) followed by moving (OMU = 25.8%; AMUs = 27%). Grooming was the most frequent social activity in both family groups (OMUs = 8.56%; AMUs = 11.81%). OMUs and AMUs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mselves in the time budget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ir daily activities. However, the overall variation in the time budget allocated for daily activities within OMUs and AM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in OMUs (i.e., immature, sub-adult females, subordinate males, adult females, and alpha ma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ir time budget allocation for the daily activities (p < 0.05) except for feeding and moving. Alpha 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ting (32.14%) and aggression (31.92%). Immature individuals were responsible for > 90% of the time budget recorded for playing while adult femal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grooming. Group size of OMUs ranged between 5 and 15 individuals (mean ± SD = 11.25 ± 1.95). Adult females comprised the highest number within OMUs (mean = 4.5) followed by immature individuals (mean = 3). The group size of AMUs ranged from 4 to 8 (mean ± SD = 6.6 ± 1.5).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gelada baboon spent less time on foraging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t the Simien Mountains and Debre-Libanos area. We suggested this variation could be explained based on higher forage quality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resulting from better conservation of the habitat.

순천만 패류 양식장 3개소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생물상 분포 -가리맛조개 양식장과 새꼬막 양식장-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os Distribution in the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Korea)

  • 서진수;김태훈;신세연;강형일;안삼영;정재성;김영성;원남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1-710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and benthic environment of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2014 ~ April 2015. Three sampling stations were selected; St.1 is the shellfish farm of razor clam near Jangsan area. St.2 is the shellfish farm of small ark shell near Hwapo area and St.3 is the shellfish farm of razor clam near Yongdu area. Razor clam was the dominant species at St.1, small ark shell and granulated ark shell were dominant at St.2 and St.3, respectively. Granulated ark shell inhabited St.3, although it is not cultured at that station. This station's exposure to air during the ebb tide and sediment composition likely provides the appropriate habitat for granulated ark shell species. Analysis of the number of different species showed that 8 benthos species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at St.1, 18 species at St.2, and 13 species at St.3. Among three stations, the highest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values were obtained from the sediment at St.2. The analysis of pore water from St.2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Total Organic Carbon (TOC), ammonia ($NH_4^+$),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phosphate ($PO_4^{3-}$).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species dominance and richness is the highest in St.2.

논 생태계 내 유기농법 재배 지역과 관행농법 재배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 한민수;남형규;강기경;김미란;나영은;김혜림;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3
    • /
    • 2013
  • 최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산성 증대에서 환경 보전에 기여하는 농업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유기농법과 관행농법과 같은 재배 방식의 차이는 생물 서식지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실제 유기농업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두 농법에 따른 생물다양성 차이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기농법 지역과 관행농법 지역의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였고 11개 지역을 조사 대상지로 하였다. 영농방법에 따라 개체수, 종수, 종구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은 유기농법 지역에서 훨씬 많은 개체수와 종수가 기록되었으며, 종수와 개체수의 범위도 관행농법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산림 지역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 유기농법으로 재배할 경우 다른 경관적 요소로 둘러싸인 지역보다 저서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종다양성을 유지 또는 회복하기 위해서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해야 하며, 특히, 산간 지역의 논생태계에서 유기농법으로 벼를 재배할 경우 저서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랭지 농업으로 인한 토사가 송천 상류역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ation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t Upper Song Stream Basin)

  • 한승철;전영철;황인철;원두희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53-361
    • /
    • 2011
  • 본 연구는 송천 상류지역의 고랭지 농업으로 인한 토사유입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09년에 걸쳐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pH, DO, EC, TDS, TN, TP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ORP는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SS와 TP는 농경지 구간인 St. 2~St. 4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파종과 수확시기에 변화가 컸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구성은 총 5문 6강 11목 47과 106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EPT 분류군이 전체의 구성종의 69.8%, 개체밀도의 66.5%를 차지하였다. 우점도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다양도지수는 이에 반비례하였으며, 각 지점들은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섭식기능군은 주워먹는무리가 전 지점에서 우세하였으며, 하류로 갈수록 전 섭식기능군에서 종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워먹는무리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활형은 하류로 갈수록 붙는무리와 기어다니는무리의 종수 및 밀도가 감소하였으며, 굴파는무리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환경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수질 및 하상구성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고랭지 농업에 의하여 야기된 토사의 퇴적은 미소서식환경을 변화시키거나 서식처의 질을 열악하게 함으로써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이식된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의 형태적 특성 및 생산성의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 박정임;박재영;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2
  •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