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ermas's Public Sphere Theor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하버마스 의사소통 합리성과 PR커뮤니케이션 의미의 확장 (The Convergence of Habermas' Communicative Action Theory and Public Relations)

  • 김영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0권
    • /
    • pp.89-119
    • /
    • 2005
  • PR커뮤니케이션이 기능주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패러다임 접근을 받아들이는 것은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이 도구적인 이성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의사소통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기능주의 함정으로부터 하버마스가 광범위한 합리성 통합을 통해 해답을 찾는 것과 다양한 패러다임의 통합을 통한 'PR커뮤니케이션 민주주의'의 추구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이성의 왜곡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기 위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합리성 기획이 어떤 면에서 PR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패러다임 변화와 맞닿아 있는가를 밝히고, 그러한 두 분야의 유사성으로부터 새로운 PR커뮤니케이션 이론화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또한, PR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하버마스 사회비판이론의 실천적인 측면을 탐색해 볼 수 있으며, 개인, 조직, 국가차원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대화의 진작, 사회 합의의 도출, 갈등의 해결, 공론 장의 확대와 같은 포괄적인 커뮤니케이션 합리성을 적용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볼 수 있다.

  • PDF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에 나타난 편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judice in The Movie <12 Angry Men>)

  • 이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43-250
    • /
    • 2020
  •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의거한, '합리적인 토론' 혹은 '긍정적인 비판적 합리성'을 명목으로 한 각 배심원들의 편견어린 시선이 끊임없이 등장한다. 편견은 그 자체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개념이지만, 현 사회적 및 시대적 분위기로서 판단건대 의사소통과 공론의 과정 속에서 지양해야 할 의사소통의 방해물이며 종종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곤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화 속에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투영하여 그 편견들에 대해 들여다보고, 배심원들의 토론을 통해 편견 즉,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을 통해 편견이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편견이라는 개념에 대해 현실세계 속에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에 대해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한 현실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영화 속에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른 '공동체를 위한 합의'와 '보편적 이성성' 에 대한 하버마스의 이상적인 공론에 대해 나타났으나 부분적으로는 영화 속 '현실의 벽'에 의해 완전한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은 어렵다는 점을 도출해 냈으며 편견은 상호 이해와 공공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요악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I Only Hate Broccoli' : The Library as Place in 21st Century America

  • Wiegand, Wayne A.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1-74
    • /
    • 2010
  • By taking a bottom-up "library in the life of the user" perspective rather than a top-down "user in the life of the library" perspective, this paper uses anecdotal evidence from the past and near present to examine the multiple roles the U.S. public library plays and has played as public space in the everyday lives of its patrons. By harnessing "public sphere" theory discussed in Jurgen Habermas'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1989) and by the examining the rich literatures on civic life and institutions that have evolved from it, the author argues that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discourse has to expand its scope to include research and analysis of "library as place" from a user's perspective if it hopes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the public library does for means to members of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reside.

계몽주의 담론의 이율배반과 '소설의 발생' (The Antinomy of the Enlightenment Discourses and the Rise of the Novel)

  • 김봉률
    • 영어영문학
    • /
    • 제54권1호
    • /
    • pp.3-29
    • /
    • 2008
  • Ian Watt, author of The Rise of the Novel, maintained that the novel originated in modern England, came from prose discourses such as the news, political essays and journalistic writing which propagated the Enlightenment, and the novels represent formal realism.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att's theory of the rise of the novel on the basis of the criticism of antinomy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public sphere" in Habermas' terms. At first, I will criticize formal realism, which is not a new literary species, but a formally renovated realistic form that represented capitalism and protestantism. And, then, I will show that formal realism is a kind of antinomy because it turned away from the voices and reality of the low-class and women though the novel concentrated on common people, not the aristocrats. Secondly, I will inquire into the antinomy of the Enlightenment in the aspects of reason, freedom, individualism and women. In my view, as soon as the high-middle class acquired their political rights, these values were no more encouraged and the result revealed antinomy of the Enlightenment more explicitly. Thirdly, I'd argue that "the public sphere" had positive meanings to everyone when the bourgeosie were fighting against the Absolutism and the aristocracy. I'll also insist that the high-middle class and the intellectuals were in "the public sphere" in which Habermas argues that rationality and equality were thought to have been realized, while the low-middle class and most women were de-enlightened and disciplined by reading the novel privately. In conclusion, formal realism is not the rise of the novel, but the opening of the novel peculiar to bourgeosie parliamentarism from the middle-eighteenth century to the middle-twentieth century.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의 댓글과 대댓글 간 비교를 통해 살펴본 온라인 토론의 진행 가능성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mments and the Replies on Korean President Election News: using Topic Modeling)

  • 이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33-55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토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대선 관련 인터넷 뉴스에 달린 댓글과 대댓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에 따르면 토론이란 참여자들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숙의 과정을 거쳐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만약 인터넷 공간에서 댓글을 작성하는 행위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과 토론이 일어난다면 댓글과 대댓글은 토론의 진행과정에 따라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차이를 가설로 설정하고 검증을 위해 다음뉴스 포털에서 4만여개의 댓글을 수집하였다. 관련 뉴스의 주제는 대통령 선거로 하였는데 이는 전국민이 관심을 갖고 있고 따라서 댓글이 활발하게 달리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t검정과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으며 댓글을 통해 온라인 토론이 진행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댓글이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서로 연결성 없는 무질서한 발언들이 아니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사회적 합의를 향해 나아가는 숙의과정이라는 것을 이론적, 실질적으로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