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vergence of Habermas' Communicative Action Theory and Public Relations

하버마스 의사소통 합리성과 PR커뮤니케이션 의미의 확장

  • Kim, Yung-Wook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김영욱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 영상학부)
  • Published : 2005.08.0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verge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nto the new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The notions of communicative action rationality, the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democracy led new public relations paradigm approaches including meaning sharing, media access enlargement, and theoretical ramifications for the powerless. As Habermas prospected the power of comprehensive rationality to solve post-capitalist problems, the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visions the new era of public relations equipped with rhetorical and critical approaches. The new paradigm tries to overcome functional fallacy and embrace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The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aims at integrating all three level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s, and pursues to enlarge the public sphere through increasing communicative actions and resolving social conflicts. Habermas's critical theory exhibits an opportunity for public relations theory building.

PR커뮤니케이션이 기능주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패러다임 접근을 받아들이는 것은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이 도구적인 이성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의사소통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기능주의 함정으로부터 하버마스가 광범위한 합리성 통합을 통해 해답을 찾는 것과 다양한 패러다임의 통합을 통한 'PR커뮤니케이션 민주주의'의 추구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이성의 왜곡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기 위한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합리성 기획이 어떤 면에서 PR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패러다임 변화와 맞닿아 있는가를 밝히고, 그러한 두 분야의 유사성으로부터 새로운 PR커뮤니케이션 이론화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또한, PR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하버마스 사회비판이론의 실천적인 측면을 탐색해 볼 수 있으며, 개인, 조직, 국가차원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대화의 진작, 사회 합의의 도출, 갈등의 해결, 공론 장의 확대와 같은 포괄적인 커뮤니케이션 합리성을 적용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