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39

검색결과 1,562건 처리시간 0.03초

가미귀용탕(加味歸茸湯) 및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 약침(藥鍼)이 생쥐의 성장(成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 김민정;홍권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3호통권21호
    • /
    • pp.105-116
    • /
    • 2006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ee-Gwui-ryong-tang herbal acupuncture(GR-HA) at GB39 and ST36 and the effect of Yuk-mee-ji-hwang-tang herbal acupuncture(YM-HA) at GB39 and KI10 on growth in mice. Methods : Mice were divided into 7 group(n=10) ; saline-ST36, saline-GB39 and KI10, GR-HA-ST36 group treated with GR-HA at right ST36, GR-HA-GB39 group treated with GR-HA at right GB39, YM-HA-GB39 group treated with YM-HA at right GB39, YM-HA-KI10 group treated with YM-HA at right KI10. Saline-ST36 group, saline-GB39 group and saline-KI10 group were injected with saline at right ST36, GB39, KI10 respectively. Saline injection and HA were performed 3 times a week for 18 days. The length(total height, body length and tail length), weight and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were measured as well as IGF-1 level in serum. Results : 1. GR-HA at GB39 and GR-HA at ST36 promoted growth in weight, tail length and total heigh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GR-HA at GB39 significantly promoted protein efficiency on the 14th day and GR-HA at ST36 on the 3rd day. 3. GR-HA at GB39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IGF-1. GR-HA at ST36 increased IGF-1 slightly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promoted growth in weight, height, tail length and total heigh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relevance. 5.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significantly promoted protein efficiency on the 14th day. 6. YM-HA at GB39 and YM-HA at KI10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IGF-1. Serum IGF-1 level of YM-HA-KI10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YM-HA-GB39 group. 7. Serum IGF-1 level of GR-HA-GB39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YM-HA-GB39 group. Conclusions : GR-HA and YM-HA both may promote growth. This study suggests that herbal acupuncture at GB39 is more effective with Gwui-ryong-tang than Yuk-mee ji-hwang-tang to promote growth. It also suggests that Yuk-mee ji-hwang-tang herbal acupuncture is more effective at KI10 than at GB39.

Characterization of ORF39 from Helicoverpa armigera Single-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 the Gene Containing RNA Recognition Motif

  • Xu, Hai-Jun;Liu, Yan-He;Yang, Zhang-Nv;Zhang, Chuan-Xi
    • BMB Reports
    • /
    • 제39권3호
    • /
    • pp.263-269
    • /
    • 2006
  • In the genome of Helicoverpa armigera single-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 open reading frame 39 (Ha39) is the only gene predicted to encode an RNA recognition protein. Computer analysis revealed that Ha39 homologues were found in 15 NPVs, but not in GVs. Its transcripts were detected from 3 through 72 hours post infection (h p.i.) using RT-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The protein was detected in infected-cell lysates from 6 h p.i. Western blot assay of ODV and BV preparations revealed that Ha39 encodes a structural protein associated with BVs. Additionally,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demonstrated that the protein was present within cytoplasm in virus-infected cells, but not in the nuclear region.

부실초지 갱신초지에서의 말 방목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Horse grazing in the Renewal Pasture of Low Productive Pasture)

  • 김영진;송상택;황경준;김시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3-246
    • /
    • 2018
  • 본 연구는 부실초지를 갱신을 통해 목초율, 목초생산성 및 방목에 의한 증체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목개시전인 1차(5.11) 조사 시에는 No.64구가 목초비율 81%로 가장 높았으며, No.39 71%, No.44 65% 순이었다. No.64구를 제외하고는 2차 및 3차 조사 시 목초율이 55%내외로 비교적 낮았다. 연가 총 건물생산량은 No.44가 13,459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No.64 및 No.39로 각각 13,232kg/ha, 12,042kg/ha의 생산성을 보였으나 오차드그라스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구인 No.44구와 No.39구는 하고현상 등으로 인해 2차 조사 이후 급격한 수량감소를 보였다. $10,000m^2$ 당증체량은 No.39구가 70kg으로 No.64 및 No.44 각각 47.5kg과 36.2kg을 큰 격차를 보였으나 일당증체량은 No.39와 No.44는 각각 1.09kg과 1.08로 거의 같은 증체량을 보였고 No.64도 1.03kg의 일당증체량을 보였다.

산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물질수지 (Input, Output and Budget of Nitrogen and Sulphur in Forested Watershed Ecosystems)

  • 유영한;김준호;문형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19-125
    • /
    • 2002
  • 생태계의 필수원소이고 대기오염의 주물질인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연물질 수지를 밝히기 위하여 집수역의 특성이 알려지고, 수문학 연구시설이 구비된 산림청 임업연구원중부시험장내 관릉 시험림의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강수량과 유출수량을 측정하고, 이 속에 있는 두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이를 수문학적 자료와 통합하였다. 광릉의 연평균 강수량은 12,916 ton·ha/sup -1/·yr/sup -1/이었고, 연평균 유출량은 각각 5,094(39%)와 7,467 ton·ha/sup -1/·yr/sup -1/(59%)로서 침엽수림이 활엽수림보다 더 낮았다. 강수에 의한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연평균 유입량은 각각 12.50과 81.72kg·ha/sup -1/·yr/sup -1/이었다. 유출수를 통하여 생태계로부터 유출되는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유출량은 침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06과 39.23 kg·ha/sup -1/·yr/sup -1/이었고,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0.15, 55.46kg·ha/sup -1/·yr/sup -1/로서 질소와 황은 생산성이 높은 천이초기 단계에 있는 침엽수림이 극상단계에 있는 활엽수림 소유역보다 적었는데 이는 물질생산에 의하여 이들 물질이 생물체의 조직에 축적되었음을 시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계산한 N(NO₃/sup -/+NH₄/sup +/)와 SO/sup 2-/₄의 연수지는 침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12.46, +42.49kg·ha/sup -1/·yr/sup -1/, 활엽수림소유역에서 각각 -11.35, +26.26 kg·ha/sup -1/·yr/sup -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

말방목 부실초지의 목초생산성 향상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sture Productivity in a horse grazing low productive pasture)

  • 김영진;송상택;황경준;김시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6-272
    • /
    • 2018
  • 본 연구는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아진 초지에 대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드그라스+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경운초지(paddock No.39)과 보파초지조성(paddock No.44) 및 톨 페스큐 단파 경운초지(paddock No.64)를 조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에 거쳐 목초율,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비율은 No.64가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았다. 연평균 건물생산량은 No.64구가 13,234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No.39, No.44로 각각 10,636kg/ha 및 10,235kg/ha 순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No.39(갱신혼파)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다. NDF함량(2년평균)은 No.44구가 55.90%로 No.64 및 No.39 각각 58.42%와 57.00%에 비해 다소 낮았다.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과 동일한 경향인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았다. P의 함량(평균값)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고, K 함량은 2.23%~3.83%의 농도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각 3.01% 및 2.81%를 보였다. Ca함량(2년 평균)은 No.39구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Na함량(2년평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목초의 영양가치면에서는 갱신혼파(No.39)가 높았으나 목초 구성률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톨 페스큐 단파구(No.64)가 바람직한 것으로 났다.

Viscosity and Wettability of Hyaluronic Acid according to Antimicrobial Supplementation, Ionic Strength, and pH

  • Kho, Hong-Seop;Chang, Ji-Youn;Kim, Yoon-Young;Park, Moon-S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9권3호
    • /
    • pp.90-95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viscosity and wettability of hyaluronic acid (HA) solutions according to supplementation of lysozyme and/or peroxidase, and different ionic strength and pH conditions. Methods: Solutions containing HA were prepared using distilled deionized water (DDW) and simulated salivary buffer (SSB) in different condition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en egg-white lysozyme and bovine lactoperoxidase was added into HA solutions. HA solutions with antimicrobials in different ionic strength and pH conditions were prepared.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cone-and-plate digital viscometer at six different shear rates and wettability on acrylic resin and Co-Cr alloy was determined by contact angle. Results: The viscosity values of HA dissolved in DDW were decreased in order of HA, HA containing lysozyme, HA containing peroxidase, and HA containing lysozyme and peroxidase. The viscosity values for HA in DDW wer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ysozyme and/or peroxidase increased. However, the viscosity values for HA in SSB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lysozyme and/or peroxidase. The viscosity values of HA solution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ionic strength and pH. The contact angle of HA solu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sted surface materials, addition of lysozyme and/or peroxidase, and different ionic strength and pH conditions. Contact angles on acrylic resin by HA solutions in all tested condition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by human saliva. Conclusions: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HA supplemented with lysozyme and/or peroxidase in different ionic strength and pH conditions were objectively confirmed,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HA with lysozyme and/or peroxidase as main components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aliva substitutes.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시 퇴비시용 한계량 연구 (Amount of Maximum Compost Application on the Long-term Application with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in Upland Soil)

  • 김종구;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2-192
    • /
    • 2000
  •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종류가 상이한 퇴비시용 시 퇴비시용 한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토양은 양토와 사양토를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한 퇴비의 종류는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 이었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 수준이었고, 공시작물은 콩과 옥수수로서 1994년부터 1997년도까지 4년간 연작을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의 건물생산량은 퇴비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증가되었으나 콩은 퇴비 $60Mg\;ha^{-1}$ 시용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상은 감소되었다. 질소와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가 콩보다 많았으며, 질소 이용율은 옥수수가 21~31%, 콩은 8~19%였고,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와 콩이 각각 5~7%. 1~2%로 낮은 편이었다. Biomass기준 계분퇴비 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는 $39{\sim}47Mg\;ha^{-1}$ 콩 재배시는 $8{\sim}13Mg\;ha^{-1}$범위 이었다. 작물의 질소 요구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는 옥수수 $123Mg\;ha^{-1}$, 콩은 $87Mg\;ha^{-1}$였고, 인산기준으로는 옥수수 $29Mg\;ha^{-1}$ 콩은 $14Mg\;ha^{-1}$범위였다. 토양의 염기포화도 80%를 한계수준으로 평가한 토성별 퇴비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 양토는 $69{\sim}93Mg\;ha^{-1}$, 사양토는 $49{\sim}69Mg\;ha^{-1}$범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