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13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3초

p13 from group II baculoviruses is a killing-associated gene

  • Lu, Nan;Du, Enqi;Liu, Yangkun;Qiao, Hong;Yao, Lunguang;Pan, Zishu;Lu, Songya;Qi, Yipeng
    • BMB Reports
    • /
    • 제45권12호
    • /
    • pp.730-735
    • /
    • 2012
  • p13 gene was first described in Leucania separata multinuclear polyhedrosis virus (Ls-p13) several years ago, but the function of P13 protein has not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o date. In this article, we indicated that the expression of p13 from Heliothis armigera single nucleocapsid nucleopolyhedrovirus (Ha-p13) was regulated by both early and late promoter. Luciferase assay demonstrated that the activity of Ha-p13 promoter with hr4 enhancer was more than 100 times in heterologous Sf9 cells than that in nature host Hz-AM1 cells. Both Ls-P13 and Ha-P13 are transmembrane proteins. Confocal microscopic analysis showed that both mainly located in the cytoplasm membrane at 48 h. Results of RNA interference indicated that Ha-p13 was a killing-associated gene for host insects H. armigera. The AcMNPV acquired the mentioned killing activity and markedly accelerate the killing rate when expressing Ls-p13. In conclusion, p13 is a killing associated gene in both homologous and heterologous nucleopolyhedrovirus.

YEp 13 vector를 이용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의 cloning I.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Cloning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ylase gene using YEp13 as a vector I. Expression of cloned amylase gene in Escherichia coli)

  • 이창후;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5-160
    • /
    • 1986
  • E. coli-Yeast shuttle vector YEp 13에 B. amyloliquefaciens의 $\alpha$-amylase gene을 cloning하여 얻은 hybrid plasnidlasmid를 E. coli를 숙주세포로 하여 형질을 발현시켰다. 형질전환주의 $\alpha$-amylase 활성 측정 결과, B. amyloliquefaciens에 대해 20-30%의 상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형질전환주의 경우 생성된 $\alpha$-amylase의 60-65%가 periplasm에 축적되었으며 세포 외부로의 분비는 없었다. Hybrid DNA를 agarose-gel 전기영동으로 조사한 결과 그 크기가 다른 다수의 hybrid DNA가 확인되었으며 pHA28의 plasmid (a)(Fig.3)에서만 $\alpha$-amylase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pHA28의 plasmid(a)의 크기가 YEp 13 plasmid DNA보다 작은 것은 YEp13 plasmid에서 yeast gene부분이 deletion된 결과로 추측되었다.

  • PDF

광촉매를 이용한 Humic Acid 광부해시 공존물질이 광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existing Material on the Photocatalytic Removal of Humic Acid)

  • 류성필;현경자;오윤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9-288
    • /
    • 2004
  • This study aimed at improving the $TiO_2$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HA. A set of tests was first conducted in the dark to study the adsorption of HA at different coexisting material concentration. Adsorption rate increased with adding cation ion but decreased with adding bicarbonate ion. The photodegradation of HA in the presence of UV irradiation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 initial concentration of HA, $TiO_2$ weight, pH, air flow rate and coexisting material. It was increased either at low pH or by adding cation ion. The increase of cation strength in aqueous solution could provide a favorable condition for adsorption of HA on the $TiO_2$ surface and therefore enhance the photodegradation rate. It was found that bicarbonate ions slowed down the degradation rate by scavening the hydroxyl radicals.

논에서 영양물지 수지를 이용한 논 정화능력 분석 (Analysis of Purification Capacity of Paddy Fields Using Nutrient Balance)

  • 정재운;윤광식;최우정;최우영;이수형;장남익;홍순강;주석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영양물질 제거능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논을 인공습지라는 관점으로 보고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의 논 지구(이하 학야지구)를 시험지구로 선정하여 2004년 5월부터 9월까지 영농기 기간동안 조사하였다. 학야지구를 대상으로 물수지 및 물질수지를 조사하여 논에서의 T-N, T-P의 제거능력을 조사한 결과 지표유출 부하로 T-N, T-P가 각각 20.82 kg/ha, 1.55 kg/ha로 나타났으며, 이는 연구대상 논에 총 투입된 T-N, T-P의 13.2%와 6.4%에 해당되는 양이다. 연구 결과는 투입된 대부분의 영양물질이 논에서 처리됨을 보여주었다.

  • PDF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상수;박준혁;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133-139
    • /
    • 2009
  • 1) 공시유기질비료의 전질소는 유기발효돈분(2.68 %) > 계분부산물퇴비(1.97 %) > 유기발효계분, 돈분부산물퇴비(1.92 %) > 유기퇴적우분(1.12 %) > 유기 생 우분(1.04 %) 순이었다. 또한 유기물 함량은 유기 생 우분(81.73 %) > 유기퇴적우분(75.52 %) > 계분부산물(68.25 %) > 유기발효돈분(63.37 %) > 돈분부산물(45.27 %) > 유기발효계분(32.05 %) 순이었다. 2)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수량은 1차에서는 유기발효계분(11.60 ton/ha)이 가장 많았으나 계분부산물퇴비(10.13 ton/ha), 돈분부산물퇴비(9.07 ton/ha)와의 유의차는 없었고, 2차 역시 유기발효계분(8.00 ton/ha)이 가장 많았으나 계분부산물퇴비(6.27 ton/ha), 돈분부산물퇴비(6.13 ton/ha)와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3) CP 수량은 1차에서는 유기발효계분(0.69 ton/ha)이 가장 많았으나 돈분부산물퇴비(0.56 ton/ha), 계분부산물퇴비(0.55 ton/ha), 유기 생 우분(0.55 ton/ha)과의 유의차는 없었고, 2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4) TDN 수량은 1차에서는 유기발효계분(6.51 ton/ha)이 가장 많았으나 계분부산물 퇴비(5.80 ton/ha), 돈분부산물퇴비(5.08 ton/ha)와의 유의차는 없었고, 2차 역시 유기발효계분(4.80 ton/ha)이 가장 많이 나왔으나, 계분부산물퇴비(3.70 ton/ha)와 유의차는 없었다(p<0.05). 5) 상대사료가치(RFV)는 1차에서는 계분부산물퇴비 시비구가 80.66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2차에서는 유기퇴적우분을 제외한 5개 시비구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6) K는 유기발효계분(0.11 head/ha/yr)이 가장 높았으나 계분부산물퇴비(0.10 head/ha/yr), 돈분부산물퇴비(0.09 head/ha/yr)와 유의차는 없었고, $K_{CP}$ 역시 유기발효계분(7.23 head/ha/yr)이 가장 높게 나왔으나 돈분부산물퇴비(6.41 head/ha/yr), 유기 생 우분(6.15 head/ha/yr), 계분부산물퇴비(5.97 head/ha/yr)와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또한 KTDN은 유기발효계분(8.90 head/ha/yr)이 가장 높게 나왔으나 계분부산물퇴비(7.49 head/ha/yr)와 유의차는 없었다(p<0.05). 7)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유기발효계분이 수단그라스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에서 가장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복숭아 과수원에서 측정된 강우에 의한 질소와 인의 지표면 유실 (Surface Runoff Los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Peach Orchard)

  • 김민경;김복진;정종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24-129
    • /
    • 2000
  • 농업유역에서 영양원소들은 시비 후 강우에 의해 지표 유출이 생기면 용해되거나 토사에 흡착된 상태로 하천에 유입되어 부영양화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농경지로부터의 영양염류 유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경북 영천군 임고천 유역의 대표적 영농형태인 과수원 토양에 $14.3{\times}24.8\;m$면적의 유출 시험포를 설치하고 1999년 3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한 26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지표 유출수량과 토양 유실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들과 함께 발생하는 질소와 인의 유실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포장에는 화학비료와 혼합유박비료로 질소와 인이 각각 112, 46kg/ha씩 처리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발생한 총 표면 유출수량은 $421.5\;m^3/ha$이었고 토양 유실량은 1,989kg/ha이었다. 유출수중의 T-N, $NO_3-N$, $NH_4-N$, T-P 및 $PO_4-P$의 농도는 각각 $4.7{\sim}171.0,\;0.1{\sim}188.0,\;0.13{\sim}3.36,\;0.58{\sim}4.99$$0.05{\sim}3.71\;mg/l$ 범위였다 강우에 의해 지표면으로 유실된 총 질소량은 16.39 kg/ha였으며 이중 질산태 질소와 암모늄태 질소가 각각 75%와 3%를 차지하였다. 인의 유실량은 총 16.39 kg/ha였으며 이 중에서 이온형태의 인이 47%였으며 토사와 함께 유실되는 인은 27% 정도였다. 질소와 인의 총 유실량은 각각 총 시비량의 9.5% 및 2.3%였다.

  • PDF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관리기술의 차이가 초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nagement Techniques on Productivity of Grassland in Central and Southern Area of Korea)

  • 최기준;정종성;최기춘;황태영;김지혜;김원호;이은자;성경일;이기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7-97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초지환경과 재배기술의 현장실천 정도에 따른 초지 생산성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다. 2017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492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4,652~13,29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577 kg/ha이었다(p<0.05). 2018년 10개소 초지의 평균 건물수량은 7,914 kg/ha이었으며 초지별로는 3,927~12,372 kg/ha 범위로서 차이가 많았으며, 초지별 최소유의차는 1,464 kg/ha이었다(p<0.05). 재배 환경 중에서 강수량과 평균온도는 초지 건물수량과 상관이 없었으나 초지토양의 비옥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시비관리 및 초지보파 등 초지관리기술의 현장적용 정도와 건물수량 간에는 고도의 상관(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초지의 건물수량 증가를 위해서는 초지 관리기술의 현장실천과 초지토양 비옥도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피트모스에서 추출한 휴믹물질(휴믹산, 풀빅산, 휴민)의 화학적 및 분광학적 물질특성 규명 (Chemical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eat Moss and Its Different Humic Fractions (Humin, Humic Acid and Fulvic Acid))

  • 이창훈;신현상;강기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4호
    • /
    • pp.42-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산 피트 모스(Canadian Sphagnum peat moss)시료로부터 산${\cdot}$염기 침전법을 이용하여 휴믹산(p-HA), 풀빅산(p-FA), 휴민(p-Humin)을 순수분리 하였고, 화학적(원소분석, pH 적정) 및 분광학적(적외선 및 핵자기공명 분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피트모스와 각 휴믹 성분의 특성(원소성분비, 양성자교환용량(PEC), 작용기 및 분자구조)을 규명하였다. 또한, Cd(II)을 흡착시킨 p-Humin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휴믹분자의 금속이온 결합자리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특성분석 결과는 문헌에 제시된 토양 휴믹물질의 특성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기물 집적 층인 피트 모스에 존재하는 휴믹물질의 친환경적 응용에 필요한 기초 물질 특성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순수분리 결과, p-Humin 및 p-HA와 p-FA의 함량은 피트 모스 전체유기물 함량($957{\pm}32g/kg$)의 각각 $76\%,\;18\%,\;3\%$로 분포하였으며, 원소 성분비는 p-Humin이 $C_{1.00}H_{1.52}O_{0.79}N_{0.01}$로서 p-HA($C_{1.00}H_{1.09}O_{0.51}N_{0.02}$), p-FA($C_{1.00}H_{1.08}O_{0.65}N_{0.01}$)에 비하여 H/C와 (N+O)/C 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pH 적정분석을 통한 산/염기 특성 분석결과, 피트 모스 휴믹 분자에는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두 종류의 산성 작용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PEC(meq/g) 값은 p-FA(4.91) >p-HA(4.09) >p-Humin(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피트모스 휴믹물질의 작용기 기본 특성은 기존 토양 휴믹물질과 유사하였으며, 금속이온 주요 결합작용기는 -COOH임을 확인하였다. 피트 휴믹 분자의 탄소 골격은 전반적으로 낮은 휴믹화 단계의 물질 특성을 보였으며, $^{13}C$-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p-Humin과 용해성 휴믹 성분(p-HA, p-FA)의 분자구조 특성의 차이점을 밝힐 수 있었다.

초지에 대한 인산질비료의 시용에 관한 연구 III. 인산질비료의 시용수준이 목초의 수량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in Grassland III.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ation levels on the yield and nutrient contents of grasses)

  • 박근제;이필상;최기준;정재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17
    • /
    • 1994
  • To find out the effects of phosphatic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contents of grasses, this experiment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ix treatments(0, 50, 100, 150, 200 and 250kg $P_2O_5$/ ha) and conducted at hill lan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from September, 1989 to October,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s the phosphatic fertilization level increase, the early growth and cover degree of grasses wintered were more favorable and plant length was higher. 2. With 150kg $P_2O_5$/ ha application for three years, the average dry matter yield of grasses, 10,112kgl ha was sirnilared to that of 200kg $P_2O_5$/ ha and the yield was composed of 77.2% grasses(7,808kg/ ha), 19.2% legumes(l,937kg 1 ha) and 3.6% weeds(367kg / ha). 3. The crude protein and energy productivity of grasses increase as phosphatic fertilization level was increased, but tho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150 and 250kg $P_2O_5$ 1 ha. Therefore, phosphatic fertilization level must be applied with 150kg / ha for a reasonable management in hilly grassland.

  • PDF

무기태인산과 톱밥발효가축분이 Alfalfa 단파초지의 토양변화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tivity of Alfalfa Monoculture by Inorganic Phosphaate and Fermented Cow and poultry manure Levels Mixed with Sawdust)

  • 신재순;임영철;이혁호;진현주;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1996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organic phosphate ($P_2O_5$ 200kg/ha), fermented cow manures($P_2O_5$ 200kg/ha, 400kg/ha) and poultry manures($P_2O_5$ 200kg/ha, 400kg/na) levels mixed with sawdust on the soil changes and productivity of alfalfa monoculture, a field experiment arranged by randonmized complete block design was conduct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in Suwon, September, 1993 to December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S1. Soil pH was changed from 5.40(before experiment) to 6.17(fermented cow manure, $P_2O_5$ 400kg/ha), 6.76 (fermented poultry manure, $P_2O_5$400kg/ha) and 6.3l(inorganic phosphate, $P_2O_5$ 200kg/ha) at 0~5cm depth of subsoil, respectively. Organic contents after experiment were lower as a range of 2.41%~3.15% than those before experiment. 2. Total nitrogen contents of each treatment showed as 0.13%~0.16% at 0~5cm depth of subsoil comparing with before experiment(0.15%). Available phosphate content of inorganic phosphate($P_2O_5$200kgha) was highest as 405ppm. lowest as 125ppm(fermented poultry manure, $P_2O_5$ 200kg/ha) than before trial(205ppm). 3. K and Ca contents of after experiment were appeared to 0.22%~0.78% and 6.45%~9.45% comparing with before experiment(0.10% and 3.56%), respectively. 4. During two years, average DM yield of fermented cow rnanure($P_2O_5$ 400kg/ha) was highest as 11, 731kg/ha and lowest as 9, 017kg/ha at fermented poultry manure plot($P_2O_5$ 200kg/ha) with as sawdu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reatment(P>0.05). 5. CP production, NEL and TDN yield of fermented cow manure($P_2O_5$ 400kg/ha) were highest as 2, 282kg/ha 69, 900kg/ha and 6, 392kg/ha,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P>0.05). 6. In inorganic contents of alfalfas, there was not show same tendency in accordance with treatments. As a results mentioned above, it was possible to use 200kg $P_2O_5/ha$ of fermented cow or poultry manure with sawdust instead of inorganic phosphae fertil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