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TR8/SVneo trophoblast cel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Adenosine A3 Receptor Mediates ERK1/2- and JNK-Dependent TNF-α Production in Toxoplasma gondii-Infected HTR8/SVneo Human Extravillous Trophoblast Cells

  • Ye, Wei;Sun, Jinhui;Li, Chunchao;Fan, Xuanyan;Gong, Fan;Huang, Xinqia;Deng, Mingzhu;Chu, Jia-Q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93-402
    • /
    • 2020
  • Toxoplasma gondii is an intracellular parasite that causes severe disease when the infection occurs during pregnancy. Adenosine is a purine nucleoside involved in numerous physiological processes; however,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s in T. gondii-induced trophoblast cell function has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regulated by adenosine receptors using a HTR-8/SVneo trophoblast cell model of T. gondii infection. HTR8/SVneo human extravillous trophoblast cells were infected with or without T. gondii and then evaluated for cell morphology, intra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parasite, adenosine receptor expression, TNF-α production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signaling pathways triggered by adenosine A3 receptor (A3AR). HTR8/SVneo cells infected with T. gondii exhibited an altered cytoskeletal changes, an increased infection rate and reduced viability in an infection time-dependent manner. T. gondii significantly promoted increased TNF-α production, A3AR protein levels and p38, ERK1/2 and JNK phosphorylation compared to those observed in uninfected control cells. Moreover, the inhibition of A3AR by A3AR siRNA transfection apparently suppressed the T. gondii infection-mediated upregulation of TNF-α, A3AR production and MAPK activation. In addition, T. gondii-promoted TNF-α secretion was dramatically attenuated by pretreatment with PD098059 or SP60012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3AR-mediated activation of ERK1/2 and JNK positively regulates TNF-α secretion in T. gondii-infected HTR8/SVneo cells.

Hypoxia에 의한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발현이 태반 내 영양막세포의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poxia-induced XIAP Expression on Apoptosis of Trophoblast Cells in Placenta)

  • 이종성;전수연;최종호;이유진;차동현;김기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17-229
    • /
    • 2010
  • 목 적: 영양막세포의 과도한 세포자멸사는 태반의 발달뿐 아니라 산과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XIAP)은 임신 기간 동안 영양막세포의 세포자멸사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자간전증을 유발하는 인자인 저산소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XIAP가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산모의 태반에서 발현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고, 저산소 상태에 노출된 HTR-8/SVneo 영양막세포주에서의 XIAP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XIAP 발현을 분석하고자, 정상 태반 (n=15), 중기 자간전증 태반 (n=11), 그리고 말기 자간전증 태반 (n=15) 조직을 수집하여 RT-PCR, 면역조직화학법, 그리고 Western blot 등을 실시하였다. 저산소성 상태에서 XIAP의 기능을 확인하고자 HTR-8/SVneo 영양막세포주에 1% 산소가 공급되는 hypoxia 상태에 노출시킨 뒤 12시간, 24시간 후에 각 세포자멸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와 Western blot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 과: XIAP는 태반의 합포영양막세포와 포합체결절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정상 태반보다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p<0.05). 또한, 저산소 상태에 노출된 HTR-8/SVneo 영양막세포주에서 감소된 XIAP 발현은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에 따라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는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결 론: XIAP의 발현은 태반 발달 및 자간전증 태반에서 XIAP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며, XIAP의 저하로 인한 caspase-9의 증가가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세포자멸사는 더 많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산소 상태에 의해 XIAP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XIAP 단백질의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위치 변화는 영양막세포의 세포자멸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는 자간전증의 진단에 유용한 마커로써의 활용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태반 내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s-2 (IMUP-2) 발현 (Expression of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s-2 (IMUP-2) in Placenta)

  • 전수연;이현정;정현민;김진경;김기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63-174
    • /
    • 2009
  • 목 적: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s (IMUPs) family는 SV40의 유전자 도입을 통한 불사화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새로이 분리 동정된 핵 내 단백질로써, 세포의 증식과 종양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태반 발달과정에 따른 발현 양상과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태반과 자간전증 태반조직에서의 IMUPs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고, IMUPs 유전자의 HTR-8/SVneo trophoblast cells 내로 도입 후 IMUPs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IMUPs 발현을 분석하고자, 정상 태반 (n=15), 중기 자간전증 태반 (n=11), 그리고 말기 자간전증 태반 (n=15)조직을 수집하여 RT-PCR, RNA in situ hybridization, 면역조직화학법, 그리고 Western blot 등을 실시하였다. IMUP-2의 기능을 확인하고자 HTR-8/SVneo trophoblast cells에 IMUP-2 plasmids를 transfection한 뒤 24시간 후에 각 그룹간의 세포 수를 계수하였으며,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고자 RT-PCR, 그리고 Western blot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 과: IMUPs는 주로 태반 내 합포영양막세포와 포합체결절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IMUP-1의 경우 정상과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IMUP-2의 경우 정상 태반에서 매우 약한 발현을 보였으며, 자간전증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p<0.001), 특히, 중기 자간전증의 태반조직 내에서는 강한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IMUP-2의 유전자 도입에 의해 과발현된 HTR-8/SVneo trophoblast cells에서는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들의 증가로 영양막세포의 수가 감소됨이 관찰되었다. 결 론: 이러한 결과들은 IMUP-2의 발현이 정상 태반의 발달에 관여할 뿐 아니라 증가된 IMUP-2는 영양막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킴으로써 자간전증과도 상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IMUP-2는 자간전증을 예측 및 진단 할 수 있는 마커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자간전증 태반에서의 Norepinephrine Transporter(NET) 발현 (Expressions of Norepinephrine Transporter in Pre-eclamptic Placenta)

  • 나규환;이현정;정지은;김기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2호
    • /
    • pp.65-74
    • /
    • 2010
  • 지금까지 태반에서 monoamine들을 재 흡수할 수 있는 몇 가지 membrane transporter들이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카테콜라민 트렌스포터(norepinephrine transporter, NET)의 발현과 부인과 질환을 포함한 태반 발달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반에서 NET의 발현을 동정하고, 그 기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상과 자간전증(preeclampsia) 태반에서 각각 NET 단백질을 동정하고, 영양막세포주인 HTR8-SV/neo 영양막 세포에 NET 유전자를 주입 후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NET 발현을 분석하고자 태반조직에서 다음과 같이 환자를 분류하여 semi-quantitative RT-PCR과 면역조직화학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만 고통이 없는 산모의 태반을 중심으로(none underwent labor): 1) 만기 정상 태반(term normal placenta)(n=15); 2) 만기 자간전증 태반(term with preeclamptic placenta)(n=15); 3) 중기 자간전증 태반(pre-term preeclamptic placenta)(n=11)을 수집하여, NET 발현을 RNA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mRNA 분석에서는 NET 유전자가 정상 태반 조직보다 자간전증 태반에서 낮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통한 NET 단백질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TR8-SV/neo 영양막세포를 이용하여, NET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NET 유전자의 플라스미드(a plasmid vector for NET gene)와 siRNA(NET gene-specific siRNA)을 HTR8-SV/neo 영양막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 핵 내 주입하고, NET 유전자 발현에 따른 침윤은 NET 유전자를 증가시킨 경우 대조군보다 2.5배(p<0.05)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NET 유전자를 감소시킨 경우는 침윤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NET의 과도한 고발현 또는 저발현은 MMP-2와 MMP-9 발현과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관찰하였다. 따라서 자간전증에서 NET의 발현 감소는 영양막세포의 침윤능력을 억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들은 영양막세포의 침윤 기전뿐만 아니라 자간전증을 포함한 부인과 질환의 기초 연구에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Palmitic acid induc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regulates tRNA-derived stress-induced RNAs in human trophoblasts

  • Changwon Yang;Garam An;Jisoo Song;Gwonhwa Song;Whasun Lim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18-225
    • /
    • 2022
  • High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have been observed in obese pregnancies. Obesity during pregnancy may increase the risk of various pregnancyrelated complications, with pathogenesis resulting from excessive inflammation. Palmitic acid (PA) is a saturated fatty acid that circulates in high levels in obese women. In our previous study, we found that PA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trophoblasts developing into the placenta, induced apoptosis, and regulated the number of cleaved halves derived from transfer RNAs (tRNAs). However, it is not known how the expression of tRNA-derived stress-induced RNAs (tiRNAs) changes in response to PA treatment at concentrations that induce inflammation in human trophoblasts. We selected concentrations that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after dose-dependent treatment of HTR8/SVneo cells, a human trophoblast cell line. PA (200 μM)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apoptotic proteins in HTR8/SVneo cells. P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 (IL)-1β, IL-6,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 addition, 200 μM P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iRNAs compared to 800 μM P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 impairs placental development during early pregnancy by inducing an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trophoblast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induced inflammation and tiRNA generation.

Effect of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2 (IMUP-2) on Cell Death of Trophoblast

  • Jung, Ran;Choi, Jong Ho;Lee, Hyun Jung;Kim, Jin Kyeoung;Kim, Gi J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2호
    • /
    • pp.99-109
    • /
    • 2013
  • Trophoblasts, in the placenta, play a role for placental development as well as implantation in the early pregnancy.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rophoblast are identified by their localization and potency for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invasion. Thus, inadequate trophoblast cell death induces trophoblast dysfunction resulting in abnormal placental development and several gynecological disease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increased immortalization-upregulated protein-2 (IMUP-2) by hypoxia influences trophoblast apoptosis. However, IMUP-2 function on autophagy, which is type II programmed cell death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analyzed IMUP-2 expression in trophoblast cells (HTR8-SVneo) and compared IMUP-2 effects on cell death including apoptosis and autophagy in trophoblast regardless of IMUP-2 expression. Increased IMUP-2 in trophoblast by IMUP-2 gene transfection induces cell death, especially, apoptosis increases more than autophagy (p<0.05). However, the decreased IMUP-2 in trophoblasts after siRNA treatment decreased apoptosis with the decreased activities of caspase 3 and 7. The expressions of LC3 and MDC as an autophagosome makers and phosphorylated mTOR, which is a negative regulator for autophagy, increased. In addition, the S phase of cell cycle increased in trophoblasts when IMUP-2 expression decreased. Taken together, the alteration of IMUP-2 can control the balance between apoptosis and autophagy of trophoblasts resulting in functional involvement in placental development and in gynecological diseases by regulating the function of trophoblasts.

영양막세포에서의 C-reactive protein 조절 microRNA-150과 microRNA-424 발현 분석 (Expressions of MicroRNA-150 and MicroRNA-424 Targeted to C-reactive Protein in Trophoblast Cell Line)

  • 김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75-382
    • /
    • 2019
  • 임신 초기 염증으로 인한 영양막세포의 기능 이상은 C-reactive protein (CRP)의 발현을 증가시켜 산모와 태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산 및 자간전증 등을 유발한다. 그러나, CRP 발현 조절과 관련된 생체표지자 발굴 및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염증이 유발된 영양막세포에서 증가된 CRP 발현과 관련된 miRNA를 발굴 및 그 발현을 분석함으로써, miRNA를 통해 영양막세포 염증 조절 기전에 관여하는 생체표지자를 밝히고자 한다. miRNA 데이터베이스(mirna, TargetScan, MicroCosm)에서 공통적으로 CRP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것으로 예측되는 miR-7, miR-150, miR-186, 그리고 miR-424를 선별하여 HTR-8/SVneo에 LPS (20ng/mL)를 처리하여 in vitro 상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miRNAs의 발현을 qRT-PCR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된 영양막세포에서 CRP의 발현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p<0.001). miR-150와 miR-424는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p<0.001). 따라서, 염증이 유도된 영양막세포에서의 CRP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에 miR-150와 miR-424가 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향후 염증성 산과질환의 산전 진단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ut Microbiota of Pregnant Rats Alleviates Fetal Growth Restriction by Inhibiting the TLR9/MyD88 Pathway

  • Hui Tang;Hanmei Li;Dan Li;Jing Peng;Xian Zhang;Weitao Y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9호
    • /
    • pp.1213-1227
    • /
    • 2023
  • Fetal growth restriction (FGR) is a prevalent obstetric condi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oll-like receptor 9 (TLR9) in regula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gut microbiota structure in FGR. An FGR animal model was established in rats, and ODN1668 and hydroxychloroquine (HCQ) were administered. Changes in gut microbiota structure were assessed using 16S rRNA sequencing, and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was conducted. HTR-8/Svneo cells were treated with ODN1668 and HCQ to evaluate cell growth. Histopath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relative factor levels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FGR rats exhibited elevated levels of TLR9 and myeloid differentiating primary response gene 88 (MyD88). In vitro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LR9 inhibited trophoblast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TLR9 upregulated lipopolysaccharide (LPS), LPS-binding protein (LBP), interleu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while downregulating IL-10. TLR9 activated the TARF3-TBK1-IRF3 signaling pathway. In vivo experiments showed HCQ reduced inflammation in FGR rats, and the relative cytokine expression foll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bserved in vitro. TLR9 stimulated neutrophil activation. HCQ in FGR rats resulted in changes in the abundance of Eubacterium_coprostanoligenes_group at the family level and the abundance of Eubacterium_coprostanoligenes_group and Bacteroides at the genus level. TLR9 and associated inflammatory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Bacteroides, Prevotella, Streptococcus, and Prevotellaceae_Ga6A1_group. FMT from FGR rats interfered with the therapeutic effects of HCQ.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LR9 reg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gut microbiota structure in FGR, providing new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FGR and suggesting potential therapeutic interventions.